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고유 신체 기관 장애 원인과 종류
여성생식기능 장애관리
월경통(dysmenorrhea)
• 30~75% 여성
• 일차적 월경통: 병리적 골반질환 없이 프로스타글란딘 과잉이나 프로스타글란딘에 대해 증가된 민감성이 원인
프로스타글란딘: 평활근 수축을 야기하는 호르몬
• 이차적 월경통: 질환상태, 통증이 특정부위에 국한, 일측성 또는 월경이 20세이후 시작되었을 때 의심
원인과 위험요인
자궁 프로스타글란딘 상승
내분비요인
자궁근육 요인
생화학적 요인
정신사회적 요인
2차적 월경통의 원인
: 골반내 감염, 자궁내막증, 선증(adenomyosis), 자궁근종, 자궁탈출, 폴립
병태생리
• 월경기간동안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은 강력한 자궁근육 수축을 유발한다. 심각한 근육경련은 자궁에 공급하는 혈관을 수축시켜 허혈과 통증을 초래
• 평활근에서 프로스타글란딘과잉은 위장관 증상, 구토, 다른 증상을 유발한다
임상증상
일차 월경통: 대개 월경 시작전 1~2일에 시작, 더 심한 통증은 처음 24시간에 나타나고 둘째날 감소
결과관리
내과적 관리
• 경구피임약 투약: 배란을 억제하고 자궁내막 프로스타글란딘 생산감소와 자궁운동의 감소를 초래
• 운동증진: 호기성 운동이나 수영같은 운동은 월경통을 감소시킴, 운동은 혈류내 내부 마취제인 β –엔도르핀을 증가시켜 통증을 감소시킴
•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제 투여: 배란기중에도 프로스타글란딘 활동을 감소시켜 통증을 감소시킴,
• Ibuprofen, mefenamic acid, indomethacin, naproxen
• 관절염약- celecoxib(celebrex), rofecoxib(Vioxx)
• 부작용- 위장관 장애, 수분나트륨 정체, 발진, 잠재적 알레르기 반응
• 효과 위해 월경시작전이나 시작시 투여
• 2차적월경통: 자궁내막증, 골반내감염 치료
월경전 증후군
• Premenstrual syncrome; PMS
• 월경전 여성에게 나타나서 월경중 감소되거나 사라지는 정신적, 신체적인 복합적인 증상
• 30~40대 여성에서 가장 높음
• 20~60% 여성이 경험
원인과 위험요인
• 에스트로겐 과다와 프로게스테론 부족 또는 에스트로겐 부족과 프로게스테론 과다와 같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불균형
•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알도스테론간의 상호작용
• 프로락틴 과다, 갑상선 기능저하증, 저혈당증
• 비타민 B6, 마그네슘 또는 둘 다의 영양결핍
• 스트레스 증가와 부족한 영양과 같은 생활습관요인
임상증상
• 며칠전에 나타나서 월경이 시작되면서 갑자기 완화
• 감정적 증상: 긴장, 우울, 불안, 적개심, 불면, 외로움, 쉽게 울음을 터뜨리는 경향, 우유부단함
• 신체적 문제: 두통, 유방울혈과 복부팽창, 말초부종, 관절통, 요통, 두드러기, 변비, 편두통, 헤르페스
진단
생리주기 달력에 따른 징후가 주기적으로 나타남
결과관리
내과적 관리
• 비타민과 미네랄: 비타민 B6 섭취, 카페인섭취 제한, 칼슘, 비타민 A,C, 마그네슘
• 약물: aldactone, 프로게스테론, 경구피임약, 항불안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zoloft, paxil,prozac
간호
• 교육제공: PMS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징후, 약 복용방법
• 생활습관 변화: 염분, 정제된 탄수화물 섭취 줄이기, 알코올, 카페인 섭취 줄이기, 금연, 스트레스 관리, 적절한 체중감소, 운동
• 대응증진
비정상 자궁출혈
• 월경장애, 생리혈의 부족이나 불규칙 또는 과도한 자궁출혈
• 기능장애성 자궁출혈(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장기의 원인이 보통 사정기술을 통해 발견될 수 없는 비정상적 자궁출혈을 말함
-호르몬 조절기능의 변화로 생김
1. 무월경(amonorrhea): 월경이 없는 것
