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5C94855E2EF360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0694855E2EF38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AB54855E2EF3B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4BD4855E2EF3D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6064855E2EF3F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2E94855E2EF40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D374855E2EF431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50E4D55E2EF45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7554D55E2EF470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9CA4D55E2EF49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CC84D55E2EF4A2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3824D55E2EF4D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1CE4D55E2EF50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9CB4D55E2EF52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D624955E2EF54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2714955E2EF56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0F64955E2EF5A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6D94955E2EF5D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3254955E2EF60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F0F4955E2EF622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81C4955E2EF65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91B4755E2EF68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52CB4755E2EF6B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598C4755E2EF6C0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5FAF4755E2EF6E0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0B64755E2EF71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AA94755E2EF74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58E4755E2EF76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4E84F55E2EF7A2F)
.학습목표(1) 음운과음절(2) 음절의끝소리규칙(3) 음운의동화(4) 음운의축약과탈락(5) 사잇소리현상
1. 음운변동의개념을이해한다.
2. 국어의음운변동규칙을파악한다.
3. 국어의발음을올바르게하는능력을기른다.
1. 음운변동의개념을이해한다.
2. 국어의음운변동규칙을파악한다.
3. 국어의발음을올바르게하는능력을기른다.
음운의변동형태소가단독으로또는다른형태소와결합되어나타날때, 그환경에따라발음이달라지는현상받바테바치반만ex.
음운의변동형태소가단독으로또는다른형태소와결합되어나타날때, 그환경에따라발음이달라지는현상받바테바치반만ex.
음운의변동과표기법음운의변동은표기에반영되기도하고,
그렇지않기도하므로표기법과비교하여주의깊게공부해야함도와도와(표기에반영됨)
표기발음ex.
음운의변동과표기법음운의변동은표기에반영되기도하고,
그렇지않기도하므로표기법과비교하여주의깊게공부해야함도와도와(표기에반영됨)
표기발음ex.
돔는
돕는
(표기에반영안됨)
발음
기관
음운(音韻)?
말의뜻을구별해주는소리의단위
모음(母音)
자음(子音)
말할
때에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지
않고
순조롭게
나오는
소리
(21 개)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이
목
안
또는
입
안의
어떤
자리에서
장애를
받고
나오는
소리
(19 개)
단모음
삼각도
발음
기관
ㅏㅓㅗㅡㅜㅣㅔㅐㅚㅟ전설(前舌) 후설(後舌)중설(中舌)
고(高)
중(中)
저(低)
.
단모음
: 발음하는
도중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모음
자음표
발음
기관
한뭉치를이루는각각의소리덩어리음절(音節)?
ex.
집앞으로맑은물이흐른다.지바프로말근무리흐른다음절의유형모음단독모음+ 자음자음+ 모음자음+모음+자음이, 요, 어, ...
왕, 억, 약, ...
해, 나, 구, ...
강, 학, 말, ...
(자음)+ 모음+(자음)
이로군!
한뭉치를이루는각각의소리덩어리음절(音節)?
ex.
집앞으로맑은물이흐른다.지바프로말근무리흐른다음절의유형모음단독모음+ 자음자음+ 모음자음+모음+자음이, 요, 어, ...
왕, 억, 약, ...
해, 나, 구, ...
강, 학, 말, ...
(자음)+ 모음+(자음)
이로군!
음절의끝소리가되는자음은‘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일곱뿐이다.
음절의끝소리가되는자음은‘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일곱뿐이다.
단어를발음해보세요!
예외발바넙뚱글다ㄼ'밟-'의'ㄼ'은자음앞에서'ㅂ' 선택.
'넓-'의'ㄼ'은'넓죽하다', '넓둥글다'의두가지경우에서'ㅂ' 선택.
ㄺ: 'ㄺ'이용언의어간끝자음이고, 뒤에'ㄱ'으로시작되는어미가오면, 첫자음인'ㄹ' 선택.
밥따넙쭈카다말께늘꼬막찌
예외발바넙뚱글다ㄼ'밟-'의'ㄼ'은자음앞에서'ㅂ' 선택.
'넓-'의'ㄼ'은'넓죽하다', '넓둥글다'의두가지경우에서'ㅂ' 선택.
ㄺ: 'ㄺ'이용언의어간끝자음이고, 뒤에'ㄱ'으로시작되는어미가오면, 첫자음인'ㄹ' 선택.
밥따넙쭈카다말께늘꼬막찌
모음과
만날
경우
다음단어를발음해보세요!
오시오단이뷔저즈니다음형태소가조사, 어미일경우그대로다음음절의첫소리가됨.
다음형태소가자립성이있는단어일경우일곱자음중의하나로바뀜.
끄틀
예외앞의규칙에서는어긋나지만많은사람들이다르게발음하면그것을맞는것으로인정마싣따머싣따디그시히으세
예외앞의규칙에서는어긋나지만많은사람들이다르게발음하면그것을맞는것으로인정마싣따머싣따디그시히으세
다음단어를발음해보세요!
음절의끝자음이그뒤에오는자음과만날때, 두자음이닮는현상
자음동화의유형을알아봐요!
자음동화가일어나는이유는?
연이어나타나는두자음의소리의성질을비슷하거나같게하여, 이들을좀더쉽게발음하려는데서일어남.
[학여울] ?
표기대로발음하려니너무갑갑하군.
