![](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7B43755171925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7CA3755171926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2503755171926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1D13755171927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E403755171927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EE63755171928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C763755171928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E503755171929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107355517192A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117355517192B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665355517192C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386355517192C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F61355517192D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905355517192E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28636551719301D)
목차
1. 목적
및
개발
배경
2. 무선
랜의
정의
3. IEEE 802.11
4. BLUETOOTS
5. NFC
목적
및
개발
배경
Wireless LAN 의
역사는
TCP/IP 기술이
그러하듯이
군
(軍)에서
시작됐다
. 제2
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의
무선통신이
독일군에
의해
도청됨에
따라
보안성
이
뛰어난
기술개발을
위해
미국방성에
의해
추진된
것이
모태가
되어
2차대
전이
종료된
후에
기술개발이
완료가
됐다
.
이러한
군사용
기술이
민간업체로
이관된
것은
1985년이며, 이때의
기술은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기술이었다. 이때부터
FHSS
기술을
이용한
2Mbps 속도의
WLAN 시스템이
상용화되기
시작했다
.
이때부터
모든
통신기술의
표준을
관할하는
IEEE 802 위원회에
의해
WLAN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WLAN 표준
규격작업이
1992년에서
1997년까지
추진
됐으며, 상용화를
위한
가격을
맞추기
위해
1999년
IEEE 802.11b 의
WLAN
규격이
제정됐다
.
무선LAN(Wireless LAN) 이란유선LAN 의Hub 에해당하는AP(Access Point) 장치를사용하여무선LAN card 를장착한PDA나Notebook PC 와같은무선단말에
무선
LAN 이란?
LAN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이다
.
LAN
LANLAN
LAN
유선
방식
LAN 무선
방식
LAN
IEEE 802.11 이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작업
그룹에서
개발한
무선
LAN 규격. 이
규격에는
802.11, 802.11a, 802.11b, 802.11g, 802.11n 이
있으며
, 이들
모두
경로
공유
프로토
콜로서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충돌
예방
(CSMA/CA)을
사용하고
있다
.
종류별
특징은
다음의
표와
같다
.
종류속도거리주파수대역장점단점
802.11a 54 Mbps 300m 5 GHz
주파수
대역이
구별되어
전파간섭이
적은
편
주파수
대역이
달라
호환성
없음
802.11b 11 Mbps 450m 2.4GHz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
전송
속도가
느림
802.11g 54 Mbps 450m 2.4GHz 802.11b 와
호환
가능
2.4GHz 기기들로부터
간섭이
있을
수
있음
300 Mb 2.4GHz/ 다중
안테나
기술과
채널
2.4GHz 기기들로부터
간섭이
있을
802.11n
450m 수
있으며,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
무
ps 5GHz 본딩을
통한
성능
증가
선랜카드
선택이
중요함.
블루투스(BLUETOOTS) 란?
.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폰
, 노트북, 이어폰·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
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한다
.
.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 예를
들어
블루투스
헤드
셋을
사용하면
거추장스러운
케이블
없이도
주머니
속의
MP3 플레이어의
음악을
들을
수
있다
.
.
블루투스
통신기술은
1994년
휴대폰
공급업체인
에릭슨
(Ericsson) 이
시작한
무선
기술
연구를
바
탕으로, 1998 년
에릭슨
,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
등으로
구성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를
통해
본격적으로
개발됐다
. 이후
블루투스
SIG 회원은
급속도로
늘어나
2010년
말
기준
전세계
회원사가
13,000여
개에
이른다
.
블루투스의
원리
.
블루투스의
무선
시스템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
를
사용한다
. 이
중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막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 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쓴다
.
.
ISM이란
산업
,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
어
저전력의
전파를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쓰인다
. 아마추어
무선
, 무선랜, 블루투스가
이
ISM 대역을
사용한다
.
.
여러
시스템들과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간
전파
간섭이
생길
우려가
있는데
,
이를
예방하기
위해
블루투스는
주파수
호핑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취한다
. 주파수
호핑이란
많
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
(데이터)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이다
. 블루투
스는
할당된
79개
채널을
1초당
1600번
호핑한다
.
.
