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율표

Arrangement of the Elements

화학자들은 원소들을 분류하는 방법을 모색해 왔다.

1829년, 독일 화학자 J. W. Döbereiner가 여러 원소들이 세 개 원소로 이루어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됨을 관찰.

한 그룹 안의 각각의 세 원소들은 화학반응에서 유사성을 갖음: 밀도, 융점, 원자량과 같은 물리적 성질에도 같은 경향성.


Organizing the Elements

J. A. R. Newlands의 제안(1865년): 62개의 알려진 원소들은 원자량이 증가하는 순서에 의해 7개의 그룹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옥타브법칙으로 불려짐

8번째 원소는 앞 그룹의 첫 번째 원소의 성질들을 되풀이 된다고 제안.

그의 이론은 인정 받기까지는 20년이 걸림; 대부분 수정됨.  

Mendeleev’s Periodic Table

Mendeleev은 원소들을 원자량이 증가하는 순서로 배열하면 원소들이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되풀이된다고 제안.

Mendeleev은 현대 주기율표의 기틀을 만듬.

Prediction of New Elements

Mendeleev은 주기율표에서 발견되지 않는 원소들도 있음을 주목.

그는 알려지지 않는 원소 ekasilicon을 1869년에 예측하며 이것은 1886년에 발견되어 게르마늄 (germanium)이라 명명됨.

The Noble Gases (영족 기체)

1894년 아르곤의 발견과 함께 주기율표의 오른쪽에  비슷한 원소들의 그룹으로 확장.

헬륨, 네온, 크립톤, 제논, 그리고 라돈이 순서적으로 5년 이내에 발견.

비활성 기체라고 불림.

최근, 제논과 크립톤의 여러 화합물이 만들어져 비활성 기체 대신 영족 기체라고 함.

Refined Arrangement

H. G. J. Moseley은 주기율표에 배열된 각 원소의 핵전하가 하나씩 증가함을 발견.

모즐리는 원자량에 의한 것 보다는 핵전하 증가에 따라 원소를 배열하는 것이 원소의 주기적인 성질을 더 잘 설명한다고 결론내림.

즉, 핵전하는 핵 속의 양성자의 수, 원자번호에 의함.

The Periodic Law(주기율)

주기율은 원자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배열된 원소의 주기적 성질을 나타냄.

보어의 전자에너지 준위의 개념을 도입하여 주기율표는 새로운 모양을 갖게 됨.

Groups & Periods of Elements(원소들의 족과 주기)


주기율표의 세로 열은 원소들의 족(group or family)이라 한다.

가로줄은 원소들의 주기( period or series )라고 한다.

18족과 7 주기가 주기율표에 있다.

Periods on the Periodic Table

7주기를 1에서 7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첫번째 주기에는 2개의 원소로 된다: H, He.

두번째 주기와 세번째 주기에는 8개 원소가 있다:

Li에서 Ne, 그리고 Na에서 Ar

네번째, 다섯번째는 18개 원소가 있다:

K에서Kr, 그리고 Rb에서 Xe

주기율표에서 수소의 위치

수소는 주기율표에서 아주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수소는 비금속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기체이다. 

수소는 하나의 전자를 잃으며 반응하므로 금속과 비슷하다.

여기서는 수소의 이러한 특이한 행동으로 주기율표의 중간에 둔다. 

Groups on the Periodic Table

주기율표에 18개의 세로 열이 있다. 

과거, 미국 화학자들이 로마숫자(I through VIII)와 문자(A or B)로 원소의 족을 표시.

IA is Li to Fr – IIB is Zn, Cd, Hg

IIB is Be to Ra – VA is N to Bi

Groups on the Periodic Table

1920년 IUPAC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에서 숫자 1에서 18까지를 사용하여 족의 번호를 매기는 것을 제안함.

Group 1 is Li to Fr – Group 12 is Zn, Cd, Hg

Group 2 is Be to Ra – Group 15 is N to Bi

Groupings of Elements

원소들은 다음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족원소 (representative elements or main-group elements) : A groups (groups 1, 2, and 12 – 18).

전이원소 (transition elements) : B groups (groups 3 – 12).

내부전이원소 (inner transition elements) : 주기율표 아래쪽에서 발견.  희토류 원소(rare earth elements)라 부름.

Groupings of Elements

내부전이원소는 란탄족 계열과 악티늄족 계열로 나눈다: lanthanide series, actinide series.

