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1. 외곽경보시스템이란?
외곽보안시스템은초기에는철조망및휀스(담장)에의존하는1차원적인물리적보안이주종을이루었으나범죄의유형이다양화되고지능화되면서, 점차외곽울타리등에침입감지경보기를부가적으로설치하는2차원적인시스템으로발전하였다.
또한최근에는중앙통제소를중심으로침입감지경보기와영상시스템을연동시킨3차원적인시스템이선을보이고있다.
즉, 외곽휀스주변에침입감지경보기를설치하고부가적으로감시카메라까지설치해이상사태가발생되면이를직접영상으로확인함으로써좀더효율적인통합관리를할수있게된것이다. 이렇듯외곽보안시스템에도전자기술을응용한제품에따른최첨단시스템이도입되고있는추세이다.
2.1.1. 외곽경보시스템개요
현재, 주요외곽보안체계는외곽에철재휀스를구축하고내부에서인력경비위주로주요구역을육안으로경계하는방식이대부분이다.
또한, 현재까지인건비의증가와보안상의허술함을해결하기위해여러가지무인경비장치를설치·운영하고있지만심각한오경보문제로대부분정상적으로가동되고있지않으며, 보안요원의사고방식도오경보를당연한것으로받아들이고있는분위기가강하다.
이러한문제점을해결하기위하여인천국제공항, 김포공항, 포철, 공군비행기지등주요보안시설물에외국산장력형감지기와광망형제품등이도입되어운영되고있으나오경보, 오작동, 설치업체도산, 높은유지보수비용등의문제점이빈번히발생해정상작동이어려운상태이다. 최근에는기존시스템의문제점을해결하는새로운기술기반의국산외곽경보시스템제품이선보이며시장에진입하고있다.
2.1.2. 외곽경보시스템국내시장구축현황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가. 1 차저지2.1.3. 외곽경보시스템구성및운영체계2.1. 외곽경보시스템이란?
□
외곽
철재
휀스로
물리적
침투
저지
=> 침입자는
1차적으로
외곽에
설치되어
있는
휀스에
의해
물리적으로
침투저지
□
휀스
경보용
Sensor 로
침투
감지
=> 침입자가
휀스를
월담, 월책, 절단
시
발생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현장에서
경보신호
발령(사이렌/경광등)과
동시에
보안요원에게
전달
□
연동
경계시스템
=> 보안요원에게
경보신호
전달과
동시에
연동된
카메라와
영상을
통하여
침입자의
침입여부/오동작
여부를
신속하게
정확한
현황을
파악
□
경고
방송
및
출동
=> 경보신호와
CCTV 영상을
통하여
침입자와
침입
시
경고
방송
및
보안
요원을
즉각
출동시켜
2차
침입
저지
및
조치
나. 2 차저지
다. 사용자의편의성
라. 조치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1. 외곽경보시스템이란?
2.1.4. 외곽경보시스템선정시고려사항
가. 성능및내구성
나. 유지보수의편의성
다. 사용자의편의성
침입
감지
성능, 은밀
침투방지
성능
및
평균수명(내구성), 급격한
온도
변화
및
폭풍우
등
급변하는
환경에서의
오경보
발생
여부, 제품
작동
온도
조건, 지형
지물에
따른
설치
조건
유지보수
소요시간, 고장
시의
복구대책, 고장지점
파악시간, 일부
고장
시
임시운용
능력,
자체
고장진단
기능
포함
여부, 적합한
유지보수
자재
및
장치
지원
여부
보안요원
운영
편의성, 원격
감도조절
편의성, 보안
데이터
저장성, 카메라
영상
시스템
등
타
시스템과의
연동성
지원
여부, 보안요원
장비교육
등
부대지원
사항, 유지보수
지원
사항
제품의
가격, 성능, 평균수명, 보증기간
및
유지보수비
등을
입체적으로
고려하여
결정
라. 예산사항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1. 외곽경보시스템이란?
