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rsprung durch Technik

블로그 이미지

MSNU

계산의 역사

myPPT 2018. 3. 2. 22:33

















History of computation

  

  계산의 역사


목차

 수의 역사


 고대의 계산도구


 컴퓨터의 역사





숫자의 발명 

▶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숫자  아라비아 숫자

    인도에서 발명  아라비아인 유럽으로 전파

  ※ 아라비아 숫자 : 9C에 만들어진 것으로  

                                 아랍에서 시작하여 중세 유럽에서 완성

▶ 고대 인도 사람들은

   양수, 음수를 만들고 이에 구체적 의미 부여

    ( 양수 : 재산,  음수: 부채 )


 ※ (참고)   中1 수학 - 정수와 유리수

  기준점이 있고 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성질이 있을 때 

      한 쪽을 「+」라 하면, 다른 한 쪽은 「-」

   EX) 이익과 손해, 상승과 하강(온도계, 엘리베이터) 등




수의 발전

 ▶ 수의 시작은 1과 2로 시작 (원시사회 : 1과 2, 다수의 개념만이 존재)

      원시사회에서 3이상의 수는 1과 2의 조합으로 해결

     

 ▶ 라틴 계열 : 12까지 표현할 수 있게 됨

 

 ▶ 이집트 문명 : 동일선상에 수를 표기 (현재 로마자의 근원)

      5진법의 원칙을 사용하여 눈으로 개수를 표기하나 큰 수는 계속 나열밖    에 할 수 없는 단점

 

 ▶ 아프리카 : 10진법으로 해결(손으로 수를 세는 방식과 같음)

     끈의 색에 따라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일의 자리를 구분하며   그 끈에 있는 조개 껍질의 수가 그 자리 수를 결정

        12진법 :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마디로 수 표현(달력)

        60진법 : 각도, 시간 표현


★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 자리에 따라 수의 크기가 달라지는 위치적 기수법사용

 

   ▶60진법 사용

     : 60마다 받아 올리기(자리바꿈)

    EX) 63 = 60+3 = 1*60+3       72 = 60+12 = 1*60+12

      지금의 63 : 1, 3

               72 : 1, 12


★ 0의 탄생 (메소포타미아 - 0을 사용 안 함)

  탄생지 인도

    위치적 기수법 원리   

   빈자리를 나타내는 기호의 필요성 대두

    기원전 2C경, 불교에서 쓰는 공(空)을 써서 지금의 0을 대신 표현

     



**고대의 숫자**

      

           나라            1    2      3     4      5     6  ......      9     10    11 ....


     수학기호(+, -, ×, ÷)의 역사


× : 영국인 수학자 오트레드(1574 - 1660)는 곱셈기호(×)와 계산자를 발명했다. 

1631년에 <수학의 열쇠>라는 책에서 곱셈기호 '×'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와 -가 생긴 지 약 140년 정도 지난 후의 일이다. 




÷ : 1659년 스위스 하이린히란에 의해 만들어짐 (단지 미국, 영국, 한국, 일본만 사용) 



★수를 가리키는 순수한 우리말★

       “골백 번 죽어도” 라는 말

  골 : 10의 16승에 해당하는 경(京)의 순 우리말

      { 10}^{16 } 은 엄청난 수이다.

   따라서 골백 번 죽는다는 말은

   { 10}^{16 } 을 백 번 한 것이니  { 10}^{16 } ×100이 되어

    { 10}^{ 18} 만큼 죽는다는 말

고대의 계산도구





 1801년 프랑스 Joseph-Marie Jacquard

         천공카드로 작동되는 방직기 발명




컴퓨터의 역사



 Mark I

 postfix 방법 

 폴란드 수학자 Lukasiewicz가 정립

 수식을 피연산자 뒤에 연산자를 표현하는 방법

 수식 "A + B"을 "A B +" 로 표현하는 방법

 Infix 방법

 수식을 피연산자들 사이에 연산자를 표현하는 방법

 수식 "A + B"는 infix 형식으로 표현

 Prefix 방법

 수식을 피연산자 앞에 연산자를 표현하는 방법

 수식 "A + B"을 "+ A B" 로 표현


 1945년 John von Neumann 

• 프로그램 내장 방식 개념(Stored program concept) 발표

 1946년 미국 Pennsylvania대학 

• J. Mauchly와 J. Eckert : ENIAC 제작 (사진-다음 장)

• 최초의 전자식 컴퓨터

• 30 ton, 18800개의 진공관 사용

 1947년 미국 벨 연구소의 Shockely, Bardeen, Brattain : Transistor 발명

 1953년 IBM 

•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 IBM701 발표



 • UNIVAC(UNIVersal Automaic Computer)

• 1946년 ENIAC을 만들었던 Mauchly와 Eckert에 의해 개발

• Mauchly-Eckert 컴퓨터 회사를 창립

• 의의

– 최초의 상용 컴퓨터

• 과학과 상업적인 응용에 사용

• 메트릭스 계산, 통계처리, 보험회사의 보험료 계산 처리 기능






 1982 미국 Time 지

• 컴퓨터를 올해의 인물로 선정

 1986 미국 Compaq 

• 32bit 386 PC 발표

 1992 미국 Intel 사

• Pentium 프로세서 발표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과 인간행동  (0) 2018.03.09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에 대해 알아봅시다  (0) 2018.03.04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여러 종류의 물 정화하기  (0) 2018.02.24
여성학이란 무엇인가?  (0) 2018.02.13
식물학 - 수선화 Narcissus tazetta .나르키수스(Narcissus)  (0) 2018.02.05
Posted by MSNU






favicon

Vorsprung durch Technik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993)
    • myPPT (813)
    • 시리즈 (164)
      • 연소 (14)
      • 경제 (5)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