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례
1품사의개념: 뜻, 분류이유, 분류기준, 종류2품사의갈래와특성Ⅰ: 명사, 대명사, 수사3품사의갈래와특성Ⅱ: 동사, 형용사6품사분류: 분류표, 확인문제4품사의갈래와특성Ⅲ: 관형사, 부사5품사의갈래와특성Ⅳ: 조사, 감탄사
품사의뜻
품사(品詞)란?
어떤단어를그단어가가진성질에따라서나누어놓은갈래1. 품사의개념품사의뜻
품사(品詞)란?
어떤단어를그단어가가진성질에따라서나누어놓은갈래1. 품사의개념
품사분류의이유
첫째우리가쓰는말을이해하고탐구하는데기초가된다.
둘째단어들사이의관계를파악하고그특성을밝힐수있다.
셋째국어의문법체계를이해하고기억하기쉽다.
1. 품사의개념1. 품사의개념
품사
분류의
이유
첫째우리가쓰는말을이해하고탐구하는데기초가된다.
둘째단어들사이의관계를파악하고그특성을밝힐수있다.
셋째국어의문법체계를이해하고기억하기쉽다.
분류기준(1) : 형태
▩<보기>의단어들을와같이문장에서쓰일때형태가변하는단어와그렇지않은단어로나누어보자.
예1. 품사의개념분류기준(1) : 형태
▩<보기>의단어들을와같이문장에서쓰일때형태가변하는단어와그렇지않은단어로나누어보자.
예1. 품사의개념
예* 가다: 집에가자.
* 책: 그것은책이다.
집에
간
사람이
많다. 그
책은
읽었다.
학교, 부르다, 강아지, 걷다보기형태가변하는단어형태가변하지않는단어
가다
부르다
책
걷다
학교강아지
분류기준(2) : 기능
▩<보기>의단어들을와같이밑줄그은부분에들어갈수있는단어와들어갈수없는단어로나누어보자.
예1. 품사의개념분류기준(2) : 기능
▩<보기>의단어들을와같이밑줄그은부분에들어갈수있는단어와들어갈수없는단어로나누어보자.
예1. 품사의개념
예
* 너를다시보게되니기분이
좋다.
매우, 친구, 아주, 우리, 정말, 모든보기들어갈수있는단어정말친구매우아주우리모든들어갈수없는단어
분류기준(3) : 의미
▩<보기>의단어들을‘움직임’을나타내는단어와그렇지않은단어로나누어보자.
가다, 예쁘다, 부르다, 아름답다, 걷다, 기쁘다보기‘움직임’을나타내는단어걷다예쁘다아름답다가다부르다단어는형태가변하는가변하지않는가, 문장에서어떤기능을하는가, 어떤의미를지니고있는가등에따라나눌수있다. 이렇게나누어진단어의갈래를품사(品詞)라고한다.
1. 품사의개념‘움직임’을나타내지않는단어기쁘다분류기준(3) : 의미
▩<보기>의단어들을‘움직임’을나타내는단어와그렇지않은단어로나누어보자.
가다, 예쁘다, 부르다, 아름답다, 걷다, 기쁘다보기‘움직임’을나타내는단어걷다예쁘다아름답다가다부르다단어는형태가변하는가변하지않는가, 문장에서어떤기능을하는가, 어떤의미를지니고있는가등에따라나눌수있다. 이렇게나누어진단어의갈래를품사(品詞)라고한다.
1. 품사의개념‘움직임’을나타내지않는단어기쁘다
품사의종류대명사수사동사관형사형용사조사부사명사감탄사
9품사1. 품사의개념
명사명사‘영희’,‘나무’와같이구체적인대상의이름이나‘사랑’,
‘행복’과같이추상적인대상의이름을나타내는단어를명사라고한다.
2. 품사의갈래와특성Ⅰ
▩<보기>의단어들을사람이나사물의이름을나타내는단어와추상적대상의이름을나타내는단어로나누어보자.
