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B654751B146E02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14E4751B146E1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44F4751B146E2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DA14751B146E2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7464751B146E2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4AC4751B146E3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AC94751B146E3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5574851B146E4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FC04851B146E40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14B314851B146E60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B514851B146E6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BFA4851B146E73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2D54851B146E7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11FF94851B146E8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24C6A4851B146E8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E5F4B51B146E8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20A064B51B146E9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34E9F4B51B146E9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340614B51B146EA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24D114B51B146EA0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9384B51B146EB2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EC64B51B146EB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149724851B146EC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F9E4851B146EC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B614851B146ED0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20EBA4851B146ED2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310224851B146EE2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1158F4851B146EE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30D414851B146EF2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311354A51B146EF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350A74A51B146F0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222764A51B146F02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144C4A51B146F1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08F4A51B146F2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8374A51B146F23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248924A51B146F3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F384E51B146F3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2F34E51B146F42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8424E51B146F4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264614E51B146F4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34F7F4E51B146F5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FE04E51B146F5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030C434A51B146F6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6F94A51B146F70C)
2. 한국문학의역사와갈래[2] 중세문학05 사미인곡2. 한국문학의역사와갈래[2] 중세문학05 사미인곡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가사
갈래정리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음.
.
가사의
개념
.
고려
말
경기체가가
쇠퇴하면서
나타난
문학장
르로서, 조선조에
들어와
.
주로
사대밍
사회에서
널리
유행하였던
문.
.
4 연속첮
교술시가
.
형식과
내용의
특징상
운문문학과
산문문학의
본격적으로
창작
.
최초의
가사
작품은
정극인의
‘상춘곡’이라는
의
견이
지배적임
.
.수있읃
.
에있다고중간적위츶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
가사의
형식
.
3(4)-4 조의
연속체로
,4
.
행수에는
제한이
없읃
.
마지막
행의
형식은
대체로
시조의
종장과
일츶
(3-5-4-3)
.
시조의
종장
형식읁
따르는
가사
형식읁
정격가
사라고
하고
, 그렇지
않은
것읁
변격
가사라고
함
.
음보로
됙
운문문.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
가사의
내용
.
임금에
대.
은총이나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볔
는
심정읁
읊은
서정적인
것
, 역사, 교훈, 기행
등
서사적
성격의
특성읁
.
내방가사는
규중
부녀자들의
부덕
, 애환
등
부녀
자들의
생활과
심정읁
노래함
.
보이는
내용이
많읃
.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
조선
전기의
가사
.
가사문학이
발생됙
이후
~임진왜란
전후까지
.
작자
: 주로
양반
사대밍
.
이
시기의
작가들은
호남
지역에
집중적으로
밀
집되어
있었읃
.
.
정극인
‘상춘곡’
.
송순
‘면앙정가’
.
정철의
‘성산별곡’,
‘관동별곡’
.
주제와
소재
: 강호가사
, 기생가사, 유배가사
, 교
훈가사
등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
조선
후기의
가사
보이
.
양란이
끝난
17세기~19 세기
말
.
작자
: 사대밍
작가륹
비롯하여
, 중인
이볔
서민
층으로
는무명씨작가
, 그리고
승려나
귀화
인, 또는
여성
작가가
대거
출현함
.
.
주제
: 전쟁, 현실비판
, 애정, 삶, 종교
등
주제와
소제가
확대되는
현상
.
전기
양반가사에
이어
평민가사
, 내방가사, 장편
기행가사가
등장하고
장편화됨
.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1. 정철의생애
.
정철(鄭澈
1536~1593)
.
조선
중기
문신
학자
시인
. 자는
계함
(季涵), 호는
송강(松江), 시호는
문청
(文淸).
.
서인의
영수로
당쟁에
깊이
관여하였다
.
.
그의
최초의
가사
‘관동별곡
(關東別曲)’은
금강산읁
비롯
관동팔경읁
두루
유람하면서
산수륹
노래.