Common Names of Families

주기율표의 몇  세로 열은 공통 족 이름으로 불리기도 함.

Group IA/1 : 알칼리 금속

Group IIA/2 : 알칼리 토금속

Periodic Trends(주기적 경향)

주기율표의 배열은 원소들의 물리적 성질이 정해진 패턴을 따름을 나타낸다. 

원자들의 크기나 원자 반지름에서 볼 수 있다. 

원자 반지름의 두 가지 경향:

같은 족의 밑에서 위로 갈수록 원자 반지름은 감소한다. 

같은 주기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원자 반지름은 감소한다.

Atomic Radius (원자 반지름)

주족의 원자 반지름.

Atomic Radius Trend(원자 반지름 경향)

주기율표에서 밑에서 위로 갈수록 에너지 준위의 수가 작아지므로 원자들의 반지름은 작아진다. 

주기율표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핵의 양성자수가 많아지므로 원자 반지름이 감소한다. 

양성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핵은 전자를 더 당겨서 원자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Metallic Character (금속성)

금속성은 원소의 금속성질의 정도를 나타냄.

금속성은 밑에서 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Physical Properties of Elements

원소들의 성질이 규칙적 경향을 보이므로 알려지지 않은 원소의 성질도 주위 원소들의 성질을 바탕으로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6.2는 francium, Fr를 제외한 알칼리 금속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다.

이들 알칼리 금속의 성질을 바탕으로 프란슘의 성질을 예측할 수 있다.

Predicting Physical Properties

프란슘의 원자반지름은 0.266 nm보다 크며 밀도는 1.87 g/mL보다 크며 녹는점은 28.4°C보다 낮을 것으로 예측.

화학적 성질 예상

같은 족의 원소는 비슷한 화학적 성질을 가진다. 

모든 알칼리금속은 산소와 일반적 식으로 M2O로 반응:

Li2O, Na2O, K2O, Rb2O, Cs2O, and Fr2O.

염화칼슘의 화학식은 CaCl2이다.  염화바륨은 무엇인가?

일반적 화학식이 MCl2, 그러므로 화학식은 BaCl2.

원소의 성질

1. 보다 더 작은 원자 반지름을 갖는 원소는?

(1) Li, Na    (2) P, N    (3) Mg, Ca    (4) Ar, Kr

2. 보다 큰 금속성을 갖는 원소는?

(1) B, Mg    (2) Na, K   (3) Mg, Ba    (4) H, Fe

3. Na는 염소기체와 반응하여 NaCl생성; Li, K의 염소와의 반응 시 생성물은?

4.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콘의 산화물의 화학식: Na2O, MgO, Al2O3, SiO2. 다음의 화학식을 예상하라: 산화리튬, 산화칼슘, 산화갈륨, 산화주석.




Blocks of Elements

전자의 에너지 부준위를 채우는 순서 :

1s < 2s < 2p < 3s < 3p < 4s < 3d < 4p < 5s …

주기율표의 특이한 구역 모양이 에너지 부준위 순서에 기인한다 :

Groups IA/1와 IIA/2는 s 부준위가 채워지고 s block 원소라고 불림.

Groups IIIB/3에서 IIB/12는 d 부준위가 채워지고 d block 원소라고 불림.

Blocks and Sublevels

주기율표는 한 원소의 어떤 부준위가 채워지는 지를 예측하게 한다.

Noble Gas Core Electron Configurations

나트륨의 전자배치:

Na: 1s2 2s2 2p6 3s1

전자배치를 쓸 때 앞에 있는 영족 기체의 기호로 가장 내부의 전자를 나타내어 줄어 쓸 수 있다. 

나트륨 앞의 영족 기체는 네온이므로 네온의 기호를 괄호로 쓰고 가장 바깥쪽의 전자들을 이어 쓴다:

Na: [Ne] 3s1

Valence Electrons (원자가 전자)

어떤 원소가 화학 반응할 때 최외각 전자들만이 관여된다. 

이런 전자들은 에너지가 높으며 핵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 이를 원자가 전자라 부른다. 

원자가 전자들의 수는 영족 기체 다음의 s 와 p  준위의 전자의 총수와 같다.

Predicting Valence Electrons

로마숫자 규약을 이용하면 족수가 원자가 전자수와 일치한다.

Group IA elements: 1 valence electron

Group VA elements : 5 valence electrons

족의 번호에 대해 IUPAC 명명법을 이용하면 끝자리 숫자는 원자가 숫자를 나타낸다.

