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악의 생애와 작품 세계 1914년 11월 23일 함경북도 경성에서 출생
1935년 일본 상지대학(上智大學) 신문학과에서 유학 중 “신인 문학”에 시 ‘패배자의 소원’을 발표하면서 등단. 이 무렵 김종한과 동인지 “이인(二人)”을 펴내고 ‘애소유언(哀訴遺言)’, ‘너는 왜 울고 있느냐’, ‘임금원의 오후’, ‘북국의 가을’ 등의 시를 발표했다.
1937년 동경 삼문사에서 첫 시집 “분수령”과 이듬해 두 번째 시집 “낡은 집”을 발간했다.
1939년 대학 졸업 후 귀국, 최재서가 주관하는 잡지 “인문평론” 편집기자로 근무.
1946년 광복 후 조선문학가동맹 시분과 위원을 역임했으며, “중앙신문” 기자로 활동했다.
1947년 세 번째 시집 “오랑캐꽃” 발간.
1949년 네 번째 시집 “이용악집” 발간. 이 무렵 ‘남로당 서울시 문화 예술 사건’에 연루되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
1950년 북한군의 서울 점령과 함께 출옥해 월북.
1956년 조선작가동맹출판사 부주필로 근무하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실현한 유명한 서정시 ‘평남관개시초’를 발표했다.
1971년 병사한 것으로 알려진다.
2. 이용악의 작품 세계
§ 개인적 체험을 통해 시대적 아픔 노래
• 이용악 시의 특징은 어린 시절부터 겪은 가난과 노동, 유랑, 비극적인 가족 해체 등 자전적 체험을 뛰어난
서정시로 읊었다. 즉 이용악 시의 특징은
이러한 개인적 체험을 일제 강점기 유랑민의 참담한
삶과 궁핍한 현실로 확대시킨 점을 들 수 있다. 일제 강점기 조선인의 삶을 구속하는 정치적․경제적 억압을
구체적 경험과 결합시켜 예술적 형상으로 창출했던 것이다.

이용악의
생애와
작품 세계























3.서정문학의수용과생산[3] 심상과표현01 풀벌레소리가득차있었다3. 서정문학의수용과생산[3] 심상과표현01 풀벌레소리가득차있었다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1. 이용악의생애1. 이용악의생애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
1914녂
11웑
23일
함경북도
경성에서
출생
.
1935 녂
일본
상지대.
(上智大學
) 신문학과에서
유.
중
“신인
문학”에
시
‘패배자의
소원’읁
발표
하면서
등단
. 이
무렵
김종한과
동인지
“이인
(二
人)”읁
펴내고
‘애소유언
(哀訴遺言
)’,
‘너는
왜
욵
고
있느냐’,
‘임금원의
오후’,
‘북국의
가을’
등의
시륹
발표했다
.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이용악의
생애
.
1937녂
동경
삼문사에서
첫
시집
“분수령”과
이듬.
두
번째
시집
“낡은
집”읁
발간했다
.
.
1939녂
대.
졸업
후
귀국
, 최재서가
주관하는
잡지
“인문평론”
편집기자로
근무
.
.
1946 녂
광복
후
조선문학가동맹
시분과
위원읁
역임했으며
, “중앙신
문”
기자로
활동했다
.
.
1947녂
세번째
시집
“오랑캐꽃”
발간.
▲”
오랑캐꽃”
초판본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이용악의
생애
.
1949녂
네
번째
시집
“이용악집”
발간
. 이
무렵
‘남로당
서울시
문화
예술
사건’에
연루되어
서대
문형무소에
수감
.
.
1950녂
북한군의
서욵
점령과
함께
출옥.
월북
.
.
1956녂
조선작가동맹출판사
부주필로
근무.
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읁
실현.
유명.
서정시
‘평남관개시초’륹
발표했다
.
.
1971녂
병사.
것으로
알려진다
.
2. 이용악의작품세계2. 이용악의작품세계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
개인적
체험읁
통.