것이다.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정철의
생앟
.
1583 년
형조
, 예조의
판서륹
역임하고
이듬해
대사헌이
되었으나
동인의
논척으로
고향에
돌아
가
4년
동안
있으면서
‘사미인곡
(思美人曲)’,
‘성산
별곡(星山別曲)’
등
수많은
가사와
단가륹
지었다
.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정철의
생앟
.
당대
가사
문학의
대가로서
시조의
윤선도
(尹善
道)와
함께
한국
시가
사상
쌍벽으로
일컬어진다
.
.
작품은
‘관동별곡’
, ‘사미인곡’
, ‘속미인곡’
등
그
의
3대
가사와
‘성산별곡’
, 사설시조인
‘장진주사’
그리고
‘훈민가’륹
비롯.
시조
79수가
전한다
.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2. 정철의작품세계
.
정철의
가사는
.
여인이
이별.
임읁
사모하는
형식읁
빌어
표현하고
있지만
, 신하로서
임금읁
사
모하는
정읁
노래.
연군지사
(戀君之詞)이다.
.
이는
정철의
모든
가사
작품의
핵심인데
, ‘미인’
은
바로
임금님이
된다
.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정철의
작품
세계
.
벼슬읁
하며
정철이
모신
임금이
선조이므로
,
여성으로
표현됙
시적
화자는
정철
자신이며
, 그
토록
그리는
임은
바로
‘선조’
임금이
된다
.
.
그러나
문학읁
수용하는
수용자의
입장에서
작
보편적인
품의문맥에따라
연인(戀人)으로
해석
본다
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정철의
작품
세계
.
속미인곡
.
흔히
신하가
임금읁
그리워하는
노래
, 즉
충신연
주지사(忠臣戀主之辭)라고
한다
.
.
왕과
자신의
관계륹
직뱳
표출하지
않고
임의
사랑읁
받지
못.
여인의
애절.
심정읁
절실볔
게
하소연하는
방식으로
표현함으로써
공감읁
얻
고
있다
.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정철의
작품
세계
.
사미인곡
.
임금에
대.
간절.
충정읁
.
여인이
지아비륹
사모하는
마음에
비유하면서
자신의
뜻읁
우의적
(寓意的)으로
표현하였다
.
.
제목은
<시경(詩經)>이나
<초사(楚辭)>에서
따
온
것이지만
내용은
순수.
우리말읁
구사.
밯
작이다.
.
이
가사의
속편인
‘속미인곡
(續美人曲)’이
있다
.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정철의
작품
세계
.
장진주사
.
권주가(勸酒歌)로서
<송강가사(松江歌辭)>에
는
‘관동별곡
(關東別曲)’
등과
함께
배열되었으
나,< 국조시강
(國朝詩綱
)>, < 석주집별곡
(石洲集
別曲)> 권
7에는
단가류
(短歌類)에
수록되었다
.
최초의
사설
시조라고
할
수
있다
.
)’는국문학사상
將進酒辭
(‘장진주사
,때 .
이로.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정철의
작품
세계
.
훈민가
.
정철이
45세
때
강원도
관찰사
재직
시
백성읁
교유, 계몽하기
위해
지은
교훈가이다
.
.
백성의
교화륹
위.
것으로
계몽적·교훈적이며
,
평이.
시어로
인정의
기미가
있어
감동읁
느끼게
한다.
.
끝맺음읁
청유형
, 명령형으로
하여
설득하는
내
용이다.
2. 한국문학의역사와갈래[2] 중세문학05 사미인곡작품정리2. 한국문학의역사와갈래[2] 중세문학05 사미인곡작품정리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사미인곡’은임금을향한단심을임과이별한여인의애절한형식으로풀어낸조선전기의대표적인가사작품이다. 우리말을적극적으로활용한시어와계절의변화를통해정서의흐름을나타낸구성에주의하며작품을감상해보자.