• 일차적 무월경: 16세가 되었는데 월경을 시작하지 않는 것
• 이차적 무월경
• 규칙적으로 월경을 하던 여성이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경우
• 불규칙적 월경을 하던 여성이 12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것
결과관리
내과적 관리
임신진단: 가임기 여성에서 임신 확인
교육제공: 무월경의 원인에 따라 교육
2. 월경과다
Menorrhagia: 정상적인 주기에 과도한 출혈이 있는것
원인과 위험요인
• 무배란성 월경주기
• 자궁섬유종 또는 선종
• 해부학적 병변
• 자연유산
• 염증성 과정(자궁내막염과 난관염)
• 혈액질환(세포학적 요소의 장애)
• 갑상선 기능저하증
• 자궁내 장치의 사용
• 자궁내막암종
• 약물(항응고제)
임상증상
• 정상과 비정상주기의 패드나 탐폰의 숫자를 비교하여 비정상을 결정한다, - 비정상 출혈
• 심한 출혈: 1~2시간마다 교환하는 패드나 탐폰
• 헤마토크릿, 혈색소 수치 측정
• 질내초음파
내과관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단독 또는 혼합처방
경구피임약
항섬유소용해제 투약
외과적관리
• 자궁내막생검: 원인 규명
• 내막제거
• Thermachoice: 호르몬이 풍부한 자궁내막을 파괴
• 자궁을 확장시켜, 특수한 풍선을 자궁에 삽입, 풍선은 자궁 내부에 화상을 일으키는 뜨거운 액체로 부풀게 하는것, 시술 후 풍선을 제거, 당일 퇴원
간호
• 생검에 대한 설명, 동의서
• 수술 후 회음부에 패드 적용, vaginal packing
• 활력징후 측정, 질 출혈 사정, 배뇨능력 사정,
• 통증조절: 아세트아미노펜, 코데인
퇴원교육(P 1061)
부정자궁출혈
Metrorrhgia
월경 사이의 질 출혈(약간 묻어나오거나 확실한 출혈)
원인
자궁외 임심, 자궁경부의 폴립, 경구피임약으로 인한 출혈, 월경과다
치료
임신,악성 또는 비악성 세포, 호르몬 이상 또는 신체적 비정상도 의심하여 적절하게 치료
폐경
외과적 폐경
외과적 난소 제거, 화학적 젤제, 골반 방사선에 의해
폐경기 변화
• 혈관운동성 불안정: 홍조, 야간발한, 심계항진
• 홍조: 상흉부 또는 목에서 얼굴과 머리쪽으로 향하는 갑작스런 불수의적인 열의 파동
• 불규칙한 월경
• 질의 변화:위축성 질염의 징후, 질과민, 타는 듯한 느낌, 소양증, leukorrhea증가, 출현, 성교불쾌증, 평평한 소음순, 붉은 대음순
• 수면장애
내과적 관리
호르몬 대체: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투여
간호
교육제공:에스트로겐치료의 위험요인과 장정에 대해 교육
자가간호
• 질건조를 경감시킨다: 수용성 질 윤활제 사용
• 골다공증 예방: 체중부하 운동, 칼슘 복용, 금연, 알코올, 카페인 섭취 줄임
• UTI 예방: 수분섭취증자(하루 6~8컵), 2~3시간마다 배뇨, 회음부 위생유지, 순면 속옷 착용
• 골반완화: 케겔운동을 하여 근육강도 높임
• 적절한 체중 유지
폐경 후 출혈
• 질 위축, 자궁경부폴립
• 자궁섬유종
• 자궁내막증식증
• 자궁경부 미란
• 자궁 또는 자궁경부암
증상
골반내 염증질환 (PID)
• PI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 상부 생식기에 침범된 상행성 골반 감염
원인과 위험요인
• 클라미디아 트라코마, 임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화농균 세균
• 성접촉으로 전염
전파경로
• 결핵: 드문 원인이나 혈액을 통해 전달
나팔관 감염, 난소, 자궁, 골반, 골반내 복막 감염
항결핵약물 효과 나타날때 까지는 여성분비물은 오염상태
2) C 트라코마, 임균, 포도상구균: 자궁내막을 따라 나팔관까지 퍼져 급성 난관염(나팔관의 염증;salpingitis) 유발
난관이 부분적으로 폐색, 골반강내로 농, 백혈구, 다른 찌꺼기들에 의해 골반복막염 유발
그러한 물질들이 난소 주변에 주머니를 형성하여 난관-난소 농양(tuboovarian abscess) 일으킴
3) 연쇄상구군: 자궁이나 자궁경부의 림프관을 따라 자궁주위조직을 지나 난관 또는 난소까지 침투
골반 봉와직염과 색전 형성의 위험서 있는 골반의 주요 정맥에 혈전성 정맥염이 발생 할 수 있다.
