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떡-유래,종류,성분
우리나라의 떡
목차
• 1. 떡의 유래
• 2. 각 지역의 떡의 종류
• 3.떡의 성분
• 4.여러 가지 떡 사진
1. 떡의 유래
• 떡은 단군시대부터 시작되었고 떡의 어원은 덕德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 덕이란 어진행동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베푸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덕은 단군시대 나라를 다스리는 정치의 기본으로 자리잡은 덕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덕치德治는 단군왕검의 크고 넓은 덕을 의미하는 것으로 덕은 단군왕검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 우리민족은 매달 때가 되면 떡을 하여 혼자 먹지 않고 반드시 이웃들과 함께 나눠먹었습니다.
떡의 종류
1. 경기도: 생떡, 각색경단,
2. 서울: 봉우리떡, 상치떡
3. 충청도: 약편, 막편,
4. 강원도: 감자떡, 메밀전병
5. 전라도: 수리취떡, 차조기떡
6. 경상도: 감자송편, 칡떡
7. 황해도: 무설기떡, 개피떡, 골미떡
8.. 평안도: 절편, 개피떡, 골미떡, 무지개떡
9. 함경도: 꼬장떡, 함경도, 인절미
떡의 성분
• 떡의 주재료인 찹쌀의 경우,
• 단백질 함량이 멥쌀보다 약간 많으며 소화 흡수가 양호하며,
• 떡으로 만들면 조직이 치밀해지고 점성이 강하다.
• 비타민과 섬유질이 풍부하여 변비예방과 콜레스테롤 저하의 효과가 있다.
• 떡의 재료 중 콩은,
• 곡류에 비해 단백질, 지방함량이 많다.
• 비타민B복합체, 비타민E 등이 풍부하고 칼륨, 인 등 무기질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어
• 노화방지, 함암작용, 골다공증에 도움이 된다.
떡의 성분.2
• 떡의 재료중 팥은,
• 콩과는 달리 전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 팥의 전분은 강한 세포막에 둘러싸여 있어 가열하면
• 보슬보슬한 팥소나 앙금을 만들 수 있다.
• 떡의 재료 중 보리는,
• 쌀에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B와 무기질이 풍부하며,
• 섬유질이 많아 변비를 예방하고,당뇨병에 효과가 있다.
떡의 성분.3
떡의 재료 중 쑥은,
• 비타민A, B1, B2, C와 철분, 칼슘, 인 등 다량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다.
• 노화방지와 함암 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떡의 재료로 사용되는 깨는,
•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두뇌발달과
• 피부노화방지에 좋은 효과가 있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트 그리고 도덕적 의무 Kant & Moral Duty (0) | 2014.04.01 |
---|---|
Philosophical Ethics 철학적 윤리(학) (0) | 2014.03.31 |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 다양한 동물의 세계 (0) | 2014.03.20 |
파워포인트 단축키, 조합키 활용 (0) | 2014.03.09 |
윤리의 원칙과 규칙 (0) | 201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