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와
율곡
1. 퇴계
1501; 11월 25일 禮安 溫溪里에서 출생
1502; 부친 埴 별세
1521; 진사 허찬의 딸과 혼인, 성리대전19
1523; 성균관 유학
1530; 권질의 딸과 재혼
1532; 문과 초시 2등
1534; 문과 급제, 승정원
1537: 모부인 박씨 별세
1543; 성균관 사성, “주자대전”
1546; 관직사퇴, 토계(퇴계)에 養眞菴
1553; 정지운의 천명도설 검토
1558; 공조참판, 자성록, 율곡과 만남
1560; 기대승의 四端七情辨論에 답
1567; 기대승에게 답, 물러나는 뜻을 밝힘
1568; 戊辰六條疎 聖學十圖 경연강의
12월 4일 “평소 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그대들과 공부를 해 왔는데 지금 생각하니 부끄럽다”는 이별의 인사 8일 유시 운명
2. 율곡
1536; 음력 12월 26일 강릉 북평촌 오죽헌 몽룡실(파주군 파평면 율곡리)
1538: 말과 글을 배우다
1551; 5월에 어머니 신사임당이 별세
1554; 우계 성혼과 교분을 맺다. 이 해 3월에 금강산에 입산.
1556; 漢城試에 장원 급제
1557; 성주 목사 노경린의 딸과 혼인
1558; 도산에 가서 퇴계를 만나 도를 묻다.別試解에 天道策으로 장원급제.
1561; 5월에 아버지 이원수공이 별세
1564; 8월에 明經科에 易數策으로 장원 급제, 戶曹佐郞
1567; 기대승의 편지를 받고 답하다
1568;우계와 格致誠正에 대한 설을 논하다.
1572; 우계와 四端七情,人心道心을 논하다.
1575; 聖學輯要를 지어 올리다.
1578;石潭에 隱屛精舍
1582; 吏曹判書, 時務六條,십만 양병설
1583; 六條方略 정월 16일에 서울 대사동(大寺洞: 현 인사동) 집에서 별세하다
퇴계와 율곡
학자, 산림 정치가, 관료
主理論, 南人 主氣論, 西人
합리적, 이성적 경험적, 감성적
수양중시 제도중시
소극적 은둔형 적극적 행동형
無酒苦無悰
술이 없으면 즐거움도 없으니
有酒斯飮之
술이 있으면 바로 마시네
得閒方得樂
한가한 틈타 바로 기쁨 누리니
爲樂當及時
술마시는데 때 놓치면 안되네
月下飮酒杏花花(用東坡韻)
暮春欲暮(慕)前年春 삼월 전년봄을 생각하니
花開月缺愁殺人꽃피자 달 기울었으니 걱정되어 죽겠네
暮春未半金年春 삼월이 반도 안 지난 금년봄엔
月滿花樹風生蘋 꽃가지에 달 가득차고 풀위로 바람분다
臨流對酌高興發 시내가에 술기울이니 흥절로 나네
萬斛閒愁如沃雪 산같이 쌓인 시름 눈녹듯 없어진다
蘇仙一去幾今古 소신선 한번간지 몇 해나 되었나
依舊杯中一片月 잔 속의 한조각 달 예나 다름 없구나
唱徹瓊詞幔亭中 옥구슬 같은 글 읊으니 천막에 가득하고
仙風浩氣如憑空 선풍 호기가 허공에 차 있는 듯
醉宿江樓香滿懷 강루에 취해 자니 향내가 품에 가득
夢魂不到東華紅 꿈엔들 서울은 가지 않으리
閉門兮傷仁
同寢兮害義
天風兮海濤
歌一曲兮悽悲
緊本心兮皎潔
湛秋江兮寒月
宜收視兮澄源
復厥初兮淸明
학설의 차이
퇴계 율곡
理氣 不相雜 理氣不相離
理氣互發 理通氣局,氣發理乘一途
四端理發而氣隨 七情包四端
七情氣發理乘 四端七情 氣發理乘
敬 誠
涵養 (수양) 窮理 (지적 탐구)
유교적 국가의 이상
太極 ------- 王
理 ------- 官僚, 臣
氣 ------- 民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의 인력 관리의 철학 및 관점의 중요성 (0) | 2020.01.24 |
---|---|
자전거의 기계적 요소들 (0) | 2020.01.12 |
암호 - 고전. 현대 (0) | 2020.01.03 |
5 noix à manger en hiver pour les femmes (0) | 2019.12.27 |
영화 속 컴퓨터 그래픽 - CG in Screen (0) | 201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