4) 골반강 자체 감염: E-Coli 가 파열된 장기로 부터 밀려나와 복막염을 일으킴
합병증: 골반농양(가장 흔함), 패혈성 쇼크,
임신 어려움, 자궁외 임신(염증에 의한 상처, 나팔관 상처와 이차적 폐쇄)
임상증상
• 권태감(malaise), 열(fever), 오한(chill), 식욕부진(anorexia), 오심(nausea), 구토(vomiting), 빈맥(tachycardia)
• 통증(pain): 갑작스럽고 날칼로우며 심한 쑤시는 듯한 통증, 양쪽 복부나 골반쪽으로 오는 통증
• 소변이나 대변을 볼때 심해지고, 묵직함
• 화농성이고 악취가 나는 분비물
• 질 출혈
• IUD (Intra-Uterine Device(s); 자궁내 장치): PID 발병 연관+
진단
뱅양검사: 자궁경부, 질, 요도 분비물
자궁내막 생검조직검사, 질경검사, 초음파
내과적 관리
원인균 제거: 항생제, 질세척 금지, 항결핵제
외과적 관리
농양 제거
자궁, 난소, 나팔관 감염시 필요시 제거
간호
1) 배액과 편암감 증지
• Semi-fowler`s position
• 좌욕
• 진통제
• 질분비물, 양, 색깔, 냄새, 형태 확인 기록
• 회음부 간호
2) 지지제공
3) 교육제공
• 감염, 재발증상, 일반적 위생, 성행위
• 회음부 주변 주기적 세척(비누, 물)
• 배설 후 앞에서 뒤로 닦기
• 생리기간 일정기간마다 탐폰, 패드 바꾸기, 전후 손씻기
• 균형잡힌 영양, 적절한 휴식, 잠, 운동
만성 골반내 염증질환
급성기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부적절할 경우
임상증상
만성적 골반 불편감, 월경장애(menstrual disorder), 기능부전성 자궁내출혈(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변비(constipation), malaise (권태)
합병증: 불임(infertility 난관 일부의 파괴와 폐쇄)
치료: 원인균 제거, 외과적 제거
자궁내막질환
• Endometriosis
• 자궁내막이 자궁안을 정상적으로 감싸고 있는 조직이 자궁보다 더 안쪽의 위치에 자라고 있는 비정상적인 상태
• 30대 중반 호발
• 가족적 소인
원인과 위험요인
• 퇴행성 월경이론: 월경분비물이 난관을 통해 거꾸로 흐르면 생존 가능한 자궁내막입자가 자궁강 밖에 있게 된고, 그 후 자궁내막 조직이 스스로 재생산되는 것, 이것을 이형성(metaplasia) 라 함
• 혈관, 림프관 분포이론: 자궁내막 조직이 림프계나 혈관계를 통해 자궁 밖으로 전이, 이것이 폐나 신장 같은 먼 부위로 전이
• 난소, 골반 복막의 연결부분
• 드물게 수술상처, 폐, 사지 등 골반 바깥에 위치
• 자궁내막은 호르몬 자극이나 출혈에 반응 다양한 증상
• 상처, 염증, 복막내부의 반복적인 출혈, 반흔과 유착으로 장기와 복막 유착
합병증: 불임(반흔으로 인해, 난관폐쇄)
임상증상
위치
• Pain: 월경시작전에 있고, 월경기간 중, 그후 며칠 지속
월경시작전과 월경주기의 처음 1~2일동안 최고조
• 성교통증, 월경불규칙, 난관폐색이 없는 불임
• Chocolate 낭포(난소내부에 발생) 혹은 자궁내막종
• Severe pain: 낭종이 있거나 파열되었을때
• 요관폐색: 자궁내막이 요관
• 직장: 출혈, 설사, 폐색, 고통스로운 배변
진단
