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의 원칙과 규칙
윤리의원칙과규칙윤리의원칙과규칙
1. 윤리의 원칙
1) 자율성 존중의 원칙
① 자율성은 개인의 자유의 한 형태를 의미하며, 개인은 속임 . 속박 . 강요 . 강제로부터
자유로운 선택과 의사결정 시 자유로움을 뜻한다.
①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라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의료인의 진단과 치료 역시 개인
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해주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원칙이 자율성 존중의 원칙이다. 자
율성을 존중하려면 우선 개인의 자율적 의사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즉, 치료 과정과 방
법, 그리고 필요한 약품의 효능과 부작용 등을 거짓 없이 상세히 설명하고, 환자는 자신의
자발적 선택과 충분한 설명에 의거하여 치료에 동의해야 한다.
② 자율성의 기본적인 요소에서 informed C onsent(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의 규칙이 파
생되었다. Infor med Consent는 일반적으로 숨김없이 말하는 것, 이해, 자발성, 능력 그리
고 주는 것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③ 최근 대두되고 있는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는 설명을 전제조건으로 한다. 환자가 이해
하지 못하고 결정을 내린다면 그 설명은 전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의료인은 환자가 이
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해야 하며,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동의를 얻기 위한 첫 단계는 환
자에게 이러한 능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일이다.
예 : 몇 해 전 서울 보라매병원에서 중환자가 보호자 요청에 따라 퇴원한 뒤 사망하여 담당
의사가 살인죄로 기소된 일이 있었다. 이 사건의 배후에는 ‘의사표명이 불가한 환자의 의
사를 어떻게 확보하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의사들과 법원의 견해 차이가 숨어있다.
@ Informed C onsent의 법적 예외가 되는 상황은 응급상황, 포기, 의사 무능력자와 암묵적
동의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이다.
1. 윤리의 원칙
1) 자율성 존중의 원칙
① 자율성은 개인의 자유의 한 형태를 의미하며, 개인은 속임 . 속박 . 강요 . 강제로부터
자유로운 선택과 의사결정 시 자유로움을 뜻한다.
①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라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의료인의 진단과 치료 역시 개인
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해주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원칙이 자율성 존중의 원칙이다. 자
율성을 존중하려면 우선 개인의 자율적 의사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즉, 치료 과정과 방
법, 그리고 필요한 약품의 효능과 부작용 등을 거짓 없이 상세히 설명하고, 환자는 자신의
자발적 선택과 충분한 설명에 의거하여 치료에 동의해야 한다.
② 자율성의 기본적인 요소에서 informed C onsent(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의 규칙이 파
생되었다. Infor med Consent는 일반적으로 숨김없이 말하는 것, 이해, 자발성, 능력 그리
고 주는 것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③ 최근 대두되고 있는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는 설명을 전제조건으로 한다. 환자가 이해
하지 못하고 결정을 내린다면 그 설명은 전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의료인은 환자가 이
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해야 하며,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동의를 얻기 위한 첫 단계는 환
자에게 이러한 능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일이다.
예 : 몇 해 전 서울 보라매병원에서 중환자가 보호자 요청에 따라 퇴원한 뒤 사망하여 담당
의사가 살인죄로 기소된 일이 있었다. 이 사건의 배후에는 ‘의사표명이 불가한 환자의 의
사를 어떻게 확보하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의사들과 법원의 견해 차이가 숨어있다.
@ Informed C onsent의 법적 예외가 되는 상황은 응급상황, 포기, 의사 무능력자와 암묵적
동의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이다.
1. 윤리의 원칙
2) 악행 금지의 원칙
① 악행금지의 원칙은 우리가 타인에게 의도적으로 해를 입히거나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위
험을 초래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의료 윤리뿐만 아니라 사회도덕의 근
본 원리를 이룬다.
② 간호사들은 ‘나는 인간의 생명에 해로운 일은 어떤 상황에서든 하지 않겠습니다‘ 라는 나
이팅게일 선서를 한다.