2.1.5. 외곽경보시스템의운용실태와도입시문제점
■외곽경보시스템이란
■현재국내외곽경보시스템의운용실태
외곽
경보시스템이란
“국가
주요기관. 주요산업시설
또는
주거지역
등
보호대상
시설의
외곽
울타리에
대한
외부인의
침입
시
경보를
발령하고
침투위치를
확인시켜
주는
기술적
장치”로
흔히
울타리
감지시스템이라
표현한다. 그
설치
목적은
무인
또는
최소의
경비인력으로
요구
방호태세를
유지하고
안전을
지키는데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
주요
시설이나
산업시설에
여러
종류의
외곽경비시스템이
외국으로부터
도입
설치되어
왔으나
관련
기술사항에
대한
이해부족과
근거자료의
궁핍으로
지역특성에
적합한
기
종이
선택되지
못하였고, 특히
우리나라는
외국과
달리
산악지역이
많고
기후변화가
심하여
근
본적으로
부적합한
제품도
사전
여과되지
못하고
설치된
경우가
허다
하여
성공사례를
발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설치
비용이
고가이거나
대부분의
제품이
외국에서
수입된
제품으로
유지
보수에
많은
애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
환경(기상, 지형, 주변요건)에
의한
오경보
요인이
없을
것
.
은밀
침투
시
침입자를
명확히
탐지하여
경보발령을
할
것
.
침투지점을
정확히
표시할
것
.
유지보수가
단순
할
것
■고신뢰도외곽경보시스템의구비요건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1. 외곽경보시스템이란?
2.1.6. 외곽경보시스템운용시요구사항
■운용목적
주요시설의
외곽
울타리에
감지기를
설치하고
중앙
통제실의
경보시스템과
연결하여
외부
임의
무단
침투
시
자동
경보를
통해
침투상황과
침투
위치를
확인하여
즉시
대
처할
수
있는
과학화
경비체계를
운용함으로써
주요
시설의
철통
경비체제를
구축하
고자
설치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선정원칙
주요시설이
위치한
지형적
여건을
고려하고
환경
변화
조건을
면밀히
조사해서
최적의
기종을
선정, 설치하되
경보
장치의
기능
미흡으로
인하여
경비
체계에
허점이
노출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선정원칙과
사용자
요구시방서(최소기준)를
준수하여야
한다.
.
오경보, 오동작을
최소화해야
한다.
.
사용, 조작이
간편하고
경보
시
식별이
용이해야
한다.
.
침입
시
명확히
경보하고
침투
위치
표시
및
상황
자료를
보존해야
한다.
.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한다.
.
내구성이
양호해야
한다.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1. 외곽경보시스템이란?
2.1.7. 사용자요구시방
항
목
세
부
내
용
비
고
기본
성능
.
침투
유형
선정(월장
및
월책), 울타리
관통,
굴토
침투, 비행침투
등
.
은밀
침투
방지도
.
탐지
확률(90~95% 범위
이내)
.
침입구역표시
.
경보기능
.
자체
점검
기능
.
작동상황
자동
기록(점검
시
이상
유무,
장비를
켜고
끌
때, 동작
시
경보
시
기록)
.
센서
특성을
역이용한
은밀
침투
방법에
대한
검토
및
그
대처
방안을
제시
.
설치지역을
대응
및
다른
감시
장비와
연동을
고려하여
여러
단위
감지
지역으로
분활하고, 그
크기는
설치
지
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침투의
표시는
구역별로
나타낸다.
.
중앙
통제실
표시
장치에
침투구역
표시
및
경보음
발생
.
항시
자동점검
및
필요
시
수동점검
기능, 고장
시
고장
내용
표시
가능성
여부
.
경보
시
운용자
조치내용
기록가능
여부
설치
지역
적합성
.
지역의
지면
경사도
및
굴곡, 주위
초목
상태,
주변의
잡음
및
전자파
발생
요인
(차도, 공장,
파도, 변전소, 고압선..) 야생
동물등에
의한
센서의
정상
작동에
대한
영향
고려
.
지역
지반
변화에
따른
장치의
성능
저하
여부
판단
및
대책
.
바닷가인
경우
염분에
대한
내성
여부
.
평지, 경사지, 급
경사지
등
지면
상태에
따른
센서의
성
능
변화
여부
.
잡목, 잡풀, 수목
등의
영향
.
