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rsprung durch Technik

블로그 이미지

MSNU

1. 소비자행동의 기본 2. 소비자 구매행동의 유형 3. 구매의사결정 과정 4. 주요 요인들 1. 시장세분화 2. 표적시장 선정 3. 포지셔닝

myPPT 2013. 1. 17. 02:32

1. 소비자행동의 기본

1) 두 가지 대표적 정의들

① Wilkie: 사람들이 필요와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제품들과 서비스를 선택, 구매, 사용할 때 관여되는 정신적, 육체적 활동들

② AMA(미국 마케팅학회): 인간들이 삶에서 교환적 활동을 위해 필요한 정서, 인지, 행동 및 환경적 요소들의 동적인 상호작용

● AMA의 정의가 보다 일반적이고 포괄적임

2) 구체적인 예들

브랜드 구매, 특정 브랜드 선호, 운동경기 관람, 특정 서비스의 사용, 제품 사용 후 폐기 등

2. 소비자 구매행동의 유형

1) 구매빈도/신규성에 따른 분류

a) 일상적(습관적) 의사결정

-흔히 구매하는 제품 구매시, 대안 평가나 외부탐색을 하지 않음

-브랜드 애호에 따른 반복구매와 단순한 반복구매의 2가지

b) 제한된 의사결정: 중간형태

c) 본격적(포괄적) 의사결정

-복잡하고 흔히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의 5단계를 다 거침

-중요제품으로서 구매경험이 없는 경우, 위험 부담이 큰 경우

2) 관여도, 상표차이, 구매경험에 따른 네 가지 구매행동의 유형들


a) 복잡한 구매행동

-소비자들이 구매에 높은 관여를 보이고 각 상표간 뚜렷한 차이점이 있는 제품을 구매할 경우; 신념->태도->행동의 단계를 거침

• 부조화 감소 구매행동---구매하는 제품에 대해 비교적 관여도가 높고 각 상표간 차이가 작을 때

b) 브랜드 애호도에 의한 구매

-상표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계속적으로 반복적 구매를 함

c) 습관적 구매행동

- 단순 반복구매--낮은 관여도를 보이며 상표간 차이가 미미한 경우 가격할인, 판촉 등의 사용이 효과적

d) 다양성 추구 구매행동

-구매하는 제품에 대해 비교적 저관여 상태이며 제품의 상표간 차이가 뚜렷한 경우, 소비자들은 잦은 상표 전환을 하게 됨

3. 구매의사결정 과정

1) 필요 인식

---실제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가 다르다는 것을 감지할 때 문제 또는 필요를 인식하게 됨 → 구매행동의 유발




● STP 전략(Segmentation, Targeting, and Positioning)

1. 시장세분화

1) 세분시장 마케팅 도입의 역사적 단계

① 대량마케팅: 규모의 경제와 경험곡선의 활용

② 제품다양화 마케팅: 제품의 형태, 질, 크기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2가지 이상의 제품을 생산, 제공

③ 표적시장 마케팅: 하나 또는 복수의 세분시장을 선택, 각각 시장에 적합한 제품 및 마케팅 믹스를 개발, 제공함

④ 개인 마케팅: 개개인에 맞춤화하는 마케팅

● 시장 세분화, 표적 시장 선정, 포지셔닝의 단계

1) 시장 세분화

① 세분화 기준변수 파악

② 각 세분시장의 프로파일 개발

2) 표적 시장 선정

① 세분시장 매력도 평가를 위한 측정변수 개발

② 표적시장 선정

3) 포지셔닝

① 각 표적시장별 포지셔닝을 위한 위치 파악

② 각 표적시장별 마케팅믹스 개발

2) 시장세분화의 의의와 필요성

● 의의--집단 내에서는 제품 욕구, 구매 행동 등이 유사하고 집단 간에는 상이한 몇 개의 집단으로 구분

● 시장세분화의 필요성

-소비자들은 여러 가지 점에서 다르다

-조직의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

-표적 시장에 집중적으로 자원 투입이 가능

3) 시장 세분화의 기준


(1) 지리적 변수: 국가, 도, 도시, 지역, 인구 밀도, 기후 등

(2) 인구통계학적 변수: 나이, 성별, 가족구성원의 수, 가족 생애주기,

소득, 직업, 교육수준, 종교, 인종, 국적, 사회계층 등

• 최근의 유니섹스 경향, 스테레오타이프적인 세분화에서 벗어나야 함

--- “KTF 적인 생각”, 여성들의 영향력과 어린이들의 영향력이 크게 증가

(3) 심리도식적 변수(psychographics)