예 : 신장이식 수술을 할 때 우리는 기증자로부터 신장 하나를 제거할 수 밖에 없지만 -신
장 제거는 분명 기증자에게는 악행을 하는 것이지만 . 이는 다른 환자를 살리는데 불가피
하게 요구된다. 여기서 우리는 어느 정도까지 악행이 허용되며, 어떤 조건 아래서 악행이
허용되는가에 대한 물음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의료 행위에서 인체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수술을 불가피하게 해야 할 경우 등과 같은 의
료 행위가 정당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물음은 이중 효과의 원리와 관계된 경우이다.
즉, 수술이 환자의 건강회복을 위한 목적일 뿐 부작용을 일으킬 의도로 수술을 하지 않았
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 효과의 원리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의료 행위의 정당성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1. 윤리의 원칙
2) 악행 금지의 원칙
① 악행금지의 원칙은 우리가 타인에게 의도적으로 해를 입히거나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위
험을 초래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의료 윤리뿐만 아니라 사회도덕의 근
본 원리를 이룬다.
② 간호사들은 ‘나는 인간의 생명에 해로운 일은 어떤 상황에서든 하지 않겠습니다‘ 라는 나
이팅게일 선서를 한다.
예 : 신장이식 수술을 할 때 우리는 기증자로부터 신장 하나를 제거할 수 밖에 없지만 -신
장 제거는 분명 기증자에게는 악행을 하는 것이지만 . 이는 다른 환자를 살리는데 불가피
하게 요구된다. 여기서 우리는 어느 정도까지 악행이 허용되며, 어떤 조건 아래서 악행이
허용되는가에 대한 물음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의료 행위에서 인체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수술을 불가피하게 해야 할 경우 등과 같은 의
료 행위가 정당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물음은 이중 효과의 원리와 관계된 경우이다.
즉, 수술이 환자의 건강회복을 위한 목적일 뿐 부작용을 일으킬 의도로 수술을 하지 않았
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 효과의 원리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의료 행위의 정당성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1. 윤리의 원칙
3) 선행의 원칙
① 선행(beneficence)이란 일상적으로 친절한 행위, 사려 깊은 행위, 동정적 행위,
자비로운 행위, 이타주의적 행위 등을 지칭한다. 타인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하여,
그리고 그들에게 행복을 안겨주기 위하여 타인을 배려하는 행위 역시 선행이라
일컫는다. 이렇듯 타인에게 해를 입히지 말아야 할 소극적인 의무와 타인을 도
와주어야 할 적극적인 의무는 선행 의무로 집약될 수 있다.
=> 선행의 원칙은 악행금지의 원칙을 넘어서 해악의 예방과 제거와 적극적인 선
의 실행을 요구하는 것이다.
① 선행의 원칙에는 온정적 간섭주의에 근거를 둔 선행의 원칙이 있으며, 거기에는
적극적인 선을 실행하기 위해 환자가 의사표현 능력과 관계없이 선을 증진시키
기 위해 환자의 자율성을 무시하고 간섭하는 경우의 강한 온정적 간섭주의가 있
다.
1. 윤리의 원칙
3) 선행의 원칙
① 선행(beneficence)이란 일상적으로 친절한 행위, 사려 깊은 행위, 동정적 행위,
자비로운 행위, 이타주의적 행위 등을 지칭한다. 타인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하여,
그리고 그들에게 행복을 안겨주기 위하여 타인을 배려하는 행위 역시 선행이라
일컫는다. 이렇듯 타인에게 해를 입히지 말아야 할 소극적인 의무와 타인을 도
와주어야 할 적극적인 의무는 선행 의무로 집약될 수 있다.
=> 선행의 원칙은 악행금지의 원칙을 넘어서 해악의 예방과 제거와 적극적인 선
의 실행을 요구하는 것이다.
① 선행의 원칙에는 온정적 간섭주의에 근거를 둔 선행의 원칙이 있으며, 거기에는
적극적인 선을 실행하기 위해 환자가 의사표현 능력과 관계없이 선을 증진시키
기 위해 환자의 자율성을 무시하고 간섭하는 경우의 강한 온정적 간섭주의가 있
다.