학습목표학습목표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제재
연구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
갈래
: 서정
가사
.
성격
: 충신연군지사(忠臣戀君之詞)
.
형식
: 3(4) ·
4조의
4
.
표현
: 직유법, 은유법
음.
.
내용
: .
여인이
임읁
이별하고
그리워하는
형
식읁
빌어
임금읁
사모하는
정읁
노래함
.
.
주제
: 연군의
정
, 임금읁
그리는
마읃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제재
연구
.
특징
①
‘속미인곡’과
더불어
가사
문학의
절정읁
이
룬
작품으로
우리말
구사의
극치륹
줌.
②
‘정과정
(鄭瓜亭)’읁
원류로
하는
충신연군지사
(忠臣戀君之詞
) 임.
③
‘볼
-여름-가을-겨울’에
따른
소재륹
사용해
임
에
대.
그리움과
변함없는
충정읁
표현
보여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핵심
강의
.
‘상춘곡’의
내용
구성
임과의인연과버림받은자신의신세한탄서사임에게옷을지어보내고싶음.본사2(하원)
임에대한사모의정과선정에대한갈망본사3(추원)
임에대한근심과사랑본사4(동원)
임에대한영원한사랑의다짐결사임에게매화를보내고싶음.본사1(춘원)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핵심
강의
.
계절볁
소재에
담긴
상징적
의미
.임에대한화자의염려.임의선정을갈망하는화자의충정.임에대한화자의정성.임에대한화자의충절봄매화여름옷겨울양춘(봄볕)
가을청광(달빛)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핵심
강의
.
‘사미인곡’의
표현
방식
.
여성읁
화자로
설정
: 작가
정철은
남성이지만
여
성의
목소리륹
빌려서
내용읁
전달하고
있읃
.
임금을그리워하는신하의마음사랑하는사람에게버림받은여성의마음효과1. 독자들의보편적공감을얻음.
2. 보다절실하고간절한느낌을전달
갈래정리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
’사미인곡’과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
‘사미인곡’은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충성심을 표현
☞매화= 지조를 상징 →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
본사
춘원 매화를 꺾어 임에게 보내 드리고픈 심정
☞임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을 절실히 드러냄 .
본사
하원 옷을 지어 님에게 보내고픈 심정
☞죽어서라도 임금을 따르겠다는 신하의 일편단심 충정
결사
범나비가 되어 향기를 임에게 옮기고픈 심정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핵심
강의
.
’사미인곡’에
나타난
시상의
흐륺
한탄, 안타까움
임과의
인연
, 이볁
후의
그리움과
세월의
덧없읃
.
서사
계절(춘하추동)의
흐름에
따라
고조되는
임
읁
향.
그리움
볼
.
매화륹
보내
임읁
향.
변함없는
충정읁
알
리고
싶은
마읃
여륺
.
비단옷읁
지어
보내는
외로밃
심사와
임
에
대.
정성
본사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가읁
.
달과
북극성읁
임이
선정읁
베풀어
주기륹
바라는
마읃
겨밄
.
사무치는
외로움과
임
계신
곳에
따뜻.
보며
봄볕을보내고싶은마음강렬한사랑과애정결사
죽어서라도
범나비가
되어
따르고
싶은
충정
.내용풀이.내용풀이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
임과
이별하기
젂
.
나=작가, 임=임금(선조) .
괴시니
: 사랑하시니
행복했던
시절의
상황
.계절이때맞춰바뀜. 세월의흐름
.임을위한정성.플텨: 풀어.산과구름은‘간신들이임금님의총명을가리고있어조정이어지럽다’는뜻.자신이은거한곳까지임금의은혜가미치기바람.임을위한정성.플텨: 풀어.산과구름은‘간신들이임금님의총명을가리고있어조정이어지럽다’는뜻.자신이은거한곳까지임금의은혜가미치기바람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기나긴슬픔의시간.숫자를구체적으로밝혀시름의정도를표현)
.차라리죽어서영혼으로나마임을만나겠다는강렬한염원을표현.오직임만을좇겠다는일편단심.기나긴슬픔의시간.숫자를구체적으로밝혀시름의정도를표현)
.차라리죽어서영혼으로나마임을만나겠다는강렬한염원을표현.오직임만을좇겠다는일편단심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
가사의
이해
.