이
호핑
패턴이
블루투스
기기
간에
동기화되어야
통신이
이루어진다
. 블루투스는
기기
간
마스터
(Master) 와
슬레이브
(slave) 구성으로
연결되는데
, 마스터
기기가
생성하는
주파수
호핑에
슬레이브
기
기를
동기화시키지
못하면
두
기기
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 이로
인해
다른
시스템의
전파
간섭
을
피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
블루투스의
발전
.
초창기
블루투스의
전송속도는
최대
1Mbps에
불과했다
. 이는
기존
기술에
비해
6배
가량
빠
른
속도였지만
고품질
음악이나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는
부적합한
수준이
었다. 따라서
블루투스의
대중화는
생각보다
진전이
느렸고
,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됐다
.
.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새로운
버전의
블루투스가
등장하면서
속도는
눈에
띄게
향상됐다
. 블
루투스
2.0(2004 년)은
최대
3Mbps, 블루투스
3.0(2009 년)은
최대
24Mbps 까지
속도가
올라갔다
.
2010년에는
24Mbps 속도를
유지하면서도
손목시계용
코인
배터리로도
수년간
쓸
수
있을
정도
로
소비
전력을
낮춘
블루투스
4.0까지
나왔다
.
.
블루투스를
대체할
경쟁
기술도
등장했다
. 2010 년
발표된
‘와이파이
다이렉트’가
그것이다
.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인터넷망
없이
휴대기기
간
직접
연결해
통신할
수
있는
기술로
, 기존
와이
파이에
버금가는
빠른
속도가
장점이다
.
하지만
그만큼
전력
소모는
심할
것으로
보인다
. 향후
개인
무선
기술
경쟁구도는
저전력을
내세
운
‘블루투스
4.0’ vs 빠른
속도가
강점인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
블루투스의
단점
.
블루투스를
켜
놓은
상태에서는
해킹이
너무
쉽다는
보안상의
문제점도
있다
. 마음만
먹는다
면
블루투스
동글을
장착한
노트북으로
지나가는
사람들의
블루투스
휴대폰
속
정보를
빼
오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
.
블루투스를
이용한
해킹은
블루재킹
(bluejacking), 블루스나핑(bluesnarfing), 블루버깅
(bluebugging) 으로
나뉜다
.
블루재킹
(bluejacking) : 단순히
스팸메시지를
뿌리는
수준으로
, 귀찮은
존재긴
하지만
보안에
큰
위협을
가하지는
않는다
블루스나핑
(bluesnarfing) :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일정표
, 전화번호,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에
접근하는
수준으로
보안에
큰
위협을
가한다
.
블루버깅
(bluebugging) : 희생자의
휴대폰을
원격
조종해
통화내용을
엿듣는
수준으로
치명적
인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
.
따라서
공공장소와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는
블루투스를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 또한
안티
바이러스나
방화벽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안
제품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란?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는
RFID의
하나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
하는
비접속식근거리
무선통신
모튤로
10cm 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
를
전송하는
기술로
결제뿐만
아니라
마켓
, 여행정보,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
에서
광
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다른
근거리
이동통신
방법간의
비교
NFC RFID IrDa Bluetooth
설정
시간
< 0.1 ms < 0.1 ms ~0.5s ~6 sec
범위
10 cm 3m 5m 30m
사용성
사람
중심, 쉽고
편리, 직관
적이며
빠름
아이템
중심, 쉽고
편리
데이터
중심, 쉽고
편리
데이터
중심, 다소
편리
유스
케이스
지불, 액세스, 공유, 서비스
준비, 편리한
설정
아이템
추적
데이터
제어
및
교환
데이터
교환, 헤드셋
용
네트워
크
소비자
경험
터치, 간단한
연결
정보
획득
필요
쉽게
사용
구성
필요
NFC의
동작모드
MODE 설명
기기
간
통신(P2P) 스마트폰
간
데이터
전송, PC 와
스마트폰
간
파일
공유, 일반
가전제품
과
스마트폰
간
정보
업데이트
등
NFC 를
지원하는
모든
기기
사이의
직
접적인
데이터
통신을
한번의
접촉을
통해
처리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나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는
달리
‘
접촉’이라는
물리적
이고
직관적인
사용자
이용방식을
통해
구현되므로
매우
간편하게
데이
터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리더
/ 태그
(R/W)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포스터에
NFC 스마트폰을
접촉하여
직접적
인
정보획득을
할뿐만
아니라
관련
웹사이트로의
연결까지
제공함으로
써
새로운
서비스
연결이
가능해
진다.