1. 윤리의 원칙
4) 정의의 원칙
① 환자들은 치료하는데 있어 해악을 피하고 선행을 제공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
이 아니다. 해악과 선행이 공존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때 윤리적 관심사는
어떻게 해악과 이득을 공평하게 분배하는가에 있다. 누가 부담을 져야 하며, 누
가 치료나 사회적 정책으로부터 혜택을 입을 것인가? 부담이나 해악이 필연적으
로 수반되는 혜택의 경우, 공평한 분배 문제는 정의의 원칙에서 다루어진다.
예) 여기에는 특히 의료 자원이 한정되었을 경우 환자를 선택하는 기준이 문제
가 된다. 또한 병실은 만원인데 더 이상 진료가 무의미한 환자가 계속 입원을 고
집할 경우 의료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와 더불어 정의의 원칙에는 ‘최소한
의 의료를 받을 권리'에 대한 물음도 논의된다.
1. 윤리의 원칙
4) 정의의 원칙
① 환자들은 치료하는데 있어 해악을 피하고 선행을 제공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
이 아니다. 해악과 선행이 공존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때 윤리적 관심사는
어떻게 해악과 이득을 공평하게 분배하는가에 있다. 누가 부담을 져야 하며, 누
가 치료나 사회적 정책으로부터 혜택을 입을 것인가? 부담이나 해악이 필연적으
로 수반되는 혜택의 경우, 공평한 분배 문제는 정의의 원칙에서 다루어진다.
예) 여기에는 특히 의료 자원이 한정되었을 경우 환자를 선택하는 기준이 문제
가 된다. 또한 병실은 만원인데 더 이상 진료가 무의미한 환자가 계속 입원을 고
집할 경우 의료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와 더불어 정의의 원칙에는 ‘최소한
의 의료를 받을 권리'에 대한 물음도 논의된다.
2. 윤리 규칙
1) 정직의 규칙
① 정직은 진실을 말해야 한다는 의무이다.
② 정직의 원리가 포함해야 하는 것은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선을 위해서 진실을 말해야 한
다는 것이다.
2) 신의의 규칙
① 신의(confidentiality)의 규칙은 의료인들은 환자의 개인의 의료기밀을 보장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규칙이다 .
② 환자의 사생활을 유지할 의무와 환자의 비밀을 지킬 의무
예) 나이팅게일 서약문 : 간호하면서 알게 된 개인이나 가족의 사정은 비밀로 한다
예)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세 번째 항목 : 간호사는 직업상 알게 된 개인의 비밀을 전문적인 판
단 없이 개방하지 않는다
예) 국제간호사 윤리강령 중 간호사와 인간이 세 번째 항목 : 간호사는 알게 된 개인의 비밀을
은밀히 간직해야 하며 그러한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야 할 때는 판단을 해야 한다
3) 성실의 규칙
① 성실(fidelity)의 규칙은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는 규칙
2. 윤리 규칙
1) 정직의 규칙
① 정직은 진실을 말해야 한다는 의무이다.
② 정직의 원리가 포함해야 하는 것은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선을 위해서 진실을 말해야 한
다는 것이다.
2) 신의의 규칙
① 신의(confidentiality)의 규칙은 의료인들은 환자의 개인의 의료기밀을 보장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규칙이다 .
