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간호 - 가족의 개념, 기능, 유형
제6장 가족간호
<학습목표>
• 가족의 개념, 기능, 유형을 적용한다.
• 가족생애단계의 단계별 특성, 과업을 적용한다.
• 가족간호관련 이론을 적용한다.
• 가족간호과정을 적용한다.
가족의 개념
• 가족은 개인과 사회에 중간에 위치, 사회에 대해서는 사회집단 형성을 위한 하나의 기본적인 사회단위로 작용. 개인에 대해서는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차적 집단체계
• 가족의 정의
• 공동의 거주, 경제적 협력, 그리고 생식의 특성을 잦는 사회집단으로서 성관계를 허용 받은 최소한 2명의 성인 남녀와 그들에게서 출생하였거나 양자로 된 자녀로서 이루어짐(머독, 1949)
• 어린이를 돌보는 사람들, 국가의 법률과 관행 하에 가족으로 간주되는 한 집단의 사람들 (UN)
• 2명 이상 동거하고 있는 사람들이 혈연 결혼 또는 입양의 관계를 가진 경우 (미국 센서스)
• 혼인, 혈연, 입양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의 기본단위 (우리나라 건강가정기본법)
한 개인이 경험가능한 가족 유형들
가족의 일반적 특성
• 사회학자 콩트(Auguste Comte)는 가족을 사회의 중요한 단위집단으로 봄
• 학자마다 다양하지만, 가족의 일반적 특성은
• 성과 혈연의 공동체
• 남성과 여성으로 구성, 자녀 출산으로 혈연관계 이루며, 공동생활을 영위. 가족은 원초적, 보편적 사회의 기초집단
• 거주 공동체
• ‘집’이라는 특정 장소에서 공동 취사, 동거
• 가계 공동체
• 공동 생산, 소비
• 애정 공동체
• 남녀 사랑으로 결혼관계로 맺어진 집단
• 서로 사랑하는 비타산적, 애정적인 결합관계 형성
• 운명 공동체
• 서로 책임감을 갖고, 상호협조, 자기희생
가족의 집단적 특성
• 가족이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집단적 특성
• 일차집단 (primary group)
• 쿨리(C.H.Cooley)에 의해 명명
• 가족구성원 상호간 친밀한 관계 형성하여 인성, 태도가 형성되는 기본 역할 수행
• 대면적 결합관계, ‘우리의 감정(we-feeling)’이 발생, 강한 일체감 유지
• 공동사회집단 (게마인샤프트, Gemeinschaft)
• 퇴니스가 사용한 개념. 공동사회, 희생사회라 함
• 가족구성원 상호간에 애정, 이해로 결합, 외부적 어떤 장애나 분리에도 결코 분열되지 않는 본질적인 결합관계
• 반대개념, 이익사회집단(게젤샤프트 Gesellschaft) : 어떠한 결합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집단
• 폐쇄집단(Closed group)
• 성원이 되기 위한 자격의 획득, 포기가 용이하지 않은 집단
• 양면성 집단
• 형식적•비형식적, 제도적•비제도적 측면을 모두 가진 양면적 속성을 가진 집단
가족의 기능
• 가족의 기능 : 가족이 수행하는 역할과 가족 행동
• 애정 및 성기능
• 애정을 기초로 성기능이 이루어짐
• 성기능은 가족 내적으로 부부의 성적 욕구를 충족, 가족 외적으로 성적 무질서를 방지, 통제
• 생식기능
• 부부간 성생활로 자녀 출산, 자녀 출산으로 사회 유지, 존속
• 가족 고유의 기능으로 내적으로 가문의 전통 잇고, 외적으로 종족 유지
• 경제기능
• 생산기능, 소비기능으로 나뉨. 가족은 경제단위의 기본
• 과거 전통가족의 경제활동은 가족 스스로 생산하여 생산기능에 역점, 현재 가족은 소비기능 확대
• 자녀 양육과 사회화 기능
• 부부는 자녀 출산, 양육하는 과정을 통해 자녀의 신체적 성장, 발달, 가치관, 태도 등 형성되어 세대간 문화 계승
• 현재사회는 자녀의 교육기능이 가족에서 사회집단으로 상당부분 이전
• 정서적 안정 및 휴식 제공 기능
• 가족구성원들에게 정서적 안정, 휴식 제공하고 사회적 스트레스, 긴장감 해소, 안식처 기능
• 애정적 결속이 높아지고 소속감을 갖고 신뢰감 구축
가족의 유형
• 대가족(large family) : 소가족(small family)
• 핵가족(nuclear family) : 확대가족(extended family)
• 핵가족
• 부부와 결혼하지 않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구조
• 2세대로 한정, 현대산업사회의 가장 보편적 가족구조
• 방위가족(family of origin) : 자기가 태어나고 자라온 가족
• 생식가족(family of procreation) : 성장 후 결혼과 더불어 새로 형성된 가족
• 변형된 가족