--가치, 라이프스타일, 개성(성격) 등

• 의류, 담배, 주류, 문화 소비, 액세서리, 스포츠 활동 및 관람 등에서 두드러짐

(4) 행동적 변수

--구매 또는 사용 상황, 소비자의 편익(편익 세분화), 제품 사용 경험, 사용 정도, 애호도,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자의 인지/관심/구매의사 등의 정도

• 최근 브랜드 애호도가 높은 고객을 대상으로 기업이 집중적인 공략을 함---VIP 마케팅, 애호도 프로그램 등


20~30대 직장인을 타겟으로 한 LG패션 TNGT


40~50대의 머추어 레이디집단 겨냥 광고


4) 효과적 시장세분화의 조건들

① 측정가능성

-세분시장의 특성 (규모, 소비자의 특성)들이 측정 가능해야 함

② 접근가능성

-유통경로나 매체를 통해 접근이 용이해야 함

③ 충분한 규모의 시장

--충분히 커서 조직에 이익을 가져다 줄 정도, 노력의 대가가 있을만한 가치가 있는 시장

④ 실행가능성

--세분시장에 맞는 효과적인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함

2. 표적시장 선택

1) 세분 시장 평가 시 주요 요인들

① 세분시장의 규모와 성장률

-각 세분시장에 대한 현재 판매량, 예상 성장률, 예상 수익률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

-충분한 규모와 높은 성장률이 중요

② 시장구조

수익성 측면에서 매력적이어야 함

-장기적인 세분시장 매력도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요인들인 경쟁 강도, 대체 상품의 위협, 구매자의 힘, 공급자의 힘 등을 분석

③ 기업의 목표와 자원

-세분시장의 규모가 크고 성장률이 빠르고 구조적으로 매력적이라도 세분시장과 관련된 자사의 목표와 자원을 고려하여 시장의 매력도를 평가해야 함

-목표와 부합하더라도 그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기술과 자원이 있는가를 봐서 경쟁적 우위를 얻을 수 있고 비용보다 혜택이 더 많다고 판단할 때 진입함

2) 표적시장 선택 시 선택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① 무차별적 마케팅

-세분시장 간의 차이를 무시하고 하나의 제품으로 전체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

-소비자들 간의 차이보다는 공통점에 중점을 두며, 대량유통과 대량광고를 채택

② 차별적 마케팅

-여러 개의 표적시장을 선정하고 각각의 표적시장에 적합한 마케팅전략을 개발

-제품과 마케팅 믹스의 다양성을 통해 각 세분시장 안에서 높은 판매고와 강력한 위치를 구축 가능함

③ 집중 마케팅

-기업의 자원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큰 시장에서 작은 점유율을 누리기보다는 하나 혹은 소수의 작은 시장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누리기 위한 전략

-특정 시장에 속한 소비자의 특성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강력한 위치를 획득 가능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이 변화하면 그 시장의 시장성은 사라짐

3. 포지셔닝

1) 포지셔닝의 정의

• 정의: 소비자들의 인식 속에 자사브랜드의 포지션을 기억시키는 과정

-기업은 선택한 표적시장의 소비자들의 마음 속에 경쟁사에 대비하여 최대한의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포지셔닝 전략을 기획하고 마케팅 믹스를 개발함

2) 재포지셔닝(repositioning)

--소비자의 기호변화, 경쟁 브랜드의 진입 등으로 기존의 포지셔닝이 우위를 상실했을 때 브랜드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것

     예) Miller 맥주, Marlboro 담배

 

3) 포지셔닝의 기준

① 제품속성                  예) 죽염 치약

② 사용상황, 혜택            예) Gatorade, 컨디션

③ 도구적, 최종 가치         예) Pontiac, Volvo, Nike 

④ 제품군                   예) 녹차, Dove

⑤ 제품사용자               예) Johnson & Johnson 

⑥ 경쟁제품이나 브랜드      예) Avis, 7-Up, 칠성사이다

 


