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rsprung durch Technik

블로그 이미지

MSNU

다양한 가족형태의 부모역할

myPPT 2019. 10. 13. 14:13

































다양한 가족형태에서의 부모역할: 목차

 맞벌이가정의 부모역할


 이혼가정의 부모역할


 한부모가정의 부모역할


 재혼가정의 부모역할


 입양가정의 부모역할


맞벌이가정의 부모역할(4-1)

1. 맞벌이가정의 부모역할

1) 맞벌이가정

 ① 요인: 산업화, 여성의 고학력, 전문노동에 대한 사회의 요구, 남녀 성차별금지법의 제정, 여성운동 등 

 ② 맞벌이 가정이 갖는 보편성

  ㉠ 고도의 직업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가치관이 비슷

  ㉡ 애정, 통제에 유동적, 자기신뢰 경향이 큼

  ㉢ 자녀 갖기를 연기하는 경향이 있고 자녀 수가 적음

  ㉣ 맞벌이 가정의 부부는 학력이 높고 수입이 많음

  ㉤ 경제적, 직업적으로 안정되어 일에 대한 융통성

맞벌이가정의 부모역할(4-2)

2) 맞벌이가정의 문제

 ① 과중한 역할부담

 ② 직업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나 차별

 ③ 맞벌이 부부는 남편으로서, 아내로서의 자신의 정체감에 종종 회의를 가짐

 ④ 맞벌이 부부는 자녀를 갖기 전에 직장에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거나 자신의 능력을 계속 발휘하고자 하기 때문에 역할설정에서 종종 스트레스를 받음

 ⑤ 맞벌이 부부의 여성은 친척보다는 사회에서 친구와 더 교분을 갖게 됨

맞벌이가정의 부모역할(4-3)

3) 맞벌이 부모와 아동

 ① 취업모 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관심이 많이 주어진 분야 중의 하나가 인성발달임

  ㉠ 긍정적 측면: 성역할에 대해 보다 평등한 생각을 가짐, 부모의 성취에 자긍심, 독립심과 자주성 발달

  ㉡ 부정적 측면: 정서적 안정성, 사회성, 활동성↓ 

 ② 취업모의 직업에 대한 태도가 자녀의 학업성취에 중요한 예측변인이 됨

맞벌이가정의 부모역할(4-4)

4) 맞벌이가정의 부모역할

 ① 자녀양육태도

  ㉠ 자녀에 대한 안정된 애착관계의 형성과 지속

  ㉡ 자녀와의 질적인 상호작용의 유지

  ㉢  애정적이되 통제적인 양육태도의 유지

 ② 자녀에게 도움이 되는 보육방법 선택

  ㉠ 친정 혹은 시댁에 맡길 경우

  ㉡ 유치원이나 보육시설에 맡기는 경우

  ㉢ 가정 탁아모에게 맡길 경우

이혼가정의 부모역할(6-1)

2. 이혼가정의 부모역할

1) 이혼가정의 자녀특성

 ① 유아기(3-6세): 부모의 이혼이 자신 잘못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여겨 자신이 유기되거나 다른 곳으로 보내질까봐 두려워함

  ㉠ 이혼을 현실적으로 이해하지 못함

  ㉡ 성인과의 신체적 접촉을 많이 요구함

  ㉢ 일시적인 퇴행행동이 일어남

  ㉣ 죄책감, 초조감, 두려움으로 인한 또래관계 부적응 현상이 일어남

이혼가정의 부모역할(6-2)

 ② 아동기(7-12세): 부모의 이혼을 경험하는 아동은 매우 슬퍼하며 이러한 슬픔을 직접 표현하는 한편 같이 살고 있지 않는 부모에 대해 동성일 경우 더욱 그리움을 나타냄

  ㉠ 일시적으로 갈등 감정을 위장하기 위한 과장된 행동을 하기도 함

  ㉡ 부모의 재결합에 대한 강한 열망을 가짐

  ㉢ 이혼에 대해 현실적으로 이해하기 시작함

  ㉣ 자신들의 감정이나 강렬한 분노를 적절히 표현함


이혼가정의 부모역할(6-3)

 ③ 청년기: 부모의 이혼은 청소년의 정상적인 발달을 일시적으로 방해하지만, 부모의 이혼 1년 후 부모에 대한 갈등을 극복함

  ㉠ 개방적으로 이혼에 대한 분노를 표현함

  ㉡ 부모를 한 인간으로 인식, 부모 각자와의 관계를 새롭게 평가함

  ㉢ 훌륭한 결혼생활에 대한 가치나 개념을 재평가함


이혼가정의 부모역할(6-4)