• 2인 핵가족(nuclear dyad) : 부부로만 구성된 가족구조, 자녀를 출산하지 않았거나 자녀가 성장하여 부모를 떠난 경우
• 한부모가족(single-parent family) : 별거, 이혼, 사별 등으로 부모 중 한사람과 자녀들이 동거하는 형태
• 복합가족(step family) : 부부와 자녀로 구성되나 재혼한 부부와 그들의 자녀, 전남편과 전처의 자녀들이 함께 구성된 가족
가족의 유형
• 확대가족(extended family)
• 결혼한 자녀가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
• 전통적인 농업사회의 구조
• 기본적인 핵가족에 조부모와 사촌, 고모, 삼촌 등 포함
• 직계가족(stem family)
• 핵가족이 종적으로 연결된 가족구조, 보통 장남 가족이 부모와 동거하는 가족 형태
• 방계가족(joint family)
• 핵가족이 횡적으로 확대된 것, 둘 이상의 결혼한 아들 가족이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 대표 국가 중국, 인도 등
가족 생애 단계(WHO, 1976)
• 핵가족의 생활주기 모형을 결혼, 첫자녀 및 막내 자녀 출산, 자녀의 결혼, 배우자 사망 등 인구학적 사건에 따라 6단계로 구분
우리나라 가족생애단계
가족간호 정의 및 목적
• 정의
• 가족간호는 현재, 잠재적 건강문제를 가진 가족에 대한 반응으로서 건강한 사람과 아픈 사람에 대한 간호(Wright & Leahey, 1994)
• 가족간호란 간호 실무 영역 내에서 가족의 건강요구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Hanson, 2001)
• 목적
• 가족의 건강에 초점을 둠. 가족들로 하여금 그들의 건강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건강한 가족을 형성
• 건강증진적 접근과 현대의 건강문제들에 대한 포괄적, 지속적, 통합적 건강관리를 통해 가족의 자기건강관리능력 향상
• 대상 : 가족
가족간호의 중요성
• 과거 급성 감염성질환의 만연에서 만성퇴행성질환의 증가로 질병양상이 변화. 질병양상의 변화로 장기간에 걸쳐 가정간호 요구. 이는 가족의 간호 부담 증가시키고 가족 구성원의 역할구조가 변화, 가족의 삶의 질 저하시키는 주요 문제
• 가족의 생활양식은 가족구성원의 건강, 습관, 가치, 태도에 영향을 주어 집단적 질병발생의 원인
• 가족의 건강문제 결정권은 개인이 아닌 가족이 관여, 결정
• 국민건강증진이 국가정책으로 채택되면서 가족단위의 접근이 개인의 건강행위에 효율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이식 증가
가족간호의 접근방식(Hanson, 2001)
• 배경으로서의 가족
• 가족간호의 목표는 개인에게 초점을 두며, 개인이 중요하며, 가족은 배경이 되는 접근법
• 개인이 먼저이고 가족은 그 다음이 됨
• 주로 질병을 앓고 있는 개인을 주 간호대상으로 하여 가족은 배경이 됨
• 대상자로서의 가족
• 가족 구성원이 간호의 대상이 되며, 가족이 중요하며 개인이 배경이 되는 접근법
• 체계로서의 가족
• 상호작용하는 가족에 초점을 두는 접근법
• 가족간의 상호작용은 간호중재의 목표가 됨 (예, 부모와 자녀간 상호작용이 간호중재의 초점)
• 사회 구성요소로서의 가족
• 가족을 건강, 교육, 종교, 경제가 관련된 사회의 여러 조직 중 하나로 봄
• 가족은 큰 사회체계의 하부체계로서 부분이 되며, 사회의 기본적 또는 일차적 단위가 됨
• 지역사회간호사는 가족과 지역사회기관들과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둠
가족간호사의 역할
건강가족의 정의
• 적절하게 기능을 발휘하는 가족, 건강(health) + 가족(family)
• 건강을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상태
• 가족구성원이 신체적 불편감, 무력감 없이 적절하게 무엇인가 할 수 있는 신체적 안녕
• 가족구성원들의 생활이 행복하고 희망적이며 정열적인 감정을 갖는 정신적 안녕 의미 포함
• 가족건강이란 한 가족 내의 이환과 유병 상태를 말하며 가족의 안녕과 건강증진의 일차적인 대리인으로서 가족의 상대적인 기능 정도(WHO, 1973)
건강가족의 중요성과 특성
• 더 많이 건강하지 못한 가족에서는 가정폭력, 만성불안, 스트레스, 그릇된 가족의식, 가치관이 전수되어 한 개인이 바람직한 사회인으로 육성되지 못함
• 건강한 가족이 되기 위한 역할의 주 책임자는 부모와 성인 모두, 실질적으로 어머니의 역할이 큼
• 가족간호사는 건강한 가족을 위한 안내자 역할 수행