잡음
발생
요인이
많은
경우
진동이나
충격
감지
기종
회피
.
지역
지반이
해빙기
또는
폭우
등으로
변화가
심할
경우
센서에
미칠
영향
검토
및
설치
시
대책
환경성
.
작동
온도
범위
.
그
지역의
연중
최저
온도
.
방습, 방수
기능
여부
.
강우, 강설, 강풍
시에
정상
작동
여부
.
폭우, 폭설, 폭풍
등에
의한
손상
가능성
여부
.
옥외
설치
기관에
적용
.
사계절에
정상
동작
.
감지
능력
저하
여부
.
폭풍에
날려오는
물체가
부딪힐
경우
충격에
의한
구성
품의
손상
취약성
검토
및
대책
신뢰성
.
오경보율의
최소화
.
적정
수명
보장
여부
고려
.
고장률이
낮고
내구성이
있는지
여부
.
오경보율은
기종간의
비교로서
고려한다.
(참고:Km 당
월
10회
이하)
.
적정
수명
사용
후
교체
.
기종간의
내구성
비교
운
용
용이성
.
사용자
교범
.
장치
조작의
단순성
및
논리성
.
사용자
교범이
이해하기
쉽게
잘
작성되었는지
여부
.
조작
실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단순하고
그
순서가
논리
적인지
여부
정비성
.
장치의
구성품별
교체
시간
.
구성품별
보수
시간
.
구성품
교체시
호환성
여부
.
구성품
뭉치
또는
구성품
보수에
필요한
부품
구입의
용이성
.
유지보수
비용의
적정성
.
기종별
비교
.
구성품
교체시
다른
구성품을
제조정하지
앟아도
센서의
감도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
여부
.
수입을
해야만
가능한
특수
부품이
있는지
여부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2. 각종외곽경보시스템의종류및비교내역
감지
방식
전자계
감지
적외선
감지
진동
감지
장력변화
감지
광케이블/광망
Guard Net
항목
E-Field( 미)
-울타리에
부착
H-Field( 미)
-매설
적외선
접근
센서(미),
적외선
차단
센서(미)
Guardwire
(미), E-
Flex( 미),
Shock
Sensor( 미),
광케이블진동
센서(미,영)
Multisensor
(이스라엘)
YAEL-15
(이스라엘),
Sabretape
(영국)
OTM
(Optical
Transmission
Monitoring) 방
식
OTM(Optical
Transmission
Monitoring)
ORM(Optical
Reder Mode)
방식
Guard Net
(ESCOM)
감지
원리
일정한
전장
또는
자장을
형성해두어
침
입자(물) 출현
으로
교란됨을
감지
인체방출
원
적외선(10㎛)
을
감지하거
나
기송출된
근적외선
(0.85㎛)차단
을
감지
울타리를
절단
하거나
기어넘
을
때
발생되
는
진동이나
변형을
감지
팽팽한
철선
(Tautwire)
또는
광테이
프를
절단하
거나
벌릴
때
감지
광케이블망의
관통광으로부
터
절단을
감지
광케이블망의
관통광으로부
터
절단을감지
하고
반사광으
로부터
침투지
점을탐지
울타리를
절
단,월담,충격
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변
형을
감지
탐지
성능
양호한
날씨
정상보행자를
감지하여
경보
하고
200m 내
외
구역표시
양호한
날씨
정상보행자를
감지하여
경
보하고
200m
내외
구역표
시
양호한
날씨
통상적
절단이
나
월책시
경
보하고
수백m
구역표시
평지에서
보
통
절단이나
벌리고
침입
시
경보하고
200m
~300m 구역
표시
망절단시
경보
하고100m단위
구역표시, 월장
을
감지하지못
하므로
망
상단
에
별도의
장력
Transducer 필
요
망을
절단하거
나
잡아당기거
나
월장시
경보
하고
10m 단위
로
지점표시
망을
절단,
월담, 충격
탐지
100~500m 단
위로
감시구
역표시
원격제어기능
(감도, 경보신
호)
은밀
침투
취약성
느린
속도/낮
은
포복/강풍/
우천
적설시
감시
제한
느린속도/낮
은포복/악천
후/고온시
침
투
알루미늄
호일/거울로
차단/접속부
취약
저속절단/
저급월책
무성절단
강풍
시
침투
Detector 좌,
우
균형절단
Spcal Wire