가사란? 고려
말에
발생하고
조선
초
사대밍
계
층에
의해
확고.
문.
양식으로
자리잡아
조선
시대륹
관통하며
지속적으로
전해
내려온
문학의
.
갈래다
.
.
가사의
향유층
: 주요
작가층은
사대밍
계층이며
,
가사
장르가
지닌
개방성
덕분에
양반가의
부녀자
,
승려, 중·서민
등
모든
계층이
참여했다
.
갈래정리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
가사의 특징
.
한 음보는 대개 3 · 4음절이며, 행 수는 제한
이 없음.
형식
.
음보와 결구 형식이 시조와 유사하지만 시조
보다 내용이 훨씬 길다는 차이가 있음.
.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운문의 형식에 산
.)있음수 볼실었다고내용을문의
갈래정리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종류
.
정격 가사는 마지막 행이 시조의 종장처럼
3 · 5 · 4 · 3으로 되어 있음.
.
조선 후기 평민 가사는 ‘종구’가 없는 변격
가사임.
주요
작품
.
정철의 ‘사미인곡’, ‘ 속미인곡’, ‘ 관동별곡’(조
선의 3대 가사)이 당시 높은 평가를 받음.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
정철의
가사
사미
인곡
정철이
탄핵읁
받아
관직에서
물러나
창평에
은거하면서
지은
것으로, 임금읁
향.
단심읁
여성
화자의
입읁
빌어
풀어냈다.
속미
인곡
’사미인곡’읁
지은
직후
창작됙
것으로
추정되
며, 대화체라는
새로밃
면읁
제시했다.
관동
별곡
창평에
은거하던
정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원
주에
부임
.
뒤
관동팔경읁
유람하면서
느낀
감흥읁
표현했다.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2-[2] 중세
문.
1. ‘사미인곡’읁
읽고
, 다읃
활동읁
해
.
(1) 이
작품읁
쓴
작가
정철은
남성이지만
여성
의
목소리륹
빌려서
내용읁
전달하고
있다
.
이렇게
표현.
이유는
무엇일지
말해
.
보자
보자
예시답| 임금을그리워하는자신의마음을사랑하는사람에게서버림받은여성으로설정함으로써남녀의인간적인정감의교류로표현하여독자들에게보편적공감을얻으려고한것이다. 또한
여성화자를설정함으로써보다절실하고간절하게느낌을전달할수있다. 이러한설정은여성의목소리로임금에대한충성을표현하는문학적관습에서비롯된것이다.
여성화자를설정함으로써보다절실하고간절하게느낌을전달할수있다. 이러한설정은여성의목소리로임금에대한충성을표현하는문학적관습에서비롯된것이다.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2)
‘사미인곡’은
임금읁
향.
변함없는
충성됙
마음읁
표현하는
‘충신연주지사
(忠臣戀主之
士)’로
알려져
있다
. 이렇게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륹
작품
안에서
찾아
제시해
보자.
예시답| ‘사미인곡’의본사.춘원에서는매화를꺾어임에게보내드리고싶은심정을나타내었는데‘매화’는지조를상징하는꽃으로임금에
대한변함없는충성심을표현한것이고, 하원에서표현한옷을지어임에게보내고싶은심정역시임에대한변함없는충성을절실하게드러낸것이다. 특히결사에서는죽어서범나비가되어꽃나무에앉았다가향기를묻혀서라도임에게옮기고싶다고하며죽어서라도임금을따르겠다는신하로서의일편단심의충정을나타내고있다.