• 건강가족의 특성 15가지(커랜 Curran, 1983)
• 의사소통이 잘되고 상대방의 말을 잘 들어줌
• 서로 긍정적, 협조적
• 타인 존경심
• 서로 신뢰
• 놀이와 유머 감각
• 공동적인 책임의식
•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 가르침
• 의식과 전통 존중 가족 관념
• 구성원들간 균형 잡힌 상호작용
• 공통적인 종교
• 서로의 개인생활 존중
• 타인 봉사 귀하게 여김
• 가족과 같이 식사, 이야기하는 시간 가짐
• 여가시간을 같이 즐김
• 문제가 생기면 이웃과 서로 도와주고 도움 받음
체계이론 System Theory
• 가족체계이론은 1950년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캐나다 생물학자 버틀란피(Von Bertalanffy)에 의해 개발된 일반체계이론에서 도출
• 체계(System) : 서로 의존작용을 하는 부분(단위)들이 통일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는 실체
• 하나의 체계 속의 각 부분들은 외부환경과의 경계 안에서 존재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연결됨
• 대부분 체계는 그보다 작은 하위체계(sub-system)를 가지며, 그 보다 큰 전체체계(total-system)의 한 부분(하위체계)으로 존재하며 상호관계를 가짐
• 체계이론은 어떤 체계가 가지고 있는 투입, 산출의 계속적인 과정을 설명해주는 이론이며, 산출은 투입에 의해 결정되고, 투입은 산출에 의해 영향을 받음
• 전체성 :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의 것. 단순한 부분의 합이 아닌 성질의 속성을 가짐
• 상위체계, 하위체계 : 체계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간에 계층을 이루고 체계의 배열을 의미
• 상위체계 : 체계가 속한 상부계층을 말하며, 가족체계의 경우 지역사회, 혹은 사회 등
• 하위체계 : 체계의 구성부분 또는 요소. 가족체계의 경우 배우자체계, 부모-자녀체계, 형제-자매체계 등
• 경계 : 체계의 구성요인들을 명명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체계들간의 영역을 결정하여 체계를 규정짓고, 체계와 다른 체계간, 체계의 하위체계와 상위체계 간 공유 영역이나 접촉 지점
• 개방성, 폐쇄성 : 가족과 지역사회체계는 개방체계로 간주
• 개방체계 : 외부체계, 내부체계내의 다른 구성요소 상호간에 물질, 정보를 교환하는 체계
• 폐쇄체계 : 외부와 상호 교환하지 않는 체계
• 상호의존성 : 한 부분이 받은 영향이 다른 부분 및 전체 체계에 영향을 주는 것
• 항상성 : 체계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
• 체계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련의 상호작용 패턴을 형성, 규칙을 가짐
• 산출물은 외적 피드백을 거쳐 체계 내에 재투입되는 과정을 거쳐 체계가 균형을 이루며 존재
• 피드백 : 하나의 폐쇄체계의 한 지점에서부터 다양한 경로와 내외부의 소통을 거쳐 정보가 다시 출발 지점으로 돌아오는 것
• 통제기전 : 환경에 대한 개방성, 내부 부분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과 내부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체계의 안정성을 찾고자 하는 조절과정
• 등결과성 : 체계가 상이한 경로를 통해 동일한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
가족의 체계론적 접근
• 가족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이나 가족 내 하부체계와의 관계를 접근할 때 가족체계의 안정과 변화를 통한 성장에 초점을 둠
• 나아가 외부환경체계와의 교류에 의한 균형에 초점을 둠
상징적 상호작용론
Symbolic Interactionism
• 미국 시카고학파(1920~1935년)에서 발생
• 사회는 사람들의 주관적인 의미 규정과 해석을 주고받는 과정, 이를 통해 사회구조가 유지, 변동됨
• 주요 관심사
• 1. 인간은 복잡한 상징조작의 동물
• 2. 보편적, 고정적, 절대적이지 않음. 시간, 공간과 생의 경험을 통해 계속 변화
• 3. 상호작용 강조
상징적 상호작용론
Symbolic Interactionism
