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인쇄술, 인공보장구의 한눈에 보는 역사
myPPT
2013. 3. 16. 00:17
안경(眼鏡) 의 어원
• 조세조말(朝世朝末)까지 애체 또는 왜납이라 불림
• 안경(眼鏡)이라는 말을 우리말로 표현 하면 눈거울
• 거울-렌즈-안경 순으로 변해 왔기 때문에 안경(眼鏡)을 눈에 다는 창문이라는 눈창이나 덧눈이라 부르지 않고 안경(眼鏡)이라 부름
안경의 기원
• 이탈리아 베니스의 유리공들에 의해 최초로 제작
• 1300년 경에 안경을 지칭하는 용어인 '로오디 다 오그리(Roidi da Ogli)'가 베니스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이 이를 뒷 받침
• 1289년 산드로 디 포포초가 자신의 원고에 “시력이 약해진 노인들을 위해 최근에 발명된 안경이라는 유리제품”이라 적은것이 안경에 관한 최초 기록
• 이탈리아의 플로렌스 지방 비문에는 '여기 플로렌스 에 살았던 안경 발명자 [Salvino d'Armato degli Armati] 여기 잠들다 . 신이여 그를 용서하소서‘라고 적혀있음.
• ‘동방견문록'은 마르코 폴로가 여행 도중 1271년부터 1295년까지 원의 관직을 맡았을 당시 그때 보고 들은 원나라의 관습과 생활상을 담은 책인데, 여기서 그는 원나라의 늙은 신하들은 거북의 등껍질로 만든 볼록 렌즈 안경을 끼고 있다라고 서술
안경의 발전 과정
13세기 안경의 발명.
1450년 독일의 '구텐베르크'에 의한 활자의 발명은 안경의 보급의 기폭제
1611년 독일 '케플러‘이 근시현상의 이론체계를 수립
1704년 영국의 '아이작 뉴턴‘이 원시현상의 이론체계를 수립
1727년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스칼렛’이 양쪽발이 고정된 최초의 안경테 발명
1752년 잉글랜드의 ‘제인스 아이스코프’가 양쪽발을 경첩으로 연결한 최초의 안경 발명
1775년 미국의 '벤자민 플랭클린‘이 이중초점렌즈의 고안
1801년 영국의 '토마스영'이
자기 눈의 난시 발견으로 토릭렌즈를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울라스톤 , 오스왈트 , 체리닝'의 안경광학의 연구를 거쳐 1825년 , 영국의 '에어리'에 의하여 난시용 안경렌즈가 개발.
1826년 미국의 '존 아이작 호킨스'에 의하여 삼중초점렌즈가 개발
1904년 누진다초점렌즈가 미국의 에브스에 의하여 개발
1982년경 일본의 일본등지에서 금속제 티타늄 안경테와 탄소섬유 등으로 만든안경테가 최초로 발매되어 오늘날의 인기를 독점하고 있는데 , 최근에는 안경테의표면처리기술과 도장기술의 발달로 자원 절약적인 면에 기여한 도장테는 물론이고형상기억합금 소재를 통한 안경까지 출현하기에 이르렀다.
안경의 원리
안경의 변천사
안경의 각부분 명칭
• 안경의 다리를 템플(Temple)
• 다리와 앤드피스를 연결하는 경첩을 힌지(Hinge)
인쇄술의 의미
• 보통 문자나 그림을 기계적·화학적 방법으로 종이, 천, 기타 물체의 표면에 복제하는 일.
• 인쇄란 판 위에 잉크를 묻혀 압력을 가해 복제하는 일을 의미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본래의 개념에서 벗어나 잉크와 압력을 사용하지 않고 인쇄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인쇄술의 발전과정
• 500년경 중국에서 목판 인쇄술 개발
• 868년 최초로 알려져 있는 인쇄서적 <금강경> 인쇄
• 1041년 중국의 연금술사 ‘필승’이 활자인쇄를 발명
• 1450년 독일의 ‘요하네스 겐스플라이쉬 구텐베르크’가 활자 인쇄술 개척
• 1476년 잉들랜드의 ‘윌리엄 캑스턴’이 영국에 인쇄술 도입. 1477년 <철학자들의 말>이 최초 인쇄
• 1796년 바바리아의 ‘알로이스 제네펠더’가 석판인쇄 발명
• 1884년 독일인 ‘오트마르 메르겐탈러’가 최초의 라이노타이프 식자기 발명
• 1895년 오스트리아의 ‘카를 클라크’가 그라비어인쇄 발명
• 1906년 미국의 ‘조지 바이들더’가 최초의 사진복사기(습식 화학물질 사용) 발명
• 1937년 미국의 ‘체스터 칼슨’이 전자 사진술로 특허 받은 사진술 개발(건식인쇄술)
인쇄술의 종류
• 목판 인쇄
• 활판인쇄
한벌의 활자를 만들어 놓아 오래 잘 간직하면서 필요한 책을 수시로 손쉽게 찍어 이용할 수 있어 출판비용과 시간이 아주 경제적인 인쇄방법
• 음각인쇄, 요판(그라비어) 인쇄
1895년 오스트리아의 카를 클라크가 발명한 그라비어 인쇄는 사진의 상을 판에 형성하고, 홈들은 상의 놈담에 따라 깊이가 다른 구멍들로 만들어짐
• 석판인쇄
1796년 바바리아의 극작가 알로이스 제네펠더가 발명.