영희, 나무, 사랑, 개구리, 자유, 소망보기사람이나사물의이름추상적대상의이름개구리자유사랑영희나무소망명사명사‘영희’,‘나무’와같이구체적인대상의이름이나‘사랑’,
‘행복’과같이추상적인대상의이름을나타내는단어를명사라고한다.
2. 품사의갈래와특성Ⅰ
▩<보기>의단어들을사람이나사물의이름을나타내는단어와추상적대상의이름을나타내는단어로나누어보자.
영희, 나무, 사랑, 개구리, 자유, 소망보기사람이나사물의이름추상적대상의이름개구리자유사랑영희나무소망
2. 품사의갈래와특성Ⅰ2. 품사의갈래와특성Ⅰ
대명사
▩굵게표시된단어가가리키는대상을찾아보자.
지금
당장
그것을
가지러
산으로
출발하겠습니다.
간을때문에여기서는산에
두고
왔기
간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나는
너의
간이
필요하니
어서
간읁
내놓아라.
㉠나
:
㉢
그대
:
용왕
토끼
그대가산으로돌아가간을가져온다면많은보물을주겠노라.
용궁
㉡
여기
:
㉣
그겂
:
(토끼의) 간
대명사‘나’, ‘여기’, ‘그대’, ‘그것’과같이사람, 사물, 장소의이름을대신하여가리키는단어를대명사라고한다.
수사2. 품사의갈래와특성Ⅰ
▩와의밑줄그은낱말들이나타내는것은각각무엇인지말해보자.가 나
가 하나, 둘, 셋, ……. 어? 하나가
나
우리 동네 도서관은 첫째, 셋째
모자라네? 월요일에 쉰다.
순서를 나타낸다.
수량을 나타낸다.
수사‘하나’, ‘둘’, ‘일’, ‘이’, ‘첫째’, ‘둘째’처럼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단어를 수사라고 한다.
명사, 대명사, 수사를묶어서체언(體言)이라고한다. 체언은문장에서그형태가변하지않는다.
동사·형용사동사사람이나사물의움직임을나타내는단어를동사라고한다.
3. 품사의갈래와특성Ⅱ
▩<보기>의단어들을주어진기준에따라나누어보자.
자다, 많다, 잡다, 곱다, 둥글다, 노래하다보기움직임을나타내는단어노래하다둥글다많다자다잡다곱다형용사사람이나사물의상태나성질을나타내는단어를형용사라고한다.
동사와형용사를묶어서용언(用言)이라고한다. 용언은주로서술하는말로쓰이고그형태가변하는데, 이를활용(活用)이라고한다.
상태나성질을나타내는단어동사·형용사동사사람이나사물의움직임을나타내는단어를동사라고한다.
3. 품사의갈래와특성Ⅱ
▩<보기>의단어들을주어진기준에따라나누어보자.
자다, 많다, 잡다, 곱다, 둥글다, 노래하다보기움직임을나타내는단어노래하다둥글다많다자다잡다곱다형용사사람이나사물의상태나성질을나타내는단어를형용사라고한다.
동사와형용사를묶어서용언(用言)이라고한다. 용언은주로서술하는말로쓰이고그형태가변하는데, 이를활용(活用)이라고한다.
상태나성질을나타내는단어
관형사
·
부사
4. 품사의갈래와특성Ⅲ
▩와의빈칸에알맞을말을<보기>에서찾아보자.가나보기
잘, 새, 헌, 뒤뚱뒤뚱
가
나
헌
“아이가
입었다.”
입었다.”
걷는다.”
걷는다.”
“나는
옷을
“나는
새
옷을
“아이가
뒤뚱뒤뚱
잘
관형사‘새’,‘옛’,‘모든’,‘이’처럼문장속에서‘어떠한(어떤)’의방식으로체언을꾸며주는역할을하는단어를관형사라고한다.
부사‘매우’,‘일찍’처럼‘어떻게’의방식으로주로용언을꾸며주는역할을하는단어를부사라고한다.
관형사와부사는뒤에오는다른단어를꾸며주는역할을하므로수식언(修飾言)이라고한다.
조사5. 품사의갈래와특성Ⅳ
가
나
다음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은 ○, 그렇지 않은 말은 × 해 보자.
