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rsprung durch Technik

블로그 이미지

MSNU

남성 생식 질환

myPPT 2015. 6. 19. 10:23


















































남성생식기능 장애관리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

•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 노화

• 요로 폐색 요로계 변화 유발

• 남성 80%, 50세까지 남성중 50%


원인과 위험요인>

노화: 주요 위험요인

고환에서 분비되는 androgen의 영향 추정



병태생리>

• 전립선 기질의 평활근의 수축성이 증하고 정상세포의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질환

• 뇌하수체는 황체호르몬, 테스토스테론과 시상하부에서 생산 되는 황체자극호르몬의 수준의 변화에 반응하며 황체호른몬을 분비


• 황체호르몬은 고환이 테스토스테론을 생산하도록 자극하여 전립선에서 5α-reductase라는 효소와 결합시켜 dihydrotestosterone(DHT)을 형성하도록 한다. 

• DHT는 전립선 세포의 생산에 영향을 준다. 동시에 전립선 평활근, 방광경의 평활근과 함께 횡문괄약근에 있는 α-아드레날 수용체들이 수축을 일으키는데, 이 괄약근 수축은 소변흐름에 제한을 줄 정도의 저항을 일으킴

• 증가한 방광출입구 폐쇄로 소변통로 변함(그림 38-1)  잔뇨


• 방광을 비우기 위해 배출구의 저항에 대해 압력을 증가시키는 보상작용으로 압박근이 두꺼워지고, 더 이상 보상받을 수 없을 때 다른 쪽은 얇아지고 다른 쪽은 두껍게 되어 섬유근육 조직이 구부러지게 됨으로써 방광게실이 발생한다. 

• 게실은 소변을 정체시켜 감염과 결석을 유발

• 보상화와 대상부전으로 역류가 유발되고, 요관의 고리화, 요관과 신장에 수신증과 요관수증 일으킴

• 결과적으로 신장실질은 위축되고 비가역적인 신장기능 손실


임상증상>

• 빈뇨, 급성 소변정체, 방광출구 폐색


진단>

• 과거력조사

• 소변줄기의 크기와 힘, 지연뇨, 과도한 배뇨노력, 빈요, 간헐뇨, 긴급뇨, 야뇨, 불완전한 배뇨(잔뇨감), 소변누출에 관한 개별화된 질문(IPSS)

• 직장지두검진: 조직의 연결성, 크기, 압통, 종양

• 소변검사, 신기능 검사, 혈액응고 검사

• 소변흐름 측정: 배뇨 힘과 패턴 측정, 20~25ml/sec

• 잔뇨측정: 초음파 또는 인공도뇨

• 방광요도경(cystourethroscopy), 신우조영술(Introvenous Pyelography; IVP), 요동적 검사(Urodynamic studies)


결과관리

내과적 관리


1) 전립선 성장 지연

• Finasetride(proscar), 5α-reductase inhibitor: 테스토스테론이 DHT로 전환되는 것을 막아 전립선 비대를 막는다. 간에서 대부분 대사되므로 치료 전 간기능 검사시행

부작용: 사정정액의 감소, 성욕감퇴, 발기부전, 6~!2개월만 복용

• 안드로겐과 LHRH antagonists(테스토스테론을 제거하는 약)

부작용: 체중증가, 성욕감퇴, 여성형유방, 발기부전



2) 전립선 근육의 이완

Terazosin(Hytrin), Phenoxybenzamin(Dibenzyline), Prazosin(Minipress), Doxazosin(Cardura), Tamsulosin(Flamo): α- 아드레날 차단제로 전립선 근육조직에서 수용체 영향, 증상 완화

부작용: 직립성 저혈압, 현기증, 빈맥, 구강건조, 비강울혈, 심계항진, 흐린시야, 두통, 피로

 적은 용량으로 시작하여 부작용 없을 증가


3) 요정체 완화

인공도뇨관 삽입: 과잉으로 신장된 방광을 쉬게


간호


진단, 기대되는 결과, 중재 (P 1022~1028)

• 개인의 비효율적인 치료요법 이행

• 배뇨장애



외과적 관리

• 심각한 폐색, 요로감염의 재발, 혈뇨, 방광결석, 상부요로의 변화, 대상자가 심하게 불편감을 느낄 때 시행

• 폐색을 일으키는 전립선의 부분을 절제로 제거


• 요로를 통한 전립선 절제술(Transurethral Resection; TURP): 가장 많이 적용

• 치골상부 전립선 절제술(Suprapubic Prostatectomy)

• 치골후부 전립선 절제술(Retropubic Prostatectomy)

• 회음부 전립선절제술(Perineal Prostatectomy)