물이 기름성분인 잉크와 반발하는 성질을 이용.
석판석에 지방묵으로 판무늬를 그리고, 약품으로 처리한 다음 물로 판면을 축여서 돌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한 다음 지방성 잉크를 부어 지방묵의 판무늬에만 잉크를 묻혀서 인쇄한다. 1매 인쇄할 때마다 물과 잉크를 번갈아가며 판면에 붓는 방법
• 오프셋 인쇄
판의화상을 일단 고무면에 옯겨, 이것을 중개로 하여 종이에 인쇄
거친표면에 효과
인쇄기의 종류와 특징
• 용지를 운반하는 장치, 잉크 장치, 판을 고정시키는 장치, 가압장치 등 네 부분
• 인쇄판식으로 분류하면 볼록판, 평판, 오목판(그라비어)
• 인쇄 압력을 주는 방식으로 보면 평압식(平壓式) ·원압식(圓壓式) ·윤전식(輪轉式)의 세 가지 형태
• 평압식:인쇄판이나 압력을 주는 장치가 서로 평면으로 만들어진 가장 원시적인 구조로서, 인쇄속도는 시간당 1,800장 정도이며, 볼록판인쇄의 소량 인쇄, 즉 명함 ·카드 등의 인쇄에 사용된다
• 원압식:인쇄판은 평면이고, 압력을 주는 부분이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평압식보다 인쇄속도가 빨라 시간당 3,600장 정도를 인쇄할 수 있다. 볼록판인쇄의 중간 정도의 부수 1,000∼1만 장의 인쇄물을 인쇄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
윤전식:인쇄판과 압력을 주는 부분이 모두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인쇄기로서, 각 인쇄방식에서 이 방식의 인쇄기를 사용한다.
현대적 의미
• 인쇄술의 발명으로 도서의 대량생산과 유통이 가능해짐.
• 누구나 손쉽게 지식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정보의 원활한 유통.
• 대량으로 출판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책을 통해 각종 정보를 접하게 됨으로써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정신이 싹트기 시작.(다양한 사고체계 형성).
• 인쇄술로 인해 지도와 탐험 기록이 보완되고 보존됨으로써 지리상의 발견에도 중요한 역할 함.
• 여기저기 흩어져 있고 접하기 어려웠던 각종 지식정보들을 수집하여 이용하고 이를 보전할 수 있게 되어 당시의 과학의 진보에도 영향을 주게 됨.
인공보장구
• 신체기능의 보상, 약한 근력의 보조, 바른 사지의 유지, 변형의 예방․교정 등 신체부위를 대신할 수 있는 보조기구
• 초기에는 부목, 목발, 안경, 보청기, 의치, 인공 팔다리
• 최근에는 고관절, 머리카락, 피부, 신장, 눈의일부, 심장
• 일부는 생물전자공학적으로 설계 근육의 움직임으로 통제가능
보청기
• 1901년 미국의 허친슨이 발명한 어쿠스티콘. 하지만 너무 컸음
• 1980년대 귓속에 완전 삽입가능한 생물 전자공학적 달팽이관 사용
의치
• 기원전 4세기경 최초의 의치는 동물의 이빨이나 상아
• 1844년 구리어가 경질고무 발명 후 대중화
인공신장
• 1850년 토머스 그레이엄이 발명
• 1964년 미국에서 일하는 네덜란드인 빌렘코프가 신장치료에 사용
• 1964년경에는 집에서 정기적으로 자신의 혈액을 인공신장을 지나게 함으로써 스스로 치료
인공팔다리
• 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 헤로도토스가 나무다리를 언급
• 400년 후 플리니우스는 인조손을 언급
• 로마시대에도 전사들을 위해 인공수족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음
• 1561년 프랑스의 군의관 앙브루아즈 파레가 최초로 관절이있는 의수, 의족을 사용함
인공심장
• 1952년 미국의 폴 졸이 심장박동조절장치 최초 발명
• 1960년 미국의 윌슨 그레이트배치 가 최초로 이식 가능한 심장박동조절장치로 특허 획득, 이식성공
• 1960년 미국의 앨버트 스타가 널리 이용되는 인공판막을 발명
• 1970년 로버트자빅은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인공심장 개발 1982년 부터 90명에게 달았으나 실패, 1989년 사용금지
• 오늘날의 인공심장은 기능에 따라서 완전인공심장과 보조인공심장으로 나누고, 구동방법에 따라서 공기압축식과 전기기계식으로 나눈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관리:경로 구성원,운영요소,구성요소,중간상 필요성 (0) | 2013.03.21 |
---|---|
과산화수소:H2O2:Hydrogen peroxide) (2) | 2013.03.21 |
쉬운 우울증depression 이해 (0) | 2013.03.16 |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보안: 시나리오, 대응방안, 위협 (0) | 2013.03.15 |
행성의 공전 궤도 (0) | 201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