• 1937년 블루머(Herbert Blumer)에 의해 처음 사용
• 가족분석 개념틀로 가장 많이 이용
• 상징적 상호작용론에서 상호작용 과정에서 행위자들은 의미있는 상징을 사용, 그들의 신체적, 사회적 환경과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상징을 통해 의미를 유출
• 미드(Mead)는 인간이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관련된 타인들과 상징적으로 의미를 교환하며 타인은 그 상징을 해석하면서 자신의 해석에 기초해서 스스로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함
• 가족의 상호작용은 외부 관찰만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가족구성원이 그 상황을 지각하는 방식으로 이해
상징적 상호작용론 7가지 가정
• 인간이 그들이 부여하는 사물의 의미를 근거로 행동함
• 의미는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인간 행동의 이해는 그 행위의 동기, 의미를 통해 파악
• 의미는 개인이 사물을 다루면서 사용하는 해석적 과정을 통해 조정, 수정됨
• 개인들은 자아개념을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
• 일단 발달된 자아개념은 행동에 중요한 동기를 부여. 이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핵심적 전제로서 자아감과 긍정적 자기평가 뿐 아니라 자기 가치와 자기신념이 행동에 영향을 미침
• 개인과 소집단은 그보다 큰 문화적, 사회적 과정의 영향을 받음
• 개인들은 일상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구조의 미세한 부분들을 이루어감
주요 개념
• 정체성
• 역할에 대한 자기 의미 또는 자신의 가치 부여
• 변하는 않는 존재의 본질적 성질, 그 성질을 가진 독립된 존재
• 역할
• 어떤 사회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사람에게 공유된 규범으로 항상 관계 속에서 규정됨
• 가족 구성원들은 가족 내에서 각자 맡은 역할이 있으며 그 역할에 대한 예측과 기대를 가짐
• 상호작용
• 개인은 상호작용을 통해 널리 공유되는 상징을 습득, 자신과 타인, 상황이 지니는 특별한 의미들을 능동적으로 만듦
가족발달이론 : Duvall(1977)의 가족생애단계와 과업
구조기능주의이론
structural-functional theory
• 조직은 시스템(체계)이고 보다 큰 사회시스템에 대하여 하나의 기능을 다하면서 동시에 그 시스템으로서의 욕구에 대하여 기능을 다하는 각 하부시스템으로 구성됨
• 시스템(체계)를 중요한 분석단위로 삼음
• 체계 system : 상호작용하는 역할의 집합체
• 구조 structure : 상호작용에서 행동의 양식화, 즉 상호작용 속에서 행동이 패턴화되는 것
• 기능 function : 상호작용 속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 현상. 서로 다른 구조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고 한 구조가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 모든 system 안에서 function이 진행되고 있음
구조기능주의이론
structural-functional theory
• 구조기능주의이론은 사회학의 지배적인 이론
• 파슨스는 구조기능론적 개념을 이용, 가족현상 설명
• 가족은 미혼 자녀의 사회화와 가족구성원의 인격안정을 위해 필수적인 사회의 하위체계로 봄
• 가족은 지역사회 보다 큰 사회 안에 존재하는 하나의 사회체계로 보며 하부체계인 가족구성원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다른 체계인 지역사회 상위체계와 서로 상호작용함
• 가족구성원간의 다양한 내적 관계, 가족의 더 큰 사회와의 관계 강조
• 가족의 구조, 가족의 기능
• ‘가족내의 다양한 구조들이 어떻게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와 ‘가족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가족구조가 어떻게 조직되는가’에 관심
주요 개념
• 가족구조 : 가족의 구조적 형태, 가족 내 역할구조, 권력구조, 가치체계, 의사소통 양상, 상호작용 구조 등 중점