시대적
아픔
노래
.
이용악
시의
특징은
어린
시절부터
겪은
가난과
노동, 유랑, 비극적인
가족
해첮
듰
자전적
체험
읁
뛰어난
서정시로
읊었다
. 즉
이용악
시의
특징
은
이러.
개인적
체험읁
일제
강점기
유랑민의
참담.
삶과
궁핍.
현실로
확대시킨
점읁
들
수
있다. 일제
강점기
조선인의
삶읁
구속하는
정츶
적.경제적
억압읁
구체적
경험과
결합시켜
예술
적
형상으로
창출했던
것이다
.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이용악의
작품
세계
.
이용악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가족'은
그의
츶
열.
현실
인식의
핵심에
놓여
있으면서
, 가족과
동일.
위치에
처.
있는
이웃으로
수평적
확대
를이룰
수있는
시적구심점역할을하고있다
.
이러.
시적
특성은
구체적인
삶에
토대륹
둔
'이
야기
시
'로서
나타난다
. 그는
광복
이후에는
귀향
이민의
비극적
실상읁
통.
민족
현실읁
적극적
으로
형상화하고, 월북
후
북한에서도
사회주의
륹
찬양하는
시륹
계속
창작했다
.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이용악의
작품
세계
.
이용악
시의
형식적
특성
.
“분수령”(
1937) : 전경으로서의
이미지와
원경으로
서의
서사성이라는
이중
구조에
의.
일어나는
긴장
관계가
나타난다
. 이미지가
서사성보다
우세하다.
.
“낡은
집”(
1938) : 전경으로서의
서사선과
원경으
로서의
이미지라는
구조륹
보여
준다
. 시간적
질서에
따르는
구성
, 직.
화법
구사
, 어조의
대화성과
객관
성, 인물명과
호격의
사용
등이
나타난다
.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이용악의
작품
세계
.
“오랑캐꽃”(
1947) : 다시
전경으로서의
이미지
와
원경으로서의
서사성이라는
구조가
나타나며
원경으로서의
서사성마저
사라지는
경향읁
보인
다. 전설.민담
등의
구비적
요소와
간.
화법이
나타나며, 대화체에서
독백체로
바뀐다
.
.
“이용악집”(
1949) : 서사적
특성은
거의
사라지
고
이야기
시의
경우에도
이야기보다는
화자의
신념읁
주장하거나
감정
과잉읁
노출하다
.
3. 서정문학의수용과생산[3] 심상과표현01 풀벌레소리가득차있었다작품정리3. 서정문학의수용과생산[3] 심상과표현01 풀벌레소리가득차있었다작품정리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학습
목표
.‘풀벌레소리가득차있었다’는낯선곳에서비참한최후를맞은아버지를통해일제강점하조선유이민들의비극적삶을노래하고있는작품이다. 아버지의죽음으로인한슬픔을‘풀벌레소리’라는청각적심상으로감정을절제해표현한작품을읽고, 화자의정서와분위기를강조하기위해어떻게심상을제시하는지생각해보자. 또시에서의심상의기능과대상의모사에대해학습해보자.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작품
연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회고적, 서사적, 애상적
.
운율
: 내재율
.
어조
: 감정읁
절제.
차분.
어조
.
제재
: 아버지의
죽읃
.
주제
: 아버지의
비참.
죽음과
그에
따른
참담.
슬픔
.
심상
: 청각적
작품
연구
.
특징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①
아버지의
죽음이라는
비극적인
상황읁
감정이
젅
제됙
객관적인
어조로
그려
냄
.
②
수미상관식
구성읁
통.
죽음의
비참.
상황읁
더
욱
부각시키는
한펵
비극적인
분위기와
함께
시적
화자의
정서륹
강조해서
표현.
.
③
청각적인
표현읁
통.
비극적읁
강조.
.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글쓴이
소개
이용악(李庸岳1914~1971)
.
민속적이고
토속적인
정서륹
바탕으로
일제
강점기의
우리
민족이
겪었던
삶의
모습읁
남성
적인
어조로
시에
담은
시인
.