카드
에뮬레이션(SC) 비접촉식
스마트카드
기술과
보안기술을
접목해
안전한
모바일
결제방
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와
할인쿠폰
등의
다양한
결제수단으
로
활용할
수
있으며, PC 에서
NFC 를
제공하는
경우
E-커머스의
인증방
식
및
결제수단으로
NFC 를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다
NFC의
대표적
응용
서비스
구분
서비스
형태
모바일
단말기간
접촉
응용서비스
결제
대금
지불
계좌
이체
온라인
계좌
연계를
통한
계좌이체
등
명함
교환
연락처, 이메일
등의
명함
정보
교환
페어링
단말기간
자료
교환을
위한
무선통신
접속
인증을
통한
출입문
개폐(도어락)
개인정보
관리
응용서비스
개인인증
노트북
등
전자제품
사용자
인증
엑세스
컨트롤
건물, 차량
등에
대한
리모트
컨트롤
관광
안내
박물관, 관광
정보
제공(음성/문자) 및
위치
안내
의료
진료기록
관리
주차
주차위치
확인
포스터
접촉을
통한
공연
티켓팅
정보
제공
및
맞춤형
광고
관련
응용
서비스
예약
대중교통
티켓팅등
광고/쿠폰
위치기반
광고
및
쿠폰
제공
등
제품
정보
제품
정보
열람, 진품
판정, 이력
추적,
매뉴얼
제공
및
A/S 정보
제공
등
콘텐츠
구매
E-BOOK, 음악
등의
콘텐츠
다운로드
소셜
네트워크
태그로부터
읽어
들인
정보를
소셜네
트워크로
바로
전송
NFC의
동작
원리
NFC 통신은
상호
근접한
자기
필드에
있는
두
개의
루프
안테나
사이의
전자기
유도작용에
기반해
동작
합
니다. 13.56MHz 의
ISM Band 에서
14 kHz 의
대역폭
사용하며
이
주파수
범위는
특별한
면허
없이
사용
가
능합니다.
표준
안테나에
의한
동작거리는
20cm 안팎이며, 지원
가능한
데이터
대역폭은
106 또는
212, 424, 848
kbit/s 입니다.
NFC는
능동
통신
모드와
수동
통신
모드라는
두
가지
통신
모드를
지원합니다
. 각각의
통신
모드의
동작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동
통신
모드
-시동
기기가
캐리어
필드
제공
-타켓
기기는
제공된
필드를
변조
하면서
동작
-타겟
기기는
동작
전원을
시동
장치가
제공하는
전자기
필드에서
획득하며
이로
인해
타겟
기기도
송수신기로
동작
가능
-자체
전원공급
미
지원
NFC의
동작
원리
능동
통신
모드
-시동
및
타겟
기기가
상호적으로
자체
전자기
필드를
생성해
통신
.
-하나의
기기는
상대의
데이터가
들어올
때
까지
자신의
RF 필드를
해제
(반
이중
통신
)
-자체
전원공급
지원
NFC의
사례
.
버스
티켓
LA에서
근무하는
대중교통
검표원
폴은
승객의
차
료를
검사하기
위해
NFC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
다. 과거에
사용하던
검표기보다
휴대가
쉬워진
것
은
물론
에너지
절감
효과도
뛰어나다
.
.
페이션트ID+
페이션트ID+는
환자
인식에서부터
보험
적용
영역
,
지불
정보
등
모든
정보를
통합해
저장한다
. 사용자
의
페이션트
ID+ 비접촉식
태그나
NFC 폰에
저장하
는
것이다
. 환자는
PIN 을
입력함으로써
이
정보들
을
의료업체에
곧바로
전송할
수
있다
. 병원에서
서
류를
작성하고
확인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간소화
되는
것이다
. 데이터가
정확한
것도
물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