② 환자의 사생활을 유지할 의무와 환자의 비밀을 지킬 의무
예) 나이팅게일 서약문 : 간호하면서 알게 된 개인이나 가족의 사정은 비밀로 한다
예)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세 번째 항목 : 간호사는 직업상 알게 된 개인의 비밀을 전문적인 판
단 없이 개방하지 않는다
예) 국제간호사 윤리강령 중 간호사와 인간이 세 번째 항목 : 간호사는 알게 된 개인의 비밀을
은밀히 간직해야 하며 그러한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야 할 때는 판단을 해야 한다
3) 성실의 규칙
① 성실(fidelity)의 규칙은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는 규칙
3. 윤리적 원칙들의 상충
1) 자율성 존중의 원칙과 선행의 원칙의 상충
.온정적 간섭주의(p ate rnalism)의 문제
.온정적 간섭주의적 행동들이 정당화될 수 있는 조건
23세의 운동선수 Mr. C는 탈장 수술을 받기로 되어 수술 전 투약을 받는다. 약을 먹은 후 그는 침대
양쪽 레일을 올리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Mr. C 는 맑은 정신을 가지고 있고, 왜 레일을 올리
는 규칙이 필요한지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Mr. C는 그 규칙이 자기에게 적용될 필요가 없다고 느낀다.
왜냐하면 그는 약 때문에 졸리지도 않고 침대에서 굴러 떨어지고자 하지도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환
자와 간호사 간에 의견교환이 있은 후 Mr. C 의 간호사는 레일을 올린다. 그녀의 다음과 같이 자신의 행
동을 정당화한다. Mr. C는 방금 약을 먹어 약효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졸리지 않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분량의 약을 먹은 환자들과 똑같이 반응한다고 볼 때 그는 이제 곧 졸리게 될 것이다.
졸린 환자들은 침대에서 떨어질 위험이 있다. 환자 옆에 있어줄 가족이 없기 때문에, 그리고 그 병동의
간호사는 매우 바쁘기 때문에, 계속 Mr. C 옆에 붙어있을 사람이 아무도 없다. 이런 상황 하에서 환자
는 침대에서 떨어질 지도 모르며, 환자는 그러한 잠재적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아야만 한다… 간호사는
책임에서 벗어나거나 비난을 받지 않으려는 의도가 아니라 환자를 상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환자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것이다.
1) 환자가 중대한 위험에 처해 있고, 그것은 예방할 수 있다.
2) 아마도 온정적 간섭주의적 행동이 그 위험을 예방할 것이다.
3) 그 행동이 환자에게 가져다 주는 이득이 위험을 능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4) 선택 가능한 행동들 중에 자율성 침해가 가장 적은 행동을 택한다.
[출처] Mary Silva Ethical Decision making in Nursing Administration, 1989 p.64
3. 윤리적 원칙들의 상충
1) 자율성 존중의 원칙과 선행의 원칙의 상충
.온정적 간섭주의(p ate rnalism)의 문제
.온정적 간섭주의적 행동들이 정당화될 수 있는 조건
23세의 운동선수 Mr. C는 탈장 수술을 받기로 되어 수술 전 투약을 받는다. 약을 먹은 후 그는 침대
양쪽 레일을 올리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Mr. C 는 맑은 정신을 가지고 있고, 왜 레일을 올리
는 규칙이 필요한지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Mr. C는 그 규칙이 자기에게 적용될 필요가 없다고 느낀다.
왜냐하면 그는 약 때문에 졸리지도 않고 침대에서 굴러 떨어지고자 하지도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환
자와 간호사 간에 의견교환이 있은 후 Mr. C 의 간호사는 레일을 올린다. 그녀의 다음과 같이 자신의 행
동을 정당화한다. Mr. C는 방금 약을 먹어 약효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졸리지 않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분량의 약을 먹은 환자들과 똑같이 반응한다고 볼 때 그는 이제 곧 졸리게 될 것이다.
졸린 환자들은 침대에서 떨어질 위험이 있다. 환자 옆에 있어줄 가족이 없기 때문에, 그리고 그 병동의
간호사는 매우 바쁘기 때문에, 계속 Mr. C 옆에 붙어있을 사람이 아무도 없다. 이런 상황 하에서 환자
는 침대에서 떨어질 지도 모르며, 환자는 그러한 잠재적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아야만 한다… 간호사는
책임에서 벗어나거나 비난을 받지 않으려는 의도가 아니라 환자를 상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환자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것이다.
1) 환자가 중대한 위험에 처해 있고, 그것은 예방할 수 있다.
2) 아마도 온정적 간섭주의적 행동이 그 위험을 예방할 것이다.