• 전립선의 요도를 통한 절제(Transurethral Incision of the prostate; TUP)

• 전립선 경요도 풍선확장술 (Transurethral Electrovaporization)

• 전립선 경피적 요로 초음파 가이드레이저 절개(Transurethral Laser assisted Procedures; TULIP)

• 시각적 레이저 전립선제거

• 고체온과 열 치료법

• 전립선 스텐트


합병증

출혈, 감염, 폐색, 카테터의 위치 이동, 요도협착, 방광목의 경축, 부고환염, 요실금(2~5%), 발기장애(5~10%), 역행성 사정



수술 전 간호

• 방광 비울수 있는 능력 사정

• 배뇨장애시 인공도뇨관 삽입

• 항응고제 중단

• 수술에 대한 지식

• 수술 설명

• 수술승낙서: 성기능 장애, 발기부전, 역행성 사정, 불임등 위험성, 단기적인 효과(배뇨증상의 완화와 신기능 감소의 개선)들에 대해 설명


수술 후 간호

• 사정: V/S, 소변 배액, 소변색깔과 배뇨량

• 방광세척(그림 38-4, P 1032): I/O




진단, 기대되는 결과, 중재 (P 1032~1033)

• 신체손상 위험성

• 급성통증 


자가간호

• 교육제공: 인공도뇨관 관리, 상처관리

• 피할 것: 무거운 것 드는 것, 힘든 일, 계속 앉아 있는 것, 성생활, 오토바이 타는 것 

• 상해예방: 6주동안 대변 볼 때 압력주지 않기, 변비예방, 금연(기침 유발 수술부위 긴장)

• 골반운동: 케겔 운동(소변괄약근과 골반 밑 근육조절에 도움 P 1034)

• 발기부전 치료: 비아그라

전립선 암

• 90%이상 선암(adenocarcinoma)

• 주로 방광목 확장과 정낭의 직접전이

• 림프선과 혈액 전이: 골 전이 흔하고 폐, 간

• 폐색과 장골결절이 흔함


원인과 위험요임

• 가족력

• 식이: 고지방식이, 직업, 환경적 영향(비료, 섬유, 고무산업, 카드뮴을 포함한 베터리 작업장에서 일하는 사람)

• 성교; 바이러스 전염


진단

초음파, PSA검사, 직장수지검사


임상증상

• 대부분 무증상

BPH, 전립성염 등의 전립선 증상 나타남


진단

• PSA 검사: 암 발견율 55%, 4.0ng/ml, 갑작스럽게 오르면 경계

• 수지직장검진: 딱딱한 결절, 비대칭적이거나 단단한 mass

• PSAD, free PSA: PSA가 중증도로 상승했을 때 선별검사로 유용함(4.0~10ng/ml) (P 1035)

• 초음파, 전립선 생검

• 부가적 검사: bone scan, CT, MRI (전이여부 결절하고 암의 단계 분류 위해 시행)



결과관리

외과적 관리

• 근치전립선 절제술: 기대수명이 10~15년이상 

• 암이 전립선 안에 국한, 전립선의 전체를 제거하거나, 정액소포, 방광목의 부분과 인접한 림프, 정관을 제거

• 치골역행성 접근, 회음부접근법(그림 38-2C,D,  P 1029)

• 냉동외과적 제거: 초음파로 항문을 통해 전립선을 냉동하여 조직을 파괴하는 냉동 탐침을 삽입

• 요도 어는 것 방지 위해 요도에 따뜻한 튜브를 삽입

• 국소적으로 암이 있거나 근치수술을 발을 수 없는 심각한 내과적 문제 있는 대상자


간호

• 손상예방(P 1036)

• 요도와 방광의 문합이 치유되는 동안 수술후 2~3주 동안 인공도뇨관 삽입

• 인공도뇨관 빠지지 않도록

• 관장이나 항문체온 측정 피함

• 치골역행법시 배액관의

• 배액관찰, 드레싱

• 회음부 접근법시 무균술

 회음부간호: 좌욕, heat lamp 적용

 두줄로 된 T 자형 붕대, 구멍난 팬티, 고환지지대


• 지지간호


내과적 관리

종양성장 감소

• 방사선 치료: 외부방사선, 간질강내 방산선을 담은 원통형 용기를 이식(P 1037)

• 호르몬치료: 안드로겐 생성 차단, 양측성 고환절제술, 에스트로겐, 성선자극 방출호르몬, 항안드로겐 중 하나 또는 복합방법

• 고환절제술: 안드로겐의 근원을 외과적으로 제거

• 에스트로겐: 에스트로겐은 뇌하수체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의 방출을 억제하고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낮춘다. 