다음 문장의 ‘를’ 대신 ‘도’와 ‘만’을 넣으면 문장의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답해 보자.
* 나 는 꿈 을 꾼다.
조사5. 품사의갈래와특성Ⅳ
가
나
다음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은 ○, 그렇지 않은 말은 × 해 보자.
다음 문장의 ‘를’ 대신 ‘도’와 ‘만’을 넣으면 문장의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답해 보자.
* 나 는 꿈 을 꾼다.
나는 너를 모른다.
* 나는 너도 모른다.
다른 사람들도 모르지만, 너도 모른다는 뜻
* 나는 너만 모른다.
다른 사람들은 알지만, 너는 모른다는 뜻
조사
체언 뒤에 붙어서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 주거나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역할을 하는 말을 조사라고 한다.
조사는문장에쓰인단어들의관계를나타내므로관계언(關係言)이라고한다.
!
시내에웬코끼리가?
!
코끼리다.
도망가자.
감탄사감탄사‘앗’,‘어머나’,‘응’과같이놀람, 반가움등의감정,
부름이나대답을나타내는단어를감탄사라고한다.
5. 품사의갈래와특성Ⅳ
감탄사는문장에서독립적으로쓰이므로독립언(獨立言)이라고한다.
▩밑줄친부분에들어갈알맞은말을넣어보자.
앗어머나!
시내에웬코끼리가?
!
코끼리다.
도망가자.
감탄사감탄사‘앗’,‘어머나’,‘응’과같이놀람, 반가움등의감정,
부름이나대답을나타내는단어를감탄사라고한다.
5. 품사의갈래와특성Ⅳ
감탄사는문장에서독립적으로쓰이므로독립언(獨立言)이라고한다.
▩밑줄친부분에들어갈알맞은말을넣어보자.
앗어머나
6. 품사분류6. 품사분류
여러
가지
기준에
따른
분류
단어형태가변하는단어형태가변하지않는단어
동사형용사용언체언명사대명사수사관형사부사수식언관계언조사독립언감탄사
6. 품사분류6. 품사분류
귀엽다, 즐겁다
그대, 저기
이
/ 가, 읁
/ 륹
나무, 책상, 돌
걷다, 공부하다
맙소사, 에구머니
하나, 열, 둘째
참, 너무, 정말
새, 헌, 옛
수사조사대명사동사감탄사명사부사형용사관형사
확인
문제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대상의
이름읁
나타내는
말
문법적
관계륹
나타내거나
특별한
뜻읁
더해
주는
말
사물의
수량이나
차례륹
나타내는
말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나
성질읁
나타내는
말
부름, 느낌, 놀람이나
대답
등읁
나타내는
말
사람, 사물, 장소의
이름읁
대신해서
쓰는
말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읁
나타내는
말
체언
앞에
놓여서
내용읁
자세히
꾸며
주는
말
용언읁
꾸며서
뜻읁
자세하고
분명하게
해
주는
말
체언용언수식언관계언독립언
6. 품사분류6. 품사분류
확인
문제
아주어렸을때새옷을입고개울가에갔는데, 오!
통통한올챙이가꼬물꼬물헤엄치고있은거야. 그걸잡으려다가옷이흠뻑젖어버렸지. 그것이잊지못할하나의추억이되었어.
체언명사대명사수사관형사부사수식언관계언조사독립언감탄사동사형용사용언옷그것하나에오새흠뻑갔는데통통한
6. 품사분류6. 품사분류
확인
문제
아주어렸을때새옷을입고개울가에갔는데, 오!
통통한올챙이가꼬물꼬물헤엄치고있은거야. 그걸잡으려다가옷이흠뻑젖어버렸지. 그것이잊지못할하나의추억이되었어.
형태가변하는(활용하는) 낱말갔는데(동사, 기본형‘가다’)
형태가변하지않는(활용하지않는) 낱말옷(명사) 그것(대명사)
하나(수사)
통통한(형용사, 기본형‘통통하다’)새(관형사) 흠뻑(부사)
에(조사) 오(감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