칠성사이다 비교광고 

 나이키 광고


4) 포지셔닝 전략의 수립과정

① 경쟁적 강점 파악

-소비자들의 욕구와 구매과정에 대해 경쟁사보다 잘 이해함으로써 경쟁사들보다 높은 가치를 소비자들에게 줄 수 있어야 함

• 차별화 가능 요인-제품 차별화, 서비스 차별화, 인적 차별화, 이미지 차별화

② 적절한 경쟁우위의 선택

-경쟁적 강점을 파악 후 어떤 경쟁적 우위점을 선택할 것인가, 몇 개의 우위점을 가지고 차별적 포지셔닝을 할지를 결정

● 사례: W호텔

-직원들의 사기를 장려, 독특한 호칭을 사용(예, 객실 청소부: 룸 스타일리스트)

-디자인을 중요시

-직원들에게 W 언어- W라이프스타일 훈련을 시켜서 소비자들에게 최상의 와우(Wow)경험을 주도록 함

-오감에다 와우와 윙크를 가미한 7감 마케팅을 추구

-인적 차별화를 바탕으로 한 최상의 서비스를 주는 호텔로 포지셔닝

① 선택한 포지션의 전달

-포지셔닝에 사용될 차별점이 선택되면 표적 소비자들에게 포지셔닝이 될 수 있도록 차별점을 전달

-모든 기업의 마케팅 믹스 노력은 포지셔닝 전략을 뒷받침 해야 하며 포지셔닝을 위해 기업의 실질적 행동이 필요함

② 지각도

-중요한 평가차원을 사용하여 제품이나 상표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 제품의 심리적 포지셔닝 개발을 위한 강력한 도구로 사용됨

• 지각도의 장점

①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인식차원의 파악

② 차원 상에서 기존 제품과 잠재적 제품의 상대적 위치의 파악

③ 이상적인 위치를 알려 줌

④ 재포지셔닝 시 어떤 위치가 좋은지 파악

● 지각도의 예

제품관리

사례

● 애플의 i시리즈(도입사례)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등 연속 대히트 모바일 제품들로 성공을 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을 잘 조합함

-애플의 성공은 고객의 입장에서 제품을 생각하고 고객이 원하는 핵심 속성들과 혜택들을 제공함에서 비롯됨

-아이튠스, 앱스토어, 아이북스 스토어를 통해 콘텐츠 제공자들을 끌어들이고 수익을 주고 소비자들이 다양하고 편리한 콘텐츠들을 애플 모바일 제품들에서 사용하도록 한 것이 강점으로 작용

-열성적인 브랜드 애호도를 가진 많은 고객들을 확보한 것이 경쟁 브랜드들에 비해 장점으로 작용

● 신세계 이마트의 오징어 상품 비디오 틀어주기

-10분짜리 오징어 비디오(이마트 플래카드를 단 어선들이 속초항을 떠나서 어획, 운반, 가공하는 장면 등을 포함)를 보여 준 후에 매출액이 30% 늘어남

-신선한 제품을 강조; 성공 후 딸기, 갈치 비디오도 제작 시도

●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고급 화장품, 한방원료 사용

-1997년 브랜드 출시, 2006년 4500억 원의 매출을 올림

-경희대 한의대와 손을 잡고 공동연구, 5 가지 핵심 한방성분으로 구성된 자음단을 기본원료로 사용함

-향장이라는 자사미용소식지 40만부에 설화수 샘플을 붙여 판촉을 하는 것이 효과를 봄; 제품의 질을 부각시키는 광고를 주로 함

-한국을 대표하는 고급화장품으로 세계화를 시도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화량의개념과통화지표(1. 화폐란 무엇인가,2. 지불제도의 변천3. 통화량의 개념과 통화지표4. 우리나라의 통화지표5. 미국의 통화지표 6. 과잉유동성의 판별7. 금융상품의 3대 속성8. 자금순환..  (0) 2013.01.18
NIKE KOREA(나이키 한국시장) 스포츠의 경영분석  (0) 2013.01.17
현대 미국 사회와 문화:WASP: 미국의 엘리트는 누구인가?,『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아무 것도 되는 게 없어 Why Nothing Works: The Anthropology of Daily Life』  (0) 2013.01.16
상법 강의 노트 2탄 끝  (0) 2013.01.16
상법 강의 노트 1탄  (0) 2013.01.16
Posted by MSNU






favicon

Vorsprung durch Technik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993)
    • myPPT (813)
    • 시리즈 (164)
      • 연소 (14)
      • 경제 (5)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