• GnPH(Gonadotropine Releasing hormone) 아날로그 : 황체호르몬 방출호르몬(LHPH)이라고 하며 고환에서 안드로겐 생성을 방해하는 뇌하수체의 성선자극 호르몬을 자극하고 억제한다. 


Leuprolide(Lupron)와 Goserelin acetate(Zolodex) 1개월에서 4개월마다 주입

    부작용: 얼굴 화끈거림, 발기부전, 성욕감퇴, 수분정체로 체중증가

• 항안드로겐: Flutamide(Eulexin), Bicalutamide(Casodex): 부신선에 의해서 생선 되는 안드로겐을 차단, 종종  LHRH 치료와 병행

 부작용: 여성형 유방, 설사, 발기부전

• 간헐적 호르몬치료: 호르몬 부작용을 예방하고 호르몬 치료의 내성을 방지하기 위해

• 항암치료: 호르몬에 저항성이 있을 때 증상의 완화를 목적으로 사용 (약물: P 1038)



간호

• 교육제공: 치료방법, 부작용, 기대되는 결과

• 부작용 설명: 방사선-소변자극증상, 설사, 피부염, 이식성 방사성물질(안전지침, 배설, 회수방법 등)

• 지지제공

• 통증완화


전립선 염(Prostatitis)

• 전립선에 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매우 흔함

• 50%가 경험

• 급.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비세균성 전립선염, 특별한 원인 없이 오는 전립성염

• 비세균성 전립선염: 가장 흔함


원인과 위험요인

• 급, 만성 전립선염:  E-coli, Klebsiella, Enterobacter 그람음성균

• 만성 전립선염: 흔한 원인균은 enterococcus, 회음부열상, 과다한 알코올 섭취, 전립선 울혈을 유발하는 특정 성행위

• 비세균성 전립선염: 자가면연질환



병태생리


• 요도로부터의 상행, 신장이나 방광으로부터의 하행, 직접전파 또는 혈액을 통한 전파, 및 직장으로부터의 림프절을 통한 전파(그림 38-5, P 1039)

• 염증상태가 치료되지 않으면 작은 농양이 생기고 이 농양은 전립선 주변 공간으로 퍼짐, 반복된 감염은 전립선 안에 섬유화를 일으킬 수 있음


임상증상

• 갑작스런 긴급뇨, 빈뇨, 야뇨, 배뇨곤란, 요정차체, 발열, 오한, 식욕부진, 하부요통, 회음부 통증

• 통증은 심하며 오심과 구토 동반

• 세균뇨, 농뇨


진단

• 소변배양검사

• 전립선 분비물 검사(현미경 검사 EPSs)

• 소변검사물 받는 방법(P 1039)


결과관리

내과적 관리

감염관리

• 항생제 투여: Fluoroquinolone 4주간 투여

• Doxycycline: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 2주

•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3개월 저용량 항생제투여

• Prostatodynia 대상자: α-blocker 치료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더운물 좌욕, 규칙적인 성행위


수술: 내과적 치료로 증상 개선되지 않는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대상자

고환암(testicular cancer)

15~35세 남성 가장 흔하고 심각한 고형 종양암

생식성 종양 (seminoma)

Embryonal caecinoma

Teratocarcinoma 또는 choriocarcinoma 

비생식성 종양(nonseminoma): 고환선암, 간질강 세포종양

림프성 전이로 폐에 주로, 드물게 간, 뼈, 뇌로 전이


원인과 위험요인

가족력, 외부에서 투여된 에스트로겐, 잠복고환(주 위험요인, 지속적 관찰 요함)



임상증상

• 75% 통증 없는 비대와 무거운 느낌

• 잡아당기는듯한 견인감

• 드물게 통증

• 후복막 림프절을 통한 전이: 요통, 모호한 통증, 오심, 구토, 장과 방광변화, 식욕부진, 체중감소




진단

• 고환과 음낭의 신체검진: 결절

• 고환 초음파

• 흉부 X-선, CT(전이 확인)

• AFP, beta-HCG, L오

• 냉동생검



결과관리 (P 1042)

외과적 관리

• 고환절제술, 림프절 전이시 후복막 림프절제

수술후 간호

• 음낭수술 대상자: 음낭에 얼음주머니 적용, 걸으면 음낭지지대 적용, 다른쪽 재발 가능성 설명하고 고환자자검진법 교육

• 정자은행 사용에 대해 상담: 잠재적 불임

• 통증 완화제 투여


내과적 관리

• 방사선 치료

• 화학요법


고환염전(terticular torsion)

