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구(天球)
지구를 중심으로 한 무한대의 가상적인 구
천체의 위치를 표현하는데 사용
지구의 자전(the rotation of the earth )
서 → 동(반시계방향)
1시간에 15º씩 회전
자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
-별의 일주운동
-태양과 달의 일주운동
-반복되는 낮과 밤
-인공위성의 서편 현상
-푸코진자의 진동면 회전
별의 일주 운동(視運動)
ㅁ
1시간에 15º씩 회전
일주운동방향:동→서
별이 지나간 각의 크기는 모두 같다.
중심의 별은 북극성
위도에 따른 별의 일주운동
중위도 지방에서 본 별의 일주운동
북쪽하늘 동쪽하늘 남쪽하늘 서쪽하늘
태양의 일주운동
태양은 매일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면서 낮과 밤이 반복된다.
인공위성의 서편(西偏)현상
인공위성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인공위성이 서쪽으로 조금씩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시뮬레이션 보기
푸코(Foucaul)의 진자
지구의 공전(The revolution of the earth)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1년에 한 바퀴씩 회전
공전방향 : 서 → 동
공전속도 : 하루에 약 1º씩 회전
공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
-별의 연주운동(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변한다)
-태양의 연주운동
-계절변화
-낮과 밤의 길이 변화
-별의 시차 현상
별의 연주운동(年周運動)
별이 일년동안 천구상에서 동에서 서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운동
매일 같은 시각에 별자리를 관찰할 때 별들이 하루에 약 1º씩 동 →서로 이동하여 1년 후에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태양의 연주운동
황도 : 태양이 1년 동안 별자리 사이를 지나는 천구상의 길 (지구의 공전궤도와 일치함)
황도의 위치 : 천구의 적도에 대해 23.5º기울어짐
황도상에서 태양의 위치 :
ⓐ 춘분점
→ ⓑ 하지점
→ ⓒ 추분점
→ ⓓ 동지점
황도 12궁
지구에서 볼 때 태양과 같은 방향에 있는 별자리는 볼 수 없고, 태양의 반대방향에 있는 별자리는 한밤중에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별의 연주시차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의 위치가 바뀜에 따라 지구에서 별이 보이는 방향이 바뀌어 보이는 각도
계절의 변화
지구의 자전축이 23.5º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기 때문에 남중 고도와 밤낮의 길이가 변한다.
태양의 남중고도(북반구)
하지 : 태양의 남중고도가 1년 중 가장 높다.
동지 : 태양의 남중고도가 1년 중 가장 낮다.
춘분,추분 : 태양의 고도가 하지와 동지의 중간
☞밤낮의 길이 변화: 태양의 남중고도가 높을수록 낮의 길이가 길어진다. 하지 때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동지 때 낮의 길이가 가장 짧다.
지구공전과 계절의 변화
태양의 남중고도 구하기
남중고도(h)=90-(φ+23.5)=29.5
태양의 일주운동
달의 공전
달이 백도를 따라 지구 둘레를 한 달에 한 바퀴씩 회전하는 운동
서 → 동으로 이동
하루에 약 13º씩 공전
해가 진 직후 같은 시각에 매일 달을 관측하면 하루에 약 13º씩 서 → 동으로 옮겨진 위치에서 관측
(달이 지구둘레를 매일 약 13º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공전하기 때문)
달이 뜨고 지는 시각
보름달 이후로 날마다 50분 정도 늦게 뜨고 진다. (지구가 자전하는 동안 달이 공전하기 때문)
달의 모양 변화 :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가 아니므로 빛을 받는 면만 보임
삭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
오늘의 달 모양
달의 공전주기
항성월 : 달의 실제 공전주기(27.3일)
삭망월 : 음력의 기준(29.5일, 음력 한달)
삭망월이 항성월보다 약 2.2일 더 긴 이유 : 달이 지구 둘레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도 태양 둘레를 공전하기 때문
시뮬레이션 보기
달의 자전
달이 자전축을 중심으로 한 달에 한바퀴씩 서→동으로 회전
달표면은 항상 같은 표면무늬가 보인다.
(달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기 때문)
일식
태양이 달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 (동영상)
달이 태양-달-지구의 순으로 일직선이 되는 삭일 때 관측 가능
월식(月食)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에 들어가 가려지는 현상
태양-지구-달의 순서로 일직선이 되는 망일 때 관측가능
일식과 월식이 삭과 망일 때 항상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황도와 백도가 5º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황도와 백도가 만나는 곳에서 삭과 망일 때 일식,월식이 일어난다.
행성의 운동
수성, Mercury
금성, Venus
화성, Mars
적도반지름 3398km
자전주기 24시간 37분, 공전주기 687일
낮 30도, 새벽 -70도
계절 변화 있다(자전축 25도 기울어져 있음)
화성의 위성
목성(Jupiter)
지름 : 지구 11배, 부피 지구 1216배,
질량 : 모든 행성 합한 것보다 8배
자전 : 10시간, 공전 12년
평균온도 : 약 -140도 (대기주요성분 –수소, 헬륨)
위성 16개
목성의 위성
토성, Saturn
지름 지구 9.1배, 부피 760배, 무게 95배
평균온도 -145도
공전주기 30년
위성 18개
천왕성, Uranus
지름 지구4배, 질량15배
자전축이 태양을 향함
천왕성의 위성
해왕성, Neptune
내행성 공전궤도
내행성의 시운동
태양을 중심으로 최대이각 안에서 동서로 왔다갔다하는 것처럼 보인다.
최대이각 : 수성 24º, 금성 48º
초저녁 또는 새벽에만 관측 가능
외행성 공전궤도
외행성의 시운동
초저녁, 한밤중, 새벽 모두 관측 가능
순행 → 역행 → 순행
역행이 나타나는 이유 : 외행성이 지구 바깥쪽 궤도에서 지구보다 느리게 공전하기 때문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력사면이동mass wasting::산사태 정의와 발생 원인 (0) | 2013.07.01 |
---|---|
인적 자원 관리 및 자금의 조달과 운용(재무관리) (0) | 2013.06.30 |
인종주의 Racisme:::개념, 역사,나라별 사례(특히 프랑스 더 자세히) (0) | 2013.06.28 |
사미인곡(정철이 쓴 가사) ::개념,형식,내용,생애,작품 세계 (2) | 2013.06.27 |
제주도 방언, 사투리 (6) | 201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