• 이러한 구조들의 연관성이 가족 전체의 기능을 적절하게 수행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따라 구조의 적합성 여부 판단
• 가족기능 : 가족구조에 따른 결과, 가족이 한 일에 대한 결과를 의미
• 예) 가족의 애정기능, 생식기능, 경제적 기능, 사회화 기능, 보호기능 등
• 가족 구조는 가족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조직되어 있는지에 관심
가족간호과정 : 가족간호사정 (가족 사정 도구)
• 가계도 : 가족 구조도
• 가족밀착도 : 가족 구성원간의 밀착관계, 상호관계 도식화
• 가족연대기 : 가족의 중요한 사건을 순서대로 나열, 질환과의 관련성 추구
• 외부체계도 : 외부체계와 가족구성원과의 관계
• 사회지지도 : 가족내 취약한 구성원을 중심으로 부모, 형제자매 지지 정도 파악, 친척, 친구, 이웃, 직장동료, 지역사회기관의 지지, 상호작용 등 파악
• 생활사건 척도 : 홈즈 & 라헤(1967) 개발
• 특별한 생활사건이 발생하면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나름 노력하고 누적된 생활사건들에 대한 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 질병의 중요한 요인이 됨
• 경험사건 점수가 1년간 150이면 질병에 감수성 가장 낮음. 150~300이상이면 다음해 50% 질병 앓음
• 가족기능 사정도구 : 가족의 기능 측정 도구
가족간호 계획
• 우선순위 설정
• 가족문제 중요성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 : 문제의 특성, 문제의 해결능력, 예방가능성, 문제인식의 차등성
• 가족의 자가관리능력을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
• 문제의 인식정도, 문제 대응을 위한 지식 및 기술 정도, 지지자원의 보유 및 활용정도, 생활수준(지불능력), 고위험 수준(발현 또는 잠재된 문제의 심각성 정도) 1~4점 부여하여 총점이 7점 이하 집중관리군, 8~11점 정기적관리군, 12~15점 감시/추후관리군, 16점이상 자가관리군
• 목표 설정
• 가족이 해결해야 할 문제와 관련
• 실현가능성
• 관찰 가능성
• 측정 가능
취약가족
• 취약가족 정의
• 가족들이 평상시 사용하던 문제해결 전략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함으로써 가족의 기능적, 구조적 장애가 초래된 가족
• 만성질환자 가족
• 만성질환 속성
• 본질적으로 장기적
• 다양한 측면에서 불확실(예후, 질병과정 등 불확실)
• 완화를 위해 많은 노력
• 복합적 질환
• 삶의 불균형 초래
• 다양한 보조적 서비스 요구
• 고가의 비용 필요
만성질환 가족의 과제(슈트라우스, 8가지)
• 의학적 위기의 예방과 위기 발생시 치료해야 함
• 증상 조절해야 함
• 처방된 치료 수행, 치료로 동반 건강문제 해결
• 사회적 격리 예방, 익숙해져야 함
• 악화, 회복되는 질병과정에 적응
• 타인과의 상호관계, 생활양식을 정상적으로 유지
• 치료 대비, 부분적 혹은 완전한 실직상태에서도 가정생활 유지되도록 재정 확보
• 가족간 심리적 문제와 결혼문제 직면해야 함
만성질환자 가족간호 전략
• 조직-가족 연결체계 형성
• 지역사회간호사는 만성질환자, 가족을 간호대상으로 포함
• 만성질환자들이 질병상태에서도 가능한 최적의 삶을 유지하도록 자신의 신체를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하게 격려, 지지
• 만성질환은 지속적으로 병원에 입원이 아닌 질병경과에 따라 입원, 퇴원 반복 수행
• 만성질환은 증상을 끊임없이 조절, 관리해야 함으로 증상 조절을 위해 생활양식의 재구성 도움
• 식이관리 지지
• 시간관리 도움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excellents aliments pour se débarrasser de la graisse du ventre épaisse (0) | 2020.04.10 |
---|---|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UTP Cable (0) | 2020.03.24 |
重度の不安から抜け出す方法5つ (0) | 2020.02.02 |
경영학에서 품질의 비용을 알아보아라. (0) | 2020.01.27 |
기업의 인력 관리의 철학 및 관점의 중요성 (0) | 2020.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