병력, 골반검진, 복강경검사(laparoscopy), 골반수술
내과적관리
증상완화
• 경구피임약, 프로게스테론: 가임신을 유도, 프로게스테론이 자궁내막의 이식조직들을 벗겨내는 것
• Danozol(Danocrine): 난소억제와 자궁내막증의 퇴행을 야기하는 성선자극호르몬 분비를 억제하는 항성선자극 호르몬 테스토스테론 유도체
부작용: 여드름, 다모증, 체중증가, 유방크기 감소, 열감, 질건조
• Leuprolide(Lupron): 황체호르몬과 유사한 합성물, 자궁내막증의 통증과 병변 감소, 매월 근육주사, 매일 피하주사
• Nararelin(synarel):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른(GnRH)과 유사, 자궁내막증 병변이나 난소호르몬에 민감, 자궁내막증 병변 감소, 하루 2번 비강내로 투여
외과적 관리
자궁내막 증식 환부를 파괴, 제거
• 이산화탄소 레이저: 유착과 자궁내막 이식조직을 제거
• 근치적 수술: 자궁, 가능한 많은 내부구조물을 가능하면 난소까지 제거
다른 방법 실패, 더 이상 임신을 원하지 않을 때
영구적 불임, 폐경
양성자궁 종양(평활근종)
• Leiomyoma
• 월경을 하고 있는 전체 여성 20~30%에서 발생
• 근종, 유선종, 섬유종, 섬유근종, 섬유평활근종, 섬유공
• 주로 근육과 섬유결합조직
• 원인과 위험요인
• 평활근종의 성장은 에스트로겐 자극과 관련
• 평활근 세포의 단순 증식으로 시작
분류
• 근층내근종(intramural)
• 점막하근종(submucosal)
• 장막하근종(subserosal)
• 유주성 또는 기생성근종(wandering or parasitic)
• 인대내근종(intraligamentary)
• 자궁경부근종(Cervicla)
P 1068
임상증상
• 월경과다(과도한 자궁출혈). 비정상적인 출혈
• 피로(fatigue), 허약(weakness), 권태감
• 월경불순, 골반압박감, 빈뇨(종양이 방광 누르면), 변비, 수뇨증, 수신증, 복부통증, 성교통(흔하지 않음)
• 질 분비물(악취, 혹은 물이나, 피)
• 복부압력, 복부팽만
• 종양
진단
과거력, 골반검진, 초음파
내과적 관리
• 5개월마다 f/u: 임신, 출혈 많지 않거나, 방광, 대장, 자궁의 압박이 없거나, 급성장하는 종양이 아닌경우
• GnRH 유사체: 종양의 크기 감소와 성장억제
외과적 관리
• 혈액공급원을 절제, 근종절제술
• 자궁적출술
• 전체자궁적출술(total hyterectomy): 자궁, 자궁경부의 제거, 복부나 질을 통해 시행
• 전자궁적출술과 양측 난관난소제거술(total hyterectomy with bilateral sal[ingo-oophorectomy, TAH-BSO): 자궁, 자궁경부, 자궁관, 난소 제거, 복부나 질을 통해 시행)
• 근치적 자궁적출술(Radical hysterectomy): TAH-BSO에 림프절, 질 상부 1/3, 그리고 자궁주위조직을 포함하여 제거, 악성종양시 시행
금기: 수술을 방해하는 건강상태
간호
• 수술 전 간호
• 수술 후 간호
• 방광, 비뇨기계 문제 확인
• 위장관계 사정
• 절개부위 출혈과 회복 정도 사정
• 질 출혈 사정: 한 시간 패드 1개가 흠뻑 – 과도한 출혈
진단, 기대되는 결과, 중재
• 슬픔반응 장애의 위험성
• 감염위험성
• 변비
P 1070
자궁내막(자궁)암