2) 이혼가정의 부모역할

 ① 유아기

  ㉠ 자신의 걱정거리와 이혼하는 이유에 대한 생각을 말로 표현하게 함

  ㉡ 아동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 때문에 부모간의 불화가 생겨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시킴

  ㉢ 아동을 돌보는 사람은 항상 일관되고 애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여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켜야 함

이혼가정의 부모역할(6-5)

 ② 아동기

  ㉠ 자기의 일이나 역할을 스스로 선택하게 한 후, 그 역할을 익숙하게 수행하게 되는 경험을 맛보게 하여 보다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줌

  ㉡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함

  ㉢ 아동의 학업이 부모의 이혼으로 인해 방해 받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배려해줌

이혼가정의 부모역할(6-6)

 ③ 청소년기

  ㉠ 부모를 보다 사실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줌

  ㉡ 부모에 대한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줌

  ㉢ 가정형편의 어려움을 자녀와 함께 의논하여 헤쳐나갈 수 있도록 함

한부모가정의 부모역할(6-1)

3. 한부모가정의 부모역할

1) 편모가정

 ⑴ 편모가정

  ① 여성만이 부모로서의 역할을 하는 단일 부모가정

  ② 원인: 부부의 이혼, 별거, 남편의 사망, 사생아, 미혼모 등

  ③ 편모가정에 대한 연구 결과

   ㉠ 경제적 어려움

   ㉡ 역할부담: 경제적 역할, 자녀양육

   ㉢ 사회적 편견 경험

한부모가정의 부모역할(6-2)

 ⑵ 편모의 부모역할

  ① 부부의 별거나 이혼 후 처음 2년 동안에는 어머니와 자녀 간의 관계에 뚜렷한 문제가 발생함

  ② 편모가 훈육에 있어서 비효과적일 수 있음: 부정적, 지시적, 지배적, 적대적

  ③ 이혼모들은 일반적으로 자녀의 독립이나 비전통적 역할과 관련된 행동이나 태도에 대하여 보다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남

  ④ 일반적으로 이혼 후 2년 정도가 지나면 부모-자녀관계는 호전되며 부모의 역할도 안정되어 가정이 안정되고 효과적으로 기능하게 됨

한부모가정의 부모역할(6-3)

 ⑶ 부성실조의 영향

  ① 부자관계가 친밀하고 아버지가 아동과 함께 놀아 주고 이야기를 나누는 환경에서 자란 아동은 그렇지 못한 아동보다 지배성, 안정성, 사려성, 사회성 높음

  ② 부성실조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공격성, 죄의식, 범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남아의 성역할 형성에 영향을 미침: 사회생활에서 복종적이며 보다 의존적, Freud 발달단계(남근기)

   ㉢ 지적 발달에 영향을 미침: 수학과목의 부진, 공간 지각능력의 결손을 보임

한부모가정의 부모역할(6-4)

2) 편부가정

 ⑴ 편부가정

  ① 남성만이 부모로서의 역할을 하는 단일 부모가정 

  ② 원인: 사별, 이혼, 별거 등이 주원인

  ③ 편부가정이 겪는 어려움

   ㉠ 역할부담

   ㉡ 재정적 부담: 편모보다는 덜 받음

   ㉢ 이혼의 경우 초기에는 여성보다 심리적인 타격을 더 받음

   ㉣ 직장이나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종종 겪음

한부모가정의 부모역할(6-5)

 ⑵ 편부의 부모역할

  ① 편부는 아이들이 울거나 자녀를 통제할 수 없을 때 자녀의 감정을 바르게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해 친구나 다른 가족 또는 전문가에게 도움을 구하게 됨

  ② 편부가정의 아버지는 전통적인 아버지역할에 변화를 보임

   ㉠ 덜 훈육지향적, 보호적, 자녀교육에 관심 

   ㉡ 여아의 사회화 문제와 생리적인 성 발달과 관련해 어려움을 가짐

한부모가정의 부모역할(6-6)

 ⑶ 모성실조의 영향

  ① Bowlby의 연구: 모성실조의 경험이 애정결핍을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청소년범죄 유발 가능성↑ 

