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1.산출량결정모형
2.승수
3.수학적
접근방법
4.절약의
역설
(paradox of thrift)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4경제주체
중
가계와
기업만이
있다고
가정하고
산출량의
크기가
결정되는
모형을
살펴봄
1.산출량결정모형
*케인스
(J.Keynes) 의
단순모형
, 승수모형
, 불황모형에
대해
살펴봄
*매우
단순화된
경제를
대상
①정부와
해외부문이
없다
-> 세금, 정부지출
, 수출, 수입이
없다
=6장에서
도입
②기업의
감가상각과
사내유보가
없다
-> 가처분소득=GDP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1.산출량결정모형
(1) 총지출에
의한
산출량결정모형
*산출량의
균형조건
:
-산출량
=의도된
지출
-총지출선과
45도선이
만나는
점
-원하지
않는
재고의
변화가
없는
경우
*균형의
의미
-균형(equilibrium) 이라는
것은
의도된
지출이
변화하지
않는
한
생
산이
더
이상
변화하지
않는
상태를
말함
-즉, 이
균형점에서는
외부의
충격이
없는
한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
려고
한다는
의미에서
균형상태를
나타냄
-계속적으로
외부의
충격이
있으므로
계속
변화하는
과정에
있으나
하나의
충격만
가정하고
이것에
의해
균형으로
수렴하는
것을
살펴
봄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1.산출량결정모형
(1) 총지출에
의한
산출량결정모형
*안정적
균형
: 45 도선의
기울기
> 총지출선의
기울기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1.산출량결정모형
(2) 저축=투자에
의한
산출량결정모형
*산출량의
균형조건
:
-의도된
저축
=의도된
투자
-저축선과
투자선이
만나는
점
-원하지
않는
재고의
변화가
없는
경우
*안정적
균형
: 저축함수기울기
>투자함수기울기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1.산출량결정모형
(3) 표를
이용한
균형산출량결정이론의
설명
*가정: 한계소비성향
=2/3, I=200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2.승수(multiplier)
-승수
지출과
소득의
연쇄과정
총지출의
증가
=dI+MPC*dI+MPC*MPC*dI+…=1/(1-MPC) *dI
-투자승수
(investment multiplier) =1/(1-MPC) =1/MPS
-소비승수
-대공황
등
불황상태에서
투자나
소비가
줄어든다면
승수에
해당하
는
투자나
소비가
감소
=>불황지속하고
심화
-6 장에서
정책승수에
대해
살펴봄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2.승수
-투자승수를
그림으로
보면
100/x=MPS. => 승수=x/100=1/MPS
-승수의
의미
: 의도된
투자증가가
100이므로
E'이
새
균형점이
되
려면
의도된
저축도
100 증가해야
함
=>의도된
저축이
100증가하려면
소득이
300 증가하여야
함
=>승수=300/100=3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3.수학적
접근방법
(1) 수리적
모형
*산출량결정과정을
수리적으로
표현
-4 장에서
본
소비함수와
투자함수를
수리적으로
표현
-균형조건을
수리적으로
표현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3.수학적
접근방법
(2)“산출량
=의도된
총지출”을
이용하여
균형산출량도출
*식<5-3>-<5-5> 를
<5-6> 에
대입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3.수학적
접근방법
(3)“저축=투자”를
이용하여
균형산출량을
구하는
경우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유동성선호설
(케인스)과
화폐수량설
(통화론자
)의
비교
-케인지안
(Keynesian) 은
재화시장을
중시
Y=C+I+G+NX 에서
오른쪽
(지출)을
강조
재화시장이
매우
안정적
, 특히
소비가
매우
안정적
=>소비관계(소
비함수
)가
매우
안정적이므로
이를
중시
화폐시장은
간접적으로
수요에
영향
(i 를
통해
C, I, NX 에
영향
), 그
효과도
미미
(불황
시
)