그림 38-7A

고환이 움직이고 정삭코드가 꼬이고 혈류공급이 중단될때 나타남

어린이에서 가장흔함, 사춘기에, 30%가 20대

갑자기 급성 음낭부종과 심한 통증 때문에 고환에 공급되는 혈류가 방해 받게 됨

비뇨기과 응급상황, 즉각적인 외과적 중재 요함

 수술 못하면 고환이 위축, 농양으로 발전, 괴사되면 고환 제거


진단

고환스캔, 초음파(염전시 혈류 감소)

고환염(orchitis)

• 고환의 급성염증

• 이하선염, 폐렴, 결핵, 매독과 같은 감염이나 외상과 관련하여 발생 가능

• 이하선염에 의한 고환염은 사춘기 후에 유행성 이하선염에 이환된 남성의 30%에서 발생

• 일반적으로 양측성


• 심한압통이 있는 고환, 붉어진 음낭피부, 발열


• 침상안정, 음낭지지, 음낭에 국소 열적용, 동통과 열 완환. 감염치료 투약

• 양쪽고환에 침범하면 영구적인 불임가능성 있음

• 한쪽 고환에 침범하면 생식능력 감소


• 부고환염

• 음낭수종, 음낭혈종, 정액류

• 정관절제술(선택적 불임술)

• 잠복고환 또는 잘못 위치된 고환

(P 1042~1044)

불임(Infertility)

• 12개월 동안 규칙적인 성교를 하면서 피임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


원인과 위험요인

• 내분비장애와 관련있는 고환전(호르몬)원인: (3~25%)

뇌하수체와 부신 종양, 갑상선 장애, 당뇨, 간경화

• 고환 문제

• 정계정맥류: 19~41%

• 선천성 기형, 염전, 생식비뇨기감염(전립선, 부고환, 고환), 외상, 정자생성을 방해하는 물질에 노출(화학물질,마약, 알코올, 마리화나,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 약물(allopurinol, Cimetidine, Nitrofurantonin,sulfasalazine)


• 납, 제초제, 방사선, 고체온증

• 잠복고환

• 고환 후 문제; 선천적 정관 막힘, 잘못된 고환의 원위 구조, 성교와 관련된 문제(5%)


병태생리

• 시상하부, 뇌하수체 및 고환의 호르몬 불균형은 정자의 생성과 성숙을 방해

• 고환의 저산소증과 음낭의 상승된 온도는 세포손상을 유발

• 비뇨생식기계 감염시 나타난 정액의 백혈구구는 정액생성에 영향을 주는 cytokinase 방출

•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는 직접적으로 세포를 파괴하거나 괴사를 유발하는 염증을 일으킴

• 면역반응: 정상 정자 형성 방해


• Gonadotoxin: 정자의 수를 감소시키고, 운동성 떨어뜨리고 비정상적인 모양을 만듬

• 선천적 요인과 외상: 전립선을 통해 고환으로부터 연된되는 관 시스템의 개존성을 손상시킴


진단

• 신체검진: 고환의 크기, 성기의 기형, 이차성징, 

• 과거력: 직업, 성, 병력, 생식력

• 전립성분비물 검사(감염여부)

• 소변검사

• 정액분석: 정액량, 농도, 수, 정자의 운동성,모양, 백혈구의 존재, 정자의 응집 (P 1045)

• 혈청 검사: 테스토스테론, 프로락틴, LH, FSH\

• 초음파, MRI, carvernosography, 컬러도플러: 기형의심

• 고환생검: 정상호르모+ 무정자, 정자수 감소



결과관리

내과적 관리

• 고환 전 원인

• 테스토스테론 처방

• 잦은 사정으로 인한 정자부족증인 경우 여성의 배란기 동안 매 36시간간격으로 한번만 성교

• 고환원인

• 정자생성 억제하는 요인 피하기

• HCG 또는 테스토스테론 같은 호르몬 치료

• 비호르몬 치료(kallikrien,steroid,indometacin,arginine)

• 정계정맥류 수술

• 고환 후 원인

• 비정상적 사정(역행사정:약물치료)과 폐색교정(수술)

• 감염: 항생제


포경

감돈포경

포피염, 귀두염

요도염

요도협착

요도상열

요도하열

페로니질환

발기지속증

음경암

음경과 음낭외상

발기부전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략캔버스 - 가치곡선  (0) 2015.06.24
RDF(S) : XML 비교  (0) 2015.06.21
지역거점 공공병원에 대하여  (0) 2015.06.17
여성 고유 신체 기관 장애 원인과 종류  (2) 2015.06.15
역사 속 정읍  (0) 2015.06.11
Posted by MSNU






favicon

Vorsprung durch Technik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993)
    • myPPT (813)
    • 시리즈 (164)
      • 연소 (14)
      • 경제 (5)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