• Endometrial cancer
• 가장 흔한 악성 종양
• 조기발견 시 5년 생존율 96%
원인과 위험요인
• 에스트로겐의 과잉분비로 인한 자궁내막의 과다자극과 관련
• 골반방사선 과거력, 다른 생식기 암, 가족력, 당뇨, 고혈압, 비만, 고에스트로겐증(이른 초경, 늦은 폐경, 기능부전자궁출혈, 늦은 배란)
• 대부분 내분비선을 침범하는 종양
• 비교적 느리게 성장, 느리게 전이
• 자궁경부, 난관 혹은 난소까지 확장
• 질, 림프선을 통해, 뇌, 폐로 전이
임상증상
• 폐경후 비정상적인 자궁출혈
• 다른증상: 암세포의 침입, 다른 장기로의 전이와 관련
진단
골반검진
자궁내막 생검
질내초음파 검사-비후자궁
자궁경 검사- 생검
내과적 관리
내강(내부) 방사선치료(IRT)
Brachytherapy
간호- P 1072
외과적 관리
수술 + 방사선치료
자궁적출술
조기 자궁내막암: TAH_BSO
자궁경부암
• Cervical cancer
원인과 위험요인
• 만성적 자극
• Human papilloma virus(HPV): 가장흔한 원인
• CIN(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 CIN은 상피내암, 침습적 자궁경부암으로 진행
• 다른 위험요인
여러명의 성파트너를 갖거나 자신의 성파트너가 여러명과 성행위를 한 경우, 이른 나이에 첫 성교
흡연,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 치료하지 않는 만성 자궁경부염, 성병, 음경 암 또는 전립선암의 병력이 있는 성파트너를 가진 경우
임상증상
• 조기: 무증상
• 말기
• 질 분비물-물 같이 묽은데, 점점 병이 진행하면서 색깔이 진해지고 악취가 남)
• 출혈- 성교시 출혈, 자궁출혈, 폐경후 출혈, 다발성 월경(월경출혈의 빈도 증가)
• 질환 진전- 장이나 방광압박, 방광자극, 직장분비물, 자궁폐색증상, 묵직하고 아픈 복부통증, 누공(인접장기의 벽을 통해 장기 손상시)
• 통증
• 악액질
진단
• PAP smear
• 동력 원추생검(cold conization); 자궁경부의 부분을 원추형으로 떼어냄, 침습성 암과 상피내암 확인
• 루프 전기소작 제거술(loop electrocautery excision procedure; LEEP) : 경관부분을 제거
내과적 관리
방사선치료
외과적 관리
• 냉동수술(Cryosurgery):이산화질소나 이산화탄소 같은 휘발성 가스를 이용하여 국소적으로 비정상 세포와 조직을 얼려서 죽게 하는 방법, 세포는 건조되고 세포막이 파괴되어 죽게 됨 죽은 세포는 2~3주 후 대량의 분비물로 떨어져 나옴
• 원추생검(Conization): 날카로운 기구를 이용하여 작은 원추 모양으로 제거
• 비정상적인 조직을 제거하기 위하여 레이저 치료나 LEEP 시행, 레이저 치료는 조직의 화상을 야기하여 몇 주 후에 분비물들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소량의 출혈 +
간호
냉동수술, 레이져 치료, LEEP
• 수술설명
• 지지제공
• 안위증진: 진통제, 심호흡, 경련성 통증 몇일간 있을 수 이있음
• 회음부 위생 격려: 맑고 물 같은 분비물이 보통 몇주간 나타날 것, 죽은 세포들의 파편에서 냄새가 날 수 있다. 8주간 이상의 분비물은 감염 의심
• 치유는 6주 걸림.