3) 그 행동이 환자에게 가져다 주는 이득이 위험을 능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4) 선택 가능한 행동들 중에 자율성 침해가 가장 적은 행동을 택한다.
[출처] Mary Silva Ethical Decision making in Nursing Administration, 1989 p.64
3. 윤리적 원칙들의 상충
2) 자율성존중의 원칙과 악행금지의 원칙의 상충
1991년 8월 릴리언 보이즈는 영국 윈체스터 시의 왕립 햄프셔 카운티 병원에서 죽어가고 있었
다. 지난 20년간 그녀는 극심하게 고통스러운 형태의 류마치스성 관절염으로 고생해오고 있었
다. 이제 70세인 그녀의 팔과 다리에 궤양과 종기가 생겨났고, 척추 골절, 뇌출혈 등이 발생했으
며, 손발이 기형으로 변했고 관절이 부풀어 올랐는가 하면, 스테로이드 치료결과 피부가 부패해
버렸다. 살짝 만지기만 해도 그녀는 엄청나게 고통스러웠다. 그녀는 가족들과 지난 13년간 자신
의 주치의였던 류마치스 전문가 나이글 칵스 박사에게 죽도록 도와달라고 말했다. 칵스 박사는
동정을 느꼈지만 자기는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보이즈 부인은 그렇다면 치료를 중단해
달라고 말했다. 칵스 박사는 이에 동의했지만, 그 바람에 고통은 더욱 심해졌다. 헤로인을 포함
하여 칵스 박사가 그녀에게 투여하고 있는 아편계통의 진통제들이 더 이상 효과를 보지 못했다.
어떤 간호사는 누군가가 그녀의 몸을 만지면 ‘그녀는 마치 개처럼 울부짖었다’고 술회했다. 병
원의 목사는 자신이 그전에 아일랜드공화군 폭탄 희생자를 본 적이 있었으나, 보이즈 부인처럼
‘고통 때문에 괴로워하는’ 사람은 본 적이 없었노라고 말했다. 8월 16일이 되자 보이즈 부인은
며칠을 넘기기 힘들어 보였다. 그녀는 여전히 고통을 못 견뎌 울고 있었으며, 칵스 박사에게 자
신은 죽기 원한다고 다시 한 번 말했다. 그녀의 곁에 있던 두 아들은 그녀의 요청을 지지했다.
헤로인 주사가 통증을 멎게 하지 못하자, 칵스 박사는 염화칼륨 2병 . 2 명분의 치사량으로서 치
료나 진통효과는 전혀 없음 . 을 주사했다. 보이즈 부인은 편안해졌고, 그녀의 아들이 몇 달 만
에 처음으로 그녀의 손을 꼭 잡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녀는 숨을 거두었다.
안락사의 경우 환자가 안락사를 요청할 경우 거기에는 환자의 자율성 존중의 원칙과 ,
악행 금지의 원칙이 있을 수 있다. → 즉, 환자가 소극적 안락사를 요구할 경우 의료진의
입장에서 자율성 존중의 원칙에 따라 환자의 요구를 받아들여 죽게 내버려둔다며, 이것은
자율성 존중의 원칙과 악행금지의 원칙이 상충관계에 있는 것이다.
[출처] Peter Singer, Rethinking Life & Death, 1994 Ch. 7
3. 윤리적 원칙들의 상충
2) 자율성존중의 원칙과 악행금지의 원칙의 상충
1991년 8월 릴리언 보이즈는 영국 윈체스터 시의 왕립 햄프셔 카운티 병원에서 죽어가고 있었
다. 지난 20년간 그녀는 극심하게 고통스러운 형태의 류마치스성 관절염으로 고생해오고 있었
다. 이제 70세인 그녀의 팔과 다리에 궤양과 종기가 생겨났고, 척추 골절, 뇌출혈 등이 발생했으
며, 손발이 기형으로 변했고 관절이 부풀어 올랐는가 하면, 스테로이드 치료결과 피부가 부패해
버렸다. 살짝 만지기만 해도 그녀는 엄청나게 고통스러웠다. 그녀는 가족들과 지난 13년간 자신
의 주치의였던 류마치스 전문가 나이글 칵스 박사에게 죽도록 도와달라고 말했다. 칵스 박사는
동정을 느꼈지만 자기는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보이즈 부인은 그렇다면 치료를 중단해
달라고 말했다. 칵스 박사는 이에 동의했지만, 그 바람에 고통은 더욱 심해졌다. 헤로인을 포함
하여 칵스 박사가 그녀에게 투여하고 있는 아편계통의 진통제들이 더 이상 효과를 보지 못했다.