제거후
침투
하단
침투
망
교차점을
가
르고
은밀
관통
하거나
망
하단
을
철책으로부
터
분리하여
처
들고
침입가능
망
교차점을
자
르거나
철책으
로부터
분리하
는
방식의
은밀
침투를
방지
감지
감도, 느
린
속도
절단
에
대비한
침
투를
방지
기기
영향
바람, 안개, 눈,
비, 낙뢰, 정전
기
등에
오
경
보
오
작동
바람, 안개,
눈, 비, 낙뢰,
정전기
등에
오
경보
오
작
동
바람에
오
경
보
기온변화에
영
향
바람, 비, 기
온변화, 낙뢰,
정전기,
Ground
Loop 에
오
경보/
오작동
망
자체는
기상
에
무영향하나
Transducer 는
우천, 바람,혹
한시
철책의
이
동, 지반변형으
로
오
경보
각종
기상변화
에
무
영향
각종
기상변
화에
무
영향
(원격
감도
조
절기능으로
강풍, 강우
시
원격
감도
조
절)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2. 각종외곽경보시스템의종류및비교내역
감지
방식
전자계
감지
적외선
감지
진동
감지
장력변화
감지
광케이블/광망
Guard Net
항목
E-Field( 미)
-울타리에부착
H-Field( 미)
-매설
적외선
접근센서
(미), 적외선
차
단센서(미)
Guardwire( 미),
E-Flex
(미), Shock
Sensor( 미), 광
케이블진동센서
(미,영)
Multisensor
(이스라엘)
YAEL-15
(이스라엘),
Sabretape
(영국)
OTM(Optical
Transmission
Monitoring) 방식
OTM(Optical
Transmission
Monitoring)
ORM(Optical
Reder Mode) 방
식
Guard Net
(ESCOM)
지형
영향
굴곡지에
기능
저하지반/울타
리
자재에
영
향
굴곡지에
기능저
하/센서
수효증
가
소요
지반/울타리
자
재에
영향
지형에
적용
굴곡지
설치
불가
연약지반에
취
약
굴곡지, 연약지반
에서
Transducer
에
의한
오경보
굴곡지, 연약지반
에서도
무
영향
지형에
적응
설
계
제작
주변
여건
주변
수목, 동
물, 통행차량/
사람, 고압선
등에
오경보/
오작동
전방
수목, 동물,
통행차량/사람,
나르는
물체등에
오작동/
오경보
주변
수목, 동물,
통행차량/사람
등에
오경보/오
작동
칡넝쿨/장미
등
수목, 통행
차량/사람에
취약
Transducer 는
주
변수목에
오경보
철책이외의
주변
영향에
무관
주변
여건에
따
라
수시
감도
원
격
조절
기능
감도
조정
기상변화에
따
른
감도
수시
조절필요
적외선
소자
고
장빈발
방향조정
/점검
소요
감도
수시
조절
필요
Tension 조정
필요
설치에
많은
인력소요
절단
시
복구
곤란
기상변화에
따른
Transducer 감도
조절
필요, 망
손
상
시
복구
곤란
감도조절
불필요,
망
손상
시
현장
접속복구
가능
원격
감도
조절
기능
설치
지역
보호된
공간
보호된
공간
콘크리트
기반,
사막
블록담
콘크리트
기반,
사막
견고한
평지
평지, 굴곡지, 철
책, 담장, 철주,
지하,
수중
등
평지, 굴곡지,
철책, 담장
유지
보수
외국제품으로
대체수리가능
상당소요
외국제품으로
대
체수리가능
상당
소요
외국제품으로
대체수리가능
상당소요
외국제품으로
대체수리가능
상당소요
외국제품으로
대
체수리가능
상당
소요
외국제품으로
대
체수리가능
상당
소요
국산최초로
인
한
즉시
대체
기
능, 저렴한
유지
보수
비용
연동
감시
기능
별도의
연동
감시
기능구축
별도의
연동감시
기능구축
별도의
연동감
시
기능
구축
별도의
연동
감시
기능구축
별도의
연동감시
기능
구축
별도의
연동감시
기능
구축
CCTV Camera
와
연동감시기
능
(단일
Software 처리)
도입
비용
고가
저가
고가
고가
고가
고가
저가
외곽울타리경보시스템2.3. 각종외곽경보시스템의종류및특징자기유도진동Sensor 방식감시시스템은침입자에의한외곽휀스에가해지는진동이전류또는주파수변화등으로변화되는Data 를감지하고Alarm 경보신호를중앙관제시스템으로Data 전송하여중앙감시실에서원격감시제어가가능한시스템이며또한100% 국산기술로개발되어초기도입이저렴하고유지보수가용이한시스템입니다.