연이어나타나는두자음의소리의성질을비슷하거나같게하여, 이들을좀더쉽게발음하려는데서일어남.
[학여울] ?
표기대로발음하려니너무갑갑하군.
표기에
반영될까요
?
표기에반영되지않아요.
곧음운의변동이일어난모습인'궁물,
면니, 뱅노, ...' 로표기하지않고, ' 국물,
몇리, 백로, ...' 로표기합니다.
는
조사
, 접미사를
만나면
'ㄷ, ㅌ' 소리가
각각
‘ㅈ, ㅊ’
소리로
바뀌는
규칙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이유는
?
끝소리가'ㄷ, ㅌ'인형태소가모음'ㅣ'로시작되
두음운사이의거리의차이를좁혀서발음을좀더쉽게하려는데서비롯됨.
‘발음기관’을보면금방알수있겠군.
‘ㅣ’모음과가까운자음은구개음이니까.
표기에
반영될까요
?
표기에반영되지않아요.
곧음운의변동이일어난모습인'구지, 가치, 국빱, 신따, ...' 로표기하지않고, ’ 굳이, 같이, 국밥, 신다, ...' 로표기합니다.
같은계통의모음끼리어울리는현상즉, 양성모음(ㅏ, ㅗ)은양성모음끼리음성모음(ㅓ, ㅜ,ㅡ,
ㅣ)은음성모음끼리어울리는현상모음조화(母音調和)
(가) 막아, 막아서, 막아라, 막았다(나) 먹어, 먹어서, 먹어라, 먹었다(다) 졸졸, 퐁당퐁당(라) 줄줄, 풍덩풍덩
같은계통의모음끼리어울리는현상즉, 양성모음(ㅏ, ㅗ)은양성모음끼리음성모음(ㅓ, ㅜ,ㅡ,
ㅣ)은음성모음끼리어울리는현상모음조화(母音調和)
(가) 막아, 막아서, 막아라, 막았다(나) 먹어, 먹어서, 먹어라, 먹었다(다) 졸졸, 퐁당퐁당(라) 줄줄, 풍덩풍덩
어간과어미의결합어간과어미의결합
잡아, 잡아도, 잡아라, ...
먹어, 먹어도, 먹어라, ...
의성어, 의태어
알록달록
, 아장아장, 졸졸, ...
얼룩덜룩
, 어정어정, 줄줄, ...
선어말어미
보았다, 잡았다, 도왔다, ...
부었다, 접었다, 두었다, ...
모음조화는더이상배울필요가없다?
현실언어에서모음조화는약간의흔적만남아있을정도로이미파괴된상태임.
깡총깡총껑충껑충깡충깡충꼬볼꼬볼꾸불꾸불꼬불꼬불도와구워아름다와고마와고마워아름다워모음조화는더이상배울필요가없다?
현실언어에서모음조화는약간의흔적만남아있을정도로이미파괴된상태임.
깡총깡총껑충껑충깡충깡충꼬볼꼬볼꾸불꾸불꼬불꼬불도와구워아름다와고마와고마워아름다워
두음운이만나한음운으로줄어드는현상자음 축약
(ㄱ, ㄷ, ㅂ, ㅈ ) + ㅎ → (ㅋ, ㅌ, ㅍ, ㅊ)
모음 축약
단모음 + 단모음 → 반모음
두음운이만나한음운으로줄어드는현상자음 축약
(ㄱ, ㄷ, ㅂ, ㅈ ) + ㅎ → (ㅋ, ㅌ, ㅍ, ㅊ)
모음 축약
단모음 + 단모음 → 반모음
단어를 발음해 봐요 !
두음운이만날때한음운이탈락하는현상자음탈락
모음탈락두음운이만날때한음운이탈락하는현상자음탈락
모음탈락우리모두함께발음해보도록하죠^^
표기에
반영될까요
?
모음조화, 음운탈락, 모음축약은표기에반영되지만, 자음축약은표기에반영되지않아요.
배낄봄삐치꽈솜:니불아랜니나문닙두개의형태소가결합하여합성명사를이룰때.
{울림소리} +{ 예사소리} {된소리}
‘ㄴ’소리가첨가
배낄봄삐치꽈솜:니불아랜니나문닙두개의형태소가결합하여합성명사를이룰때.
{울림소리} +{ 예사소리} {된소리}
‘ㄴ’소리가첨가
왜
‘규칙’이
아니고
‘현상’이라
할까요
?
그것이일어나는말과일어나지않는말을일정한원리에기대어구분할수없기때문.
등잔노래방방법(方法) 논밭은방울)
콩밥등뿔머리빵문뻐ㅂ논뚝비빔빱촌싸람
표기에
반영될까요
?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나면
사이시옷을
표기
그게조금복잡해요.
배나루나룻배집전세전셋집한자어는여섯을제외하고사이시옷표기안함곳간(庫間) 찻간(車間) 툇간(退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횟수(回數) 초점(焦點) 내과(內科)
사잇소리현상의유무에따른의미분화집나무배고기나무집나묻찝고기배고기빼나무로지은집나무를파는집. = 목재상고기의배[腹]
고기잡이배[船]
집나무배고기나무집나묻찝고기배고기빼나무로지은집나무를파는집. = 목재상고기의배[腹]
고기잡이배[船]
연구개경구개목젖비강잇몸성대식도후두개후두인두혀끝혓바닥혀뒤연구개경구개목젖비강잇몸성대식도후두개후두인두혀끝혓바닥혀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