어떤 간호사는 누군가가 그녀의 몸을 만지면 ‘그녀는 마치 개처럼 울부짖었다’고 술회했다. 병
원의 목사는 자신이 그전에 아일랜드공화군 폭탄 희생자를 본 적이 있었으나, 보이즈 부인처럼
‘고통 때문에 괴로워하는’ 사람은 본 적이 없었노라고 말했다. 8월 16일이 되자 보이즈 부인은
며칠을 넘기기 힘들어 보였다. 그녀는 여전히 고통을 못 견뎌 울고 있었으며, 칵스 박사에게 자
신은 죽기 원한다고 다시 한 번 말했다. 그녀의 곁에 있던 두 아들은 그녀의 요청을 지지했다.
헤로인 주사가 통증을 멎게 하지 못하자, 칵스 박사는 염화칼륨 2병 . 2 명분의 치사량으로서 치
료나 진통효과는 전혀 없음 . 을 주사했다. 보이즈 부인은 편안해졌고, 그녀의 아들이 몇 달 만
에 처음으로 그녀의 손을 꼭 잡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녀는 숨을 거두었다.
안락사의 경우 환자가 안락사를 요청할 경우 거기에는 환자의 자율성 존중의 원칙과 ,
악행 금지의 원칙이 있을 수 있다. → 즉, 환자가 소극적 안락사를 요구할 경우 의료진의
입장에서 자율성 존중의 원칙에 따라 환자의 요구를 받아들여 죽게 내버려둔다며, 이것은
자율성 존중의 원칙과 악행금지의 원칙이 상충관계에 있는 것이다.
[출처] Peter Singer, Rethinking Life & Death, 1994 Ch. 7
참고문헌.한성숙, 엄영란, 안성희, 김중호, 차성호, 권복규, 구인회, 임종식, 구영모(2004).
간호윤리학. 서울: 대한간호협회 출판부.
.이명하, 장금성, 김인숙, 홍윤미, 강윤숙, 공병혜, 신미자, 하나선(2003). 간호전
문직과간호윤리. 서울: 현문사.
.장금성, 이명하, 김인숙, 홍윤미, 하나선, 공병혜, 신미자, 강윤숙(2009). 간호윤
리학과전문직. 서울: 현문사.
.김장한, 이재담(2007). 의료윤리. 서울: 지코사이언스.
참고문헌.한성숙, 엄영란, 안성희, 김중호, 차성호, 권복규, 구인회, 임종식, 구영모(2004).
간호윤리학. 서울: 대한간호협회 출판부.
.이명하, 장금성, 김인숙, 홍윤미, 강윤숙, 공병혜, 신미자, 하나선(2003). 간호전
문직과간호윤리. 서울: 현문사.
.장금성, 이명하, 김인숙, 홍윤미, 하나선, 공병혜, 신미자, 강윤숙(2009). 간호윤
리학과전문직. 서울: 현문사.
.김장한, 이재담(2007). 의료윤리. 서울: 지코사이언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 다양한 동물의 세계 (0) | 2014.03.20 |
---|---|
파워포인트 단축키, 조합키 활용 (0) | 2014.03.09 |
가족치료 (0) | 2014.02.28 |
.POWER SUPPIES 전원 공급 장치 (0) | 2014.02.25 |
(교토의정서,헬싱키의정서)란 무엇인가? (0) | 201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