2) 감지방식.외곽휀스월담, 진동, 절단, 단합선감지.진동시발생되는주파수파형감지.중앙집중식원격제어방식으로중앙에서일괄Control 가능(센서감도/제어)
.기상변화시원격자동감도조절기능으로편리성및오동작의최소화.중앙에서모든Data 상황을실시간그래픽으로감시가가능.저렴한설치비용.유지보수의최소화-100% 국산화된제품으로비용이저렴하고신속한사후조치가능.CCTV 시스템과연동자동추적기능
카메라라이트
AMP
MIC
NIU
VDA
-
중앙감시실Network
DVR
2.3.1. Guard Net 자기유도방식의외곽경보시스템1) 시스템의개요3) 시스템의장점EDMS-2000
울타리경보시스템2.3. 각종외곽경보시스템의종류및특징자기유도진동Sensor 방식감시시스템은침입자에의한외곽휀스에가해지는진동이전류또는주파수변화등으로변화되는Data 를감지하고Alarm 경보신호를중앙관제시스템으로Data 전송하여중앙감시실에서원격감시제어가가능한시스템이며또한100% 국산기술로개발되어초기도입이저렴하고유지보수가용이한시스템입니다.
2) 감지방식.외곽휀스월담, 진동, 절단, 단합선감지.진동시발생되는주파수파형감지.중앙집중식원격제어방식으로중앙에서일괄Control 가능(센서감도/제어)
.기상변화시원격자동감도조절기능으로편리성및오동작의최소화.중앙에서모든Data 상황을실시간그래픽으로감시가가능.저렴한설치비용.유지보수의최소화-100% 국산화된제품으로비용이저렴하고신속한사후조치가능.CCTV 시스템과연동자동추적기능
카메라라이트
AMP
MIC
NIU
VDA
-
중앙감시실Network
DVR
2.3.1. Guard Net 자기유도방식의외곽경보시스템1) 시스템의개요3) 시스템의장점EDMS-2000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3. 각종외곽경보시스템의종류및특징
2.3.2. 광망Sensor 방식의외곽경보시스템
1) 시스템의
개요
광망형
Sensor 외곽
경보시스템은
광
센서
케이블로
망을
구성하여
기존의
담장에
부가적
으로
설치를
하여
외부인의
침입
시
침입자에
의해
광
센서망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절단
등
외력의
변화가
광
센서망에
흐르는
광신호의
변화로
전환되는
것을
이용해
감지하는
방식이다. 가격면에서
타
시스템에
비해
고가이지만, 전자기파의
무간섭성, 낮은
오경보율,
높은
감지도로
최근에
호평을
받고
있는
방식이다.
또한, 온도, 기후
등의
변화
그리고
산악지형
등의
설치장소에
제약조건이
없다는
장점도
있
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광
망형
제품은
높은
설치비용과
유지
보수면에서
다루기가
까다롭다
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
2) 감지
방식
.
월장, 월책, 관통, 절단
침투
감지
.
외부인
침입
시
광
Sensor 에
가해지는
충격, 절단, 절곡
.광
Sensor 망에
흐르는
광
신호
변화
감지
3) 시스템의
장점
.
전자기파
무간섭성
.
낮은
오경보율
.
높은
감지율
4) 시스템의
단점
.
높은
초기
도입
비용
.