Group 14 elements : 4 valence electrons

Group 2 elements : 2 valence electrons

전자배치와 원자가 전자 수

1. 다음 원소의 전자배치를 예상하라. 

(1) Li                              (2) F

(3) Mg                            (4) P

(5) Ca                             (6) Mn

(7) Ga                             (8) Rb


2. 다음 원소의 원자가 전자의 수를 나타내어라.

(1) H                                (2) B

(3) N                                (4) F

(5) Ca                              (6) Si

(7) O                                (8) Ar



Electron Dot Formulas (전자 점식)

원자가 전자들을 표시하기 위해 전자 점식 표기 고안.

전자 점식 그리기

다음 원소들의 전자 점식을 그려라.

(1) H                           (2) B


(3) N                           (4) F


(5) Ca                         (6) Si


(7) O                           (8) Ar

Ionization Energy (이온화 에너지)

이온화에너지는 기체상태에 있는 한 원자로부터 전자 하나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

일반적으로 밑에서 위로 갈수록 이온화에너지가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 수록 이온화 에너지가 증가한다. 

전자가 핵에 가까울 수록 전자를 제거하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Ionization Energy Trend

Figure 6.8 은 원소로부터하나의 전자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나타냄

Ionic Charge (이온 전하)

금속은 전자를 잃는 경향을 비금속은 전자를 얻으려는 경향을 가진다.

이온의 전하는 원자가 전자들의 수와 관계가 있다.

Group IA/1 금속은 원자가전자를 잃어 1+ 이온이 된다 :

Na  →  Na+ + e-

금속은 이온이 되기 위해 원자가 전자를 잃는다.


Predicting Ionic Charge

Group IA/1 금속은 1+ 이온을, group IIA/2 금속은 2+ 이온을, group IIIA/13 금속은 3+ 이온을, 그리고 group IVA/14 금속은 4+ 이온을 형성한다.

원자가전자를 잃으므로 영족 기체와 같은 전자배치를 가진다.

비슷하게, 비금속은 전자를 얻어 영족 기체와 같은 전자배치를 가진다.

Group VA/15 원소는 -3 이온을, group VIA/16 원소는  -2 이온을, group VIIA/17 원소는 -1 이온을 형성하다.

Ion Electron Configurations

양이온의 전자 배치를 표시할 때, 양 전하에 해당하는 전자의 수를 제거한다:

    Na    →  Na+

1s2 2s2 2p6 3s1    →  1s2 2s2 2p6

음이온의 전자 배치를 표시할 때, 음 전하에 해당하는 전자의 수를 더해야 한다:

    O    →  O2-

  1s2 2s2 2p4    →  1s2 2s2 2p6

이온 에너지, 이온 전하

1. 보다 더 큰 이온화 에너지를 갖는 원소는?

(1) Mg, Ca             (2) S, Se           (3) Sn, Pb

(4) N, P                  (5) Rb, Cs         (6) He, Ar

(7) B, Al                  (8) F, I               (9) Li, Na

2. 다음 원소의 이온 전하를 구하라.

(1) Cs                  (2) Ga               (3) O

(4) I                      (5) Al                (6) K

3. 각각의 전자배치를 핵심부 표기법으로 써라.

(1) Mg2+              (2) K+                (3) Fe2+

(4) F-                   (5) S-                (6) I-

Conclusions

주기율표의 원소들은 원자번호가 증가하는 순서로 배열한다. 

원소들은 화학적 물리적 성질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주기율표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족 (groups or families): 세로 열

주기 (periods or series): 가로 열

Conclusions Continued

원자 반지름과 금속성 경향은 주기율표에서 밑에서 위로 갈수록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채워지는 에너지 부준위에 따라 주기율표가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Conclusions Continued

원자가전자는 최외각 전자로 화학반응에 관여한다.

전자 점식으로 원자가전자를 표기한다. 

이온화에너지는 기체상태의 원소에서 전자 하나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이다.

Conclusions Continued

주기율표에서의 위치로부터 주족 원소의 이온 전하를 예상할 수 있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inter & Linked List - Call by Value & Call by Reference  (0) 2015.08.04
화학chemistry 에서의 물질(Matter  (0) 2015.07.30
경영학 입문  (0) 2015.07.22
세계 100대 발명  (0) 2015.07.20
원소와 원자  (0) 2015.07.14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