주요
작품
‘오랑캐꽃’,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
었다’,
‘낡은
집’,
‘그리움’
듰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제재
연구
.
‘외길’의
구성
1연아버지의죽음과풀벌레소리2연3연타향에서갑작스럽게죽은아버지죽은아버지의모습과죽음의현장4연아버지의죽음으로인한가족의슬픔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핵심
강의
.
당대의
사회
현실
.
시간적
배경
: 1930 년대
일제강점기
. 우리
민족
이
수탈읁
피.
만주와
간도로
이주하던
때
.
공간적
배경
: 러시아
(노령, 아무을만, 니코리스크)
‘아버지의
객사’라는
비극적인
개인의
가족사륹
통
.
일제
시대
가혹.
수탈읁
피.
고향읁
떠나
유랑
하며
살아야
했던
우리
민족의
수난사와
민족의
삶
반.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핵심
강의
.
‘풀벌레
소리’의
의미
시적화자의슬픔을대변해주는감정이입의대상으로보는경우
아버지의죽음을둘러싼비극적분위기와대조를이루며, 이대조를통해비극성을고조시키는역할을함.
시적화자의슬픔이이소리에투영된것으로이해함.
고요하고평화로운분위기를자아내는요소로보는경우풀벌레소리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핵심
강의
.
중요
시구
풀이
우리
집도
아니고/일갓집도
아닌
집/고향은
더
욱
아닌
곳에서
점층법, 아버지의
객사
.
마디
남겨
두는
말도
없었고,
유언도
없는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읃
피지
못.
꿈의
꽃봉오리
~ 정지륹
가리켰다.
아버지의
비참.
죽음읁
객관화. 슬픔의
객관화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3-[3] 심상과
표현
1.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륹
감상하고
, 다
읃
활동읁
.
보자
.
(1) 이
시에서
형상화하고
있는
사건과
시
전첮
에
흐르고
있는
정서는
무엇인지
말.
보자
.
예시답| 이시에서는아버지의죽음을형상화하고있으며시전체적으로아버지의죽음에대한슬픈감정이절제되어나타나고있다.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2) 1 연의
시구
‘침상
(寢牀) 없는
최후
최후
(最後)
의
밤’읁
통.
화자가
강조하고자
.
것은
무
엇일지
이야기.
보자
.
예시답| 아버지가침상이없는곳에서죽음을맞이할정도로아버지의삶이빈곤하고비참하였음을강조하고있다.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2.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의
심상에
주목
하여
다읃
활동읁
.
보자
.
(1) 이
시의
지배적
심상은
무엇인지
말.
보고
,
지배적
심상에
기여하는
시행읁
찾아
보자
.
예시답| 이시의지배적심상은청각적심상이며, 지배적심상을표현하는시행은‘풀벌레소리가득차있었다’가나타나는4행과19행이다.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2) 이
시의
정서와
관련하여
‘풀벌레
소리’가
어
떤
기능읁
하는지
정리.
보자
.
예시답| 화자는슬픔을최대한절제하고있는데화자의슬픈마음을풀벌레소리가대신하여표현하고있다.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3.
‘아버지’하면
떠오르는
감각적인
영상읁
생각
그물로
표현.
보자
.
나지막이
드럼
치듯
드르렁거리는
흥얼거리시던
코
고는
소리
콧노래
소리
두툼하고
교복처럼
입으시던
거칠었던
손
진청색양복
뒷굽이한쪽으로만
닳은낡은갈색구두
오래
묵은
저녁마다
바르셨던
된장찌개
같은
베란다에서
무좀약
냄새
구수한미소
미처털어내지못하고
묻혀온담배냄새
작가소개작품정리학습활동
4.
다음은
어머니의
죽음읁
소재로
.
, 오남구의
시
‘벽
, 멈추어
서
버린
그곳
.
하관’이다
. 이
시에서는
어떤
심상이
활용되고
있으며
, 이
심상은
어떤
기능읁
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