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8C74E55596E520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3CB4E55596E542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6354E55596E57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5BD24E55596E58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E354E55596E5A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AD84E55596E5B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22594E55596E5E3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1814E55596E5F1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1204E55596E61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3794E55596E64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DBD4E55596E66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4A24E55596E682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5844E55596E6C3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5B84E55596E6F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87A4755596E73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0614755596E75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B6C4755596E78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3644755596E7C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8004755596E80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4E54755596E832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D184755596E862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E394955596E8C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A7A4955596E93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3FA4955596E99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B514955596E9D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B8D4955596EA0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7624955596EA52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A024955596EA907)
Ⅷ. 주권수호운동의 전개 〉 2. 일제의 침략과 의병전쟁
2.군대해산 이후 의병 전쟁의 확산 과정은 ?
군대 해산 이후 의병 전쟁의
확산 과정은 ?
도입활동1 활동2 활동3 정리평가수업계획
전시학습
일제는러일전쟁에서승리한후우리나라에을사조약을강요하여외교권을박탈하고통감부를설치했다을사조약에반대하여상소운동, 언론운동, 의거활동,
의병운동을전개하면서국권수호를위해싸웠다고종은을사조약의부당성을알리고국제사회에일본침략의부당성을알리기위해헤이그에특사를파견하였다
학습
목표
헤이그특사파견결과를말할수있다군대해산이후의의병운동의내용을설명할수있다
활동
1 : 고종의
강제
퇴위
1. 고종의강제퇴위(1907)
가.고종의강제퇴위(1907)
(1) 헤이그특사를구실로고종황제강제퇴위(2) 순종황제의즉위(융희연호사용)
나.한일신협약( 정미7조약1907)
(1) 차관정치실시(2) 통감이내정완전장악
활동 2: 의병 전쟁의 확산
1. 의병 전쟁의 확산
가.군대 해산 (1907 년 8월) : 재정 곤란 구실로 강제
해산
나.시위대 제 1대대장 박승환 자결 → 시위대의 대
일본군 항전 → 원주 , 진주, 강화 진위대도 항전
다.해산된 군대의 의병 합류 → 정미 의병으로 분출
→ 조직 , 무기, 전투력의 강화
※ 의병지도
형성평가
1.다음에서하나는나머지넷의원인이되었는데그하나는무엇인가?
①헤이그특사파견
②한일신협약체결
③군대해산
④고종퇴위
⑤차관정치
형성평가
2.군대해산에항의하여자결로서순국한군인은?
3.서울진공작전후의병의활동근거지는어디인가?
4. 무기와조직을갖추고가장치열하게의병전쟁이전개된시기는?
①을미사변후
②을사조약후
③군대해산후
④서울진공작전후
⑤국권강탈후
한일신협약
(정미7조약) 내용
제1조
한국정부는
시정
개선에
관하여
통감의
지도를
받을
것
.
제2조
한국
정부의
법령
제정
및
중요한
행정상의
처분은
미리
통감
의
승인을
거칠
것
.
제3조한국의
사법
사무는
보통
행정사무와
이를
구분할
것
제4조한국
고등
관리의
임명은
통감의
동의로써
이를
행할
것
.
제5조
한국정부는
통감이
추천하는
일본인을
관리에
용빙할
것
제6조
한국
정부는
통감의
동의
없이
외국인을
한국관리에
임명하
지말것
.
제7조
1904 년
8월
22일
조인한
한일
외국인
고문
용빙에
관한
협정
서제
1항은
폐지할
것
.
의병운동
내용
의병
시기
원인
대표
의병장
을미의병
1895 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단발령
유인석
이소응
등
을사의병
1905 년
을사조약(외교권박탈
)
민종식
최익현과
임병찬
신돌석
등
정미의병
1907 년
군대해산
13도
창의군
결성
(총대장:
이인영)
고종
퇴위를
강요하는
일본군
서울시내에서
무력
남산에
포대를
설치하고
시위를
하는
일본군
퇴위를
강요하는
일본
포병대
일본에
굴복하여
고종
퇴위
덕수궁
중화전에서
퇴위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
고종의
강제
퇴위
1907년
8월
27일
순종
즉위
, 고종
앞에서
고함을
치며
퇴위를
강요한
만고역적
축하
퍼레이드
(숭례문
부근
) 송병준
고종
퇴위
절대왕권의
상징인
경복궁
근정전의
옥좌
.
고종황제는
일본군과
역적
신하들의
강요에
지쳐
왕권
을
내
놓았다
군대
해산에
저항하여
자결한
박승환
“군인으로서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로
충성을
하지
못하니
만
번
죽어도
아까울
것이
없다”는
유서를
가슴에
품고
군대해산식이
있는
8월
1일
아침
서소문
안
시위대
제1대대장실에서
자결했다
군대
해산
전의
시위대
군인들
군대해산
전
광화문
육조
뒤
한국군
해산
전
훈련원에서
훈련원에서
사격
훈련
중인
훈련
중인
시위병
시위보병연대
병사들
군대
해산
전의
시위대
군인들
군대
해산
진위대와
일본군
해산
명령에
저항한
수원
진위대
군대
해산식이
있는
날
강화분견대
간부들
. 일본군은
서울을
철통
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이동휘
창령
같이
지키며
시가행진
(현재
소령
) 시위를
벌였다
군대
해산식이있던
날
주한
일본
사령관
직속부대에
서소문
안
시위대
제
1대대와
의해
강제
점령
당한
한국군
일본군의
시가전에서
포로가
시위
보병연대의
병영
된
시위대
병사들
의병장과
의병이
일어난
지역
의병의
서울진공작전
13도
창의군은
대한제국이
국권을
회복할
수
있는
중요한
돌파구였다
. 그러나
차별적
신분관에
사로잡힌
양반
의병장들은
홍범도
,신돌석
같은
의병장에게
중요보직을
주지
않았으며
결국은
총대장인
이인영
선생이
부친상을
당하자
“불효를
하면서
충의를
다할
수는
없다”라고
하며
총대장을
사임하고
3년상을
지내러
낙향해
버렸고
, 허위장군이
이끄는
의병도
동대문
밖에서
우세한
화력
을
앞세운
일군에게
패배함으로써
와해되는
파국을
맞이하게
되었던
것이다
.
의병
부대
여성의병
1895년의병장유홍석(유인석의사촌아우)이의병을일으켰을때그며느리
윤희순은
"안사람
의병가
(義兵歌
)", " 의병군가
(義兵軍歌
)", "병정가
(兵丁歌
)" 등
을
작사
·작곡하여
부르게
해서
의병운동을
고취하고
부녀들의
항일독립정신을
고취했으며, 친일파와
일본군에게
서신을
보내어
그들의
죄상을
꾸짖었다
.
1907∼1908년의
의병운동
때에는
강원도
춘천에서
여자의병
30여명을
조직하여
군자금을
모아서
의병운동을
지원하였다
.
1911 년
4월
만주로
망명하여
시아버지
유홍석과
남편
유제원의
독립운동을
돕다
가
1935년에
서거하였다
.
일본이의병
토벌을
위해
군대
출동
의병
처형
의병의
신표와
그들
가슴에서
나온
태극기
의병과
무기
체포된
평양
의병들
의병
투쟁
무명용사와
의병들의
각종
무기
호남
항일
투쟁
의병들이
수감된
광주감옥
군산
분감
일본의
남한
대
토벌작전에
끝까
지
항전하다
체포된
호남
의병장들
공주감옥에
잡혀온
충남의병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