-통화론자
(monetarists) 는
화폐시장을
중시
통화론자의
원조인
고전학파는
왼쪽
(Y, 생산능력
, 공급)을
강조
고전학파는
Yf의
증가
(경제성장
, 공급중심
)를
강조
수요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통화론자는
화폐시장을
중시하는데
이
것은
MV=PY 와
같은
교환방정식을
중시
교환방정식은
화폐수요이론
이
화폐수요함수가
가장
안정적인
관계
=> 이
관계를
중요시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4.절약의
역설
(paradox of thrift)
(1) 절약의
역설의
의미
*주어진
소득에서
더
많은
저축을
하려는
동기발생
-개인(가계)입장에게
최선의
선택
-투자함수가
산출량과
독립적인
경우
=>전체적으로
저축이
증가하지
않으면서
소득만
감소
=역설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4.절약의
역설
(1) 절약의
역설
(paradox of thrift) 의
의미
-투자함수가
산출량의
증가함수인
경우
-개인차원에서
저축을
더
하려고
하는
노력의
결과로
전체적으로
저축과
투자는
감소하고
산출량도
감소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4.절약의
역설
*단기적으로
외부요인의
영향에
의해
저축성향이
단지
2-3% 포인
트만
증가해도
최근의
금융위기로
촉발된
것과
같은
심각한
경기침
체
초래가능
(2) 절약의
역설의
해명
*구성의
오류
(logical fallacy of composition)
-개인에게
옳은
것이
전체에도
옳은
것은
아니다
*절약과
저축에
대한
견해는
경제상황에
달려있다
.
-불황기
: 절약이
미덕이
아님
= 케인지안의
생각
-완전고용상태
: 절약이
미덕
=고전학파의
생각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4.절약의
역설
*일본의
대차대조표
불황
-1985 년
플라자합의
이후
엔화강세
=>불황=>금리인하+공공투자
확대
=>1987 년
이후
호황
=>금융재정
완화기조
유지
=>거품발생
(가계와
기업이
금융기관으로부터
대규모차입
)
-1990 년대
들어
금리인상
+부동산대출규제
=>거품붕괴=>가계와
기업은
부채상환에
나섬
(이윤극대화에서
부채극소화로
전환
)
=>기업의
부채극소화
노력
(기업차원에서
바람직
)=> 투자감소
가계의
높은
저축수준지속
(가계차원에서
바람직
)=> 소비감소
=>대차대조표
불황
(Balance Sheet Recession) 유발(구성의
오류
발생)
=paradox of deleveraging( 부채상환의
역설
)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4.절약의
역설
*대차대조표불황이
보통의
경기침체와
다른
특징
-다수
기업들이
동시에
부채극소화를
추구함에
따라
일본은행이
금
리를
0%대까지
인하하여도
기업의
자금수요가
증가하지
않아
통화
정책의
유효성이
상실됨
-대차대조표불황
하에서는
디플레이션
(deflation) 의
악순환이
발생
할
가능성이
높음
-통상의
경우
1000 원의
소득
중
800원을
지출하고
200원을
저축
할
경우
=>800 원은
즉시
다른
사람의
소득이
되고
200원도
은행에
의해
다
른
사람에게
대출되어
지출되어
최초의
소득
1000 원이
모두
지출됨
-현재의
금리에서
200원을
모두
대출할
수
없는
경우
금리를
낮춤
으로써
모두
대출가능
제5장
산출량결정의
단순모형
4.절약의
역설
-대차대조표불황에서는
1000 원의
소득
중
800 원을
지출하고
200
원을
저축하는
경우
기업들이
모두
부채극소화를
위해
노력함에
따
라
200원
모두
대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
=>은행이
금리를
최대한
낮추어
100원을
대출하는
것으로
가정하
는
경우
소득
1000 원중
900원만이
지출되고
100원은
은행에
초과
지준으로
남게
되어
이는
소득순환과정에서
100원의
누출이
발생
함을
의미
=>다음
기에는
소득이
900원으로
감소
=>소득
중
90%만이
지출된다고
가정할
경우
소득은
다시
810원으
로
감소
=>이러한
소득
-소비의
순환이
지속되면
개인이
저축을
전혀
할
수
없는
상태로
빈곤하게
됨
*일본경제의
악화가
자만심이나
구조개혁의지의
미비가
원인이
아
니라
모든
기업과
가계들이
동시에
부채를
축소하려는
노력에
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