높은
유지
보수
비용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3. 외곽경보시스템의종류및특징
2.3.3. 자기유도방식(광Cable) 의외곽경보시스템
1) 시스템의
개요
자기유도
방식의
감지시스템에는
전자식과
광센서식
두
가지가
있는데, 전자식은
담장에
가해지는, 침입자에
의한
기계적인
진동이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
등으로
전환되는
것을
이용하여
감지하고, 광센서식은
침입자의
진동이
수신된
광
파워의
변화를
이용하여
감지
한다. 가격면에서
볼
때
가장
경제적이며
설치
및
시공이
편리하지만
비, 바람, 폭풍우
등
의
환경
변화에
민감하여
오경보가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2) 감지
방식
.
휀스의
진동, 절단
감지
.
진동
시
발생되는
주파수
파형
변화
감지
3) 시스템의
장점
.
실용적인
도입
가격
.
감지효율의
우수성
.
설치
공사의
용이성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3.4. 장력형Sensor 방식의외곽경보시스템2.3. 외곽경보시스템의종류및특징
1) 시스템의
개요
장력형
제품은
토트
와이어(Taut Wire) 의
중간에
스트레인
센서를
부착하여
토트
와이어에
침입자에
의한
당기거나
미는
힘이
작용하면
센서가
이에
반응하여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방법이다.
주요
산업체는
이스라엘의
마갈과
미국의
디텍션이
있는데
두
회사의
주요한
차이점은
스트
레인
센서의
형태가
다르다는
것이다.
장력형
제품은
평지
및
직선
구간에
최적인
제품으로서
산악지형
및
일교차가
큰
지역에서는
어울리지
않는다. 그
이유는
토트
와이어를
일직선으로
설치해야
하고
적정한
장력으로
당겨
서
장착해야
하므로
설치
및
시공이
까다롭고
고가이기
때문이다. 또한
토트
와이어는
온도
에
따른
길이
변화가
있어
일교차가
심한
곳에서는
오경보
가능성이
높아진다.
2) 감지
방식
.
감지선(Taut Wire) 을
당기거나
밀
때
발생되는
단선
감지
3) 시스템의
장점
.
높은
감지
효과
4) 시스템의
단점
.
일기
변화
시
감지선
이완으로
인한
오
작동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3.5. 마이크로웨이브Sensor 방식의외곽경보시스템2.3. 외곽경보시스템의종류및특징
1) 시스템의
개요
마이크로웨이브형
외곽
경보시스템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신부에서
감지
영역으로
전자파를
조사하여
다른
지점에
설치된
수신부에서
받아서
침입자가
두
지점
사이의
전자파를
끊고
지나갈
때
수신
파워의
변화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식이다. 일직선
구간
방식만
가능하며
안개, 악천후, 동물
등에
의한
오동작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2) 감지
방식
.
발신부와
수신부
간의
전자파
단선
시
3) 시스템의
장점
.
넓은
감지기
대역
.
소규모
경계
지역에
설치가
유리
(40M, 70M 용)
.
설치의
용이성
4) 시스템의
단점
.
안개, 악천후
일기불순으로
인한
오동작
.
대규모
경계지역에
설치
시
높은
초기
도입
비용
외곽
울타리
경보시스템
2.3. 외곽경보시스템의종류및특징
2.3.6. 전자감응Sensor( 적외선감지기) 방식의외곽경보시스템
1) 시스템의
개요
적외선
감지기
Sensor 방식의
전자
감응시스템은
적외선
영역의
전자파를
조사하여
다른
지점에
설치된
수신부에서
받아서
침입자가
두
지점
사이의
전자파를
끊고
지나갈
때
수신
파워의
변화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식이다. 일직선
구간
방식만
가능하며
낙엽이나
동물에
의한
오
경보와
공백구간이
생기는
단점이
있지만
가격
및
설치면에서
경제적인
방법이다.
2) 감지
방식
.
적외선
감지기
발신부와
수신부
간의
적외선
차단
시
3) 시스템의
장점
.
저렴한
설치
비용
.
설치
공사의
단순화
4) 시스템의
단점
.
낙엽, 새, 동물
등에
의한
오작동
.
안개, 악천후
등
일기불순으로
인한
오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