  ② 모성실조는 아동의 지적 발달에 영향을 미침: 언어능력, 문제해결과제, 추상적 개념화↓ 

  ③ 모성실조는 사회성 발달에도 영향을 미침

  ④ 모성실조의 영향은 그 시기, 모자관계의 질, 대리모의 유무, 실조 기간 등에 따라 다름: 모자관계 형성이 생후 6개월 전후이므로 그 이전에 어머니와의 격리가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음 

재혼가정의 부모역할(3-1)

4. 재혼가정의 부모역할

1) 재혼가정

 ① 파퍼노의 재혼가정의 형성단계

  - 단계1: 환상         

  - 단계2: 새로운 성인과 동화

  - 단계3: 인식의 획득 

  - 단계4: 차이의 고백

  - 단계5: 변화와 적응 

  - 단계6: 의붓 부모와 자녀 간의 친밀감 형성

재혼가정의 부모역할(3-2)

2) 계모의 역할

 ① 계부의 역할보다 더 많은 문제가 있음

 ② 자녀양육의 문제

 ③ 계모와 의붓 딸의 관계는 모든 재혼가정연구에서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④ 취학 전 아동의 경우 계모와의 관계에 문제가 가장 적음

 ⑤ 나이 든 의붓 자녀를 갖는 계모는 어린 의붓 자녀를 갖는 계모보다 배우자와 더 의견충돌이 있고 결혼에 대하여 덜 만족함 

재혼가정의 부모역할(3-3)

3) 계부의 역할

 ① 친부보다 덜 권위적인 양육 유형을 보임

 ② 재정적 문제와 관련하여 어려움을 가짐

 ③ 계부로서의 만족은 여러 요인들과 관련됨

  ㉠ 친아버지가 있는 아동의 계부는 의붓 자녀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가짐

  ㉡ 계부와 의붓 자녀와의 긍정적 관계는 이들 간의 대화의 양에 따라 촉진됨

  ㉢ 생물학적 어머니가 자녀의 훈육에 의부인 자신의 관여를 바란다고 생각할 때 만족감을 얻음

입양가정의 부모역할(3-1)

5. 입양가정의 부모역할

1) 입양가정의 부모

 ① 부모역할 수행초기부터 새로운 부모기에 신속하게 적응해야 하는 스트레스를 겪을 수 있음

 ② 양부모들은 일반적으로 연령이 높고, 젊은 부모들에 비하여 안정된 직장과 경제력을 가지고 있으며, 결혼지속기간이 길고, 효과적인 대처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모역할 수행에 만족감을 느낌

 ③ 양부모는 자녀에게 입양 사실을 이야기해주기 전에 먼저 부모로서 자신의 감정을 이해해야 함

입양가정의 부모역할(3-2)

2) 입양가정의 자녀

- 입양에 대한 아동의 인식은 4단계로 구분

 ① 제1단계(6세 이전): 입양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고, 입양과 출산을 혼동하는 경향

 ② 제2단계(6-7세): 자녀를 갖는 방법으로 입양과 출산의 두 가지가 있으며, 입양이 되면 영원히 그 가족의 성원이 됨을 이해함

 ③ 제3단계(8-11세): 입양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친부모가 나타나 자신을 데려갈 것을 염려함

 ④ 제4단계(12세 무렵): 입양에 의하여 영원히 그 가족의 성원이 됨을 다시 믿게 되고, 입양이 합법적인 과정임을 이해하게 됨

입양가정의 부모역할(3-3)

3) 장애아의 입양

 ① 장애아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양육 지원이 거의 없는 사회 여건 탓으로 국내의 장애아 입양 실적은 극히 저조함

 ② 1996년에서야 시작된 정부의 장애아 입양 지원은 실제적인 지원효과와는 거리가 있음: 중, 고교 수업료와 입학금 지원, 장애아 입양 가정에 매달 50만원의 양육비와 연간 최고 120만원의 의료비 지원

 ③ 입양 시 양부모가 내야 하는 알선수수료(평균 200만원)를 지원해주는 계획도 세웠지만, 예산 심의과정에서 모두 삭감되는 형편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วิธีกำจัดกลิ่นปาก  (0) 2019.10.30
Numerical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미적분)  (0) 2019.10.23
Four ways to stop soda.  (0) 2019.10.05
물·모래 놀이의 교육적 효과  (0) 2019.09.22
Tự nhiên bị đau tim...Lý do bất ngờ  (0) 2019.09.12
Posted by MSNU






favicon

Vorsprung durch Technik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993)
    • myPPT (813)
    • 시리즈 (164)
      • 연소 (14)
      • 경제 (5)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