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케스트라는 무엇인지 기본적인 것부터 알아보자
오케스트라에 대해서
오케스트라 배치도
악기 분류법1
• 현악기 분류법
현악기는 줄을 진동시켜서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크게 발현악기와 찰현악기로 나누어집니다.
- 발현악기
줄을 뚱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줄의 길이나 굵기가 다르면 소리의 높낮이가 달라진다.
• 길이나 굵기가 다른 여려개의 줄을 사용하거나 손가락 등을 이용해 줄의 길이를 조절한다.
• 기타나 하프등이 여기에 속한다.
- 찰현악기
줄을 활로 마찰시켜 소리를 낸다. 이 경우 줄에서 나는 소리를 몸통에서 울리게 해 소리를
• 확장하는 것이 보통이다. 손가락으로 줄의 길이를 조정해서 음의 높낮이를 결정한다. 찰현
• 악기는 활을 쓰는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의 음색을 만들 수 있다. 가끔은 줄을 손으로 튕기
• 기도 하죠. 보통의 관악기와는 달리 미끄러지듯 소리를 낼 수 있는 것도 찰현악기만의 특
• 징이다.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모두 찰현악기입니다.
악기 분류법 2
• 관악기 분류법
• 관악기는 관으로 이루어진 악기를 통틀어서 부르는 말인데, 크게 목관악기와 금관악기로 나누어진다.
- 목관악기
목관악기는 리드를 진동시키거나 마우스피스로 공기를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악기를 가리킨다. 주로 관을 따라 크고 작은 구멍이 나 있으며, 이 구멍을 열거나 막음에 따라 음의 높낮이가 조절이 된다. 관이 많이 열릴수록 소리가 높아진다. 악기를 만드는 재료는 원래 나무가 쓰였지만 요즘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쓰기도 한다. 플루트, 피콜로, 오보에, 바순, 클라리넷, 색소폰, 잉글리시 호른등등이 목관악기의 일종이다.
- 금관악기
금관악기는 마우스피스를 쓰기는 하지만 연주자의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가 난다. 이 소리를 밸브등을 이용해 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 소리의 높이를 조절한다. 재료는 금속이 쓰인다. 색소폰도 금속으로 만들기는 하지만 악기의 구조상 목관악기로 분류된다. 트럼펫, 트롬본, 호른, 튜바, 코넷, 알토 호른등이 금관악기에 속한다.
악기 분류법3
• 타악기 분류법
• 타악기는 어떤 물체를 두드리거나 때려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다른 악기처럼 음의 높낮이가 분명한 악기가 있는가 하면 단순히 '쿵'하는 소리만 내는 악기도 있다. 이 경우 다른 악기를 위해 박자를 맞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큰북, 작은북, 마림바, 비브라폰, 팀파니, 실로폰, 심벌즈 모두 타악기에 속하지만 이 말고도 훨씬 더 많은 종류의 타악기가 있다.
지휘자는 무엇일까요?
• 지휘자는 각자 다른 악기들이 한 곡을 잘 연주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줍니다.
지휘자는 음악의 모든 악기별 부분과 강약 그리고 음악적 표현까지 머리속에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각 악기별 연주주자는 본인의 파트보라 불리는 본인 파트의 연주에만 집중을 하게 됩니다.오케스트라 연주자들이 보는 악보는 전체 악기가 나와있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연주 할 부분만 나와있는 것을 보게 되기 때문입니다.사람마다 어떤 특정 음악에 대해 이해하는 속도나 강약이 다르므로, 지휘자가 모든 연주자로 하여금 지휘자가 생각하는 음악에 맞게 연주하도록 조종을 해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오른손으로는 박자와 리듬을 지시하고 왼손으로는 경고 (지금부터 빨라져, 또는 여기서 부터 크게. 등의) 를 위해 사용됩니다. 오른손은 음악 1박자 전의 음악을 지시해주게 되거든요? 그래서 진짜 오케스트라 연주와 지휘를 일반인들이 본다면 딱히 박자에도 맞지 않게 보입니다. 오른손이 높이 올라가면 오케스트라 배치상 제일 뒤쪽에 있는 연주자들에게 하는 지시이고, 또 오른손의 움직임이 커질 수록 소리가 커지는 것입니다.
오케스트라의 역사
• 1600년대부터 오케스트라 형식이 나타나기 시작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오케스트라의 형태가 자리를 잡게 된 것은 불과 200여 년 전이었다. 원시 시대에 멀리 떨어져 있는 동료에게 의사를 전달하던 수단이었던 것으로 짐작되는 타악기의 사용 이후, 악기는 각처에서 생기고 없어지고 또 새로운 것이 만들어지며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었다. 그 가운데 현악기가 완전한 형태로 사용되는 시기부터 오케스트라 역사가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역사학자에 의하면, 1626년 프랑스의 루이 13세가 갖고 있던 24명의 현악 연주자들로 구성된 현악오케스트라가 그 최초의 모습이라고 한다.당시에는 오케스트라가 귀족이나 궁정에 소속되어 있었던 까닭에 귀족의 직위나 궁정의 재정 상태에 따라 규모도 다양하였으며, 목관악기와 금관악기의 진보와 함께 점차 발전하게 되었다.8세기 중엽에는 일반적으로 12개의 바이올린과 8개의 다른 현악기, 하나의 플루트, 오보에, 바순, 두 개의 호른 및 하프시코드로 구성되었고, 중요한 행사의 경우 트럼펫과 팀파니가 추가되었다. 이와 비교하여 오늘날에는 바이올린 32, 비올라 14, 첼로 12, 콘트라 베이스 10, 피콜로 플룻 3, 오보에3, 클라리넷 1, 바순 3, 더불 바순 1, 호른 6, 잉글리쉬 호른 1, 트럼펫 3, 트럼본 3, 튜바 1, 하프 1, 타악기 4∼6등 대체로 98 ∼ 100개의 악기가 동원된다.오케스트라는 독특한 각자의 개성을 지닌 음악인들이 모여 음악을 만드는 단체로서 일정 수준을 넘게 되면 그 나름대로 특이한 음색과 개성을 지니게 된다.세계 정상급의 교향악단의 경우 모두가 수십 년 혹은 백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훌륭한 지휘자들과 함께 자라온 것이다. 한 나라의 교향악단은 그 국가의 음악 수준뿐 아니라 문화 예술의 전반적인 수준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교향악단의 발전은 음악계의 향상은 물론 모든 예술 부문, 나아가 사회 전반의 성장을 의미하는 것이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maneiras de aumentar sua autoestima, não orgulho (0) | 2020.12.22 |
---|---|
전화망과 케이블망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0) | 2020.12.12 |
Fiber Optics - 광섬유 (0) | 2020.09.23 |
여성과 정치 (0) | 2020.07.21 |
Hic sunt quinque causas, quare non bonum piperis in salutem. (0) | 2020.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