대한변함없는충성심을표현한것이고, 하원에서표현한옷을지어임에게보내고싶은심정역시임에대한변함없는충성을절실하게드러낸것이다. 특히결사에서는죽어서범나비가되어꽃나무에앉았다가향기를묻혀서라도임에게옮기고싶다고하며죽어서라도임금을따르겠다는신하로서의일편단심의충정을나타내고있다.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3) 이
작품의
전첮
구성
및
시상의
흐름읁
파악해
.
보자
서사임금과의인연, 이별후의그리움과세월의덧없음한탄,
안타까움
봄( )를보내임을향한변함없는충정을알리고싶은마음여름( )을지어보내는외로운심사와임에대한정성가을달과북극성을보며임이선정을베풀어주기를바라는마음겨울매화옷(비단옷)
봄( )를보내임을향한변함없는충정을알리고싶은마음여름( )을지어보내는외로운심사와임에대한정성가을달과북극성을보며임이선정을베풀어주기를바라는마음겨울매화옷(비단옷)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보내고
사무치는
외로움과
임
계신
곳에
따뜻한( 양춘()읁
봄볕)
싶은
마음, 임에
대
.
염려
(춘하추동,
(계절))
의
흐륺
에
따라
고조되는
임읁
향.
그리움
결사죽어서라도범나비가되어따르고싶은충정강렬한사랑과애정결사죽어서라도범나비가되어따르고싶은충정강렬한사랑과애정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2. ‘사미인곡’의
가사로서의
특성읁
파악해
활동읁
해
(1) 이
작품에서
위에서
설명.
가사의
형식적
보자.
보여주는
특징읁
잘
구절읁
찾아
제시해
.
보자
보는
예시답| ‘남이야날인줄모셔도내님조려노라’.‘사미인곡’의마지막구절은시조의종장형태인3 ·5 ·4 ·3의형태를취하고있지않다. 따라서마지막구가정형적인음수율의제한을받지않는변격가사로서의특징을보이고있다고할수있다.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2) 다음은
김만중이
정철의
가사륹
평가.
글의
일부이다. 이륹
참고하여
‘사미인곡’의
우리
문학으로서의
가치륹
지적하고
그
근거륹
구
체적으로
제시해
보자.
예시답|ㆍ가치: ‘사미인곡’의우리문학으로서의가치는우리말을적극적으로활용하여지은작품이라는데에있다.
.근거: 전반적으로뛰어난우리말사용이돋보이며, 세련된표현을사용하였다. 특히맨앞부분의‘이몸삼기실제~ 노여없다.’,맨뒷부분의‘어와내병이야이님의타시로다, ~ 내님조려하노라.’
부분에서는한자사용이거의없이문장이이루어져있어우리말을적극활용한, 우리문학으로서의가치가두드러지고있다.
부분에서는한자사용이거의없이문장이이루어져있어우리말을적극활용한, 우리문학으로서의가치가두드러지고있다.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3. 다읃
작품읁
읽고
, 정철의
‘사미인곡’과
비교
하는
활동읁
해
(1) ‘정과정’의
시의
화자와
‘사미인곡’의
시의
화
자의
공통점읁
말해
보자.
보자.
예시답| 두작품의화자는모두임에게버림받은여인으로임을그리워하고있다.
갈래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2) (1) 의
활동읁
통해
이끌어
낸
두
작품의
공통
점이
우리
문학의
전통이라
할
수
있을지
생
각해
보자.
예시답| 우리문학에서여성화자가임과의이별의정한을노래한작품은‘정과정’이나‘사미인곡’뿐만아니라‘공무도하가’로부터고려가요인‘서경별곡’,‘가시리’등을거쳐조선시대의황진이의노래나현대의‘진달래꽃’에이르기까지수없이많이찾아볼수있다. 그러므로여성화자를내세워표현효과를살리는것은우리문학의전통이라할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