• 6주간 샤워 가능, 통 목욕, 좌욕은 피함
비뇨기계의 위치 이상과 탈출
• 질과 가까운 골반장기들의 이완과 하강에 의해 발생
1) 방광류와 요도류: 골반근육이 약해져 방광이 하강된 것
질벽이 돌출된 것처럼 보임
요실금, 요관감염, 요정체, 질 압박감
2) 직장류와 탈장: 직장을 지지하는 질벽의 근육조직이 돌출된 것
직장류- 변비, 직장의 불완전한 비움, 변실금, 직장 또는 질의 압박
탈장- 장의 하강, 질 후벽의 상부돌출
3) 질 또는 자궁 탈출증
자궁이 질로 하강하는 것
질의 압박 증가, 성교통, 요통, 출혈, 자궁경부 궤양
외과적 관리
자궁 탈출증: 재건수술, 질페서리(vaginal pessary)
방광류: 전방질봉합술
요관류: burch colposuspension
직장류: 후방복원
간호
방광팽만 예방: 유치도뇨관 삽입
출혈관찰: 많은 질 출혈, 갑작스런 복부팽만, 복부경직, 어깨로의 방사통, 쇼크의 징후- 수술(잠재적 출혈시기는 봉합선이 녹고 난 뒤 4번깨, 9번째, 14번째, 21번째 날)
내과적 관리
• 골반근육운동 교육(케겔 운동)
• 페서리 간호교육
(P 1078)
양성 난소종양
Benign ovarian tumors
낭종성
• 난소종양이 점점 커져 압박되어 불편감을 느낄 때까지는 별 증상 없음
• 변비, 복부팽만감, 빈뇨, 골반의 묵직한 느낌, 배변시 고통, 성교통, 골반통증, 하복부 압박, 요통, 불규칙한 월경
• 급성 통증: 월경시나 파열시 동반
• 말기: 호흡곤란, 복부팽창, 말초부종, 식욕부진
합병증: 파열과 감염 가능성 있는 낭종안의 출혈, 낭종 자루의 꼬임, 악성변화
치료: 경구피임약
난소암
• Ovarian cancer
• 여성 전체 암으로 인한 사망 중 4%
• 백인여성이 흑인 미국여성보다 발병률 높다
원인과 위험요인
40세 이상
난소암이나 유방암의 가족력이나 유전적 변이 가족력
유전성 비폴립성 대장직장암의 가족력
출산하지 않은 여성
불임의 과거력
월경불순의 과거력
배란촉진제 사용
외과적 관리
TAH-BSO
화학치료
내과적 관리
1단계 : 수술후 방사선치료, 화학치료
2단계 : 골반과 복부에 방사선 치료 + 1단계 치료
임상증상
• 배둘레가 증가하면서 복부팽만
• 빈뇨와 긴박뇨
• 늑막삼출증
• 체중저하를 동반한 영양불량
• 성장하는 종양과 요도나 장 폐색으로 인한 압박과 통증
• 변비
• 호흡곤란을 동반한 복수
• 전신적인 심한 통증
진단
• 촉진: 골반내 덩어리
• 초음파, IVP. CT. 바륨관장검사
• 혈청 CA-125(종양표시자)
• LPA(난소암 세포의 성장을 자극하는 화학물질), CA-125보다 정확
• 질분비물과 가려움증
• 질염
• 독성 쇼크 증후군
• 위축성 질염
• 질 누공
• 질암
• 음부염
• 외음부암
• 바르톨린 선염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 생식 질환 (0) | 2015.06.19 |
---|---|
지역거점 공공병원에 대하여 (0) | 2015.06.17 |
역사 속 정읍 (0) | 2015.06.11 |
패턴 인식 (0) | 2015.06.09 |
함수-단사, 전사 및 역함, 비둘기집 원리 (0) | 2015.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