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랜드 종교개혁 – 근대교회의 여명
근대교회사
잉글랜드 종교개혁 – 근대교회의 여명
잉글랜드 종교개혁 특징
• 초대 교회사 (1-476)예루살렘 소아시아
• 중세교회사(500-1517)로마 프랑스 독일
• 근대 교회사(1500-2000) 영국 미국
• 제이아이페커 –하나님을 아는 지식
• 그제자 존스터트
• 성공회 옷을 입은 자유주의
• 성공회를 우연적인 사건의 연속이라고 말합니다.
• 그는 편의적인 종교라고 표현하였습니다. 국가의 편의에 의해서 생긴 종교라고 합니다.
• 스티븐 오즈먼트의 개헉의 시대라는 책이 있습니다.
• 영국의 종교개혁이 빠져 있습니다. 잉글랜드 종교 개혁은 근대교회사의 첫출발점으로 삼는 것이 더 타당합니다. 시기적으로 근대와 중세를 구별하는 방법으로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 가톨릭에서 중앙집권적인 국가형성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관제 종교개혁이라고 합니다. 중앙집권적인 국가의 힘이 강해진 것이므로 근대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근대교회사에서 다루어야합니다.
• 잉글랜드 종교개혁이 일어난 이유는 핸리 8세의 이혼을 다룬 것입니다. 세밀하게 표사되어 있습니다. 역사적인 팩트에 의해서 만든 것입니다. 핸리 8세의 이혼 문제가 정말 중요한 문제였느냐는 것에 대해서 폄하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핸리 8세가 왕이 되었는데 왕위 계승 문제로 종교 개혁이 일어납니다. 핸리 8세는 6명의 부인을 데리고 있었습니다. 케서린, 앤 볼린, 제인 시오어. 클리보스의 앤, 캐서린 하워드, 캐서린 파가 있었습니다. 첫번 네번은 이혼당하고 두번 다섯번은 죽었고 셋째 여섯째는 죽고 살아남았습니다.
• 특징?
▫ J.I. 패커: 일련의 사건들 (A Series of Accidents),
▫ 긍정적으로는 중도 via media, 실제적으로는 a religion of expediency(편의의 종교).
• 왜 잉글랜드 종교개혁이 중요한가?
▫ 근대성을 띤 중앙집권제 왕권의 강화의 표현.
▫ 근대적 교회형태, 교파 출현 시작.
헨리8세와 계승 문제
• 헨리 8세는 1509년 잉글랜드 왕 즉위. 핸리 7세는 장미 전쟁(30년 전쟁)이 있습니다. 상호의 타협으로 나온 사람이 핸리 7세가 나옵니다. 여기서 튜더 왕조가 되었습니다. 핸리 8세가 자식 문제를 집착한 이유가 있습니다. 여왕이 불분명하였습니다.
▫ 몇 주 후 아라곤의 캐서린과 결혼, 에스파냐 황제인 페르디난드, 이사벨라의 딸 (콜럼버스 신대륙 보낸 이).
▫ 캐서린은 따라서 신성로마제국 찰스 5세의 고모. 페르디난트, 이사벨라 2딸.
▫ 찰스 5세 1519 에스파냐왕, 신성로마제국황제 등극
▫ 1516 메리 출생. 루터 종교개혁 1517. 독일에 찰스가 왕위에 올랐을 때 갈등.
• 아들이 절실히 필요
▫ 캐서린 많은 유산 보유. 그러나 아들 기대.
▫ 남아선호 때문이 아니라, 여성의 왕위계승에 대한 것이 불분명해서.
▫ 전대에 일어난 장미전쟁은 왕위계승전쟁이었다.
• 전례: 1135 헨리 1세 죽었을 때 딸 마틸다를 상속녀. 잉글랜드 다스릴 기회가 있었다.
▫ 귀족이 원치 않아서 사촌 스티븐 왕. 스티븐 익사.
▫ 그래서 마틸다의 아들이 왕위 차지. 그래서 그는 자신의 왕위를 어머니를 통해 계승.
▫ 이것이 헨리 7세 때 반복. 그는 어머니 통해 자신의 왕위 계승권 얻음.
▫ 마가렛 보포트. 그녀는 스스로 여성이어서 여왕이 될 수 없었다.
▫ 헨리 8세도 같은 입장. 왕위계승권이 보장되기 위해 아들이 필요.
▫ 메리의 경우 남편 찾아서 하기 어렵다. 만약 잉글랜드 남자와 결혼한다면 귀족일텐데 강력한 지방호족들이 있어 내전 일어나기 쉬웠을 것, 외국인과 결혼한다면. 만약 외국 왕과 결혼하면 외국 가서 살아야 하고.. 잘 결혼해야.
▫ 19세기까지 이어졌다. 빅토리아 여왕까지. 다행히 그녀는 알버트라는 적당한 이와 결혼.
헨리8세와 루터의 종교개혁
• 이런 때에 대륙에서는 루터가 나왔다.
▫ 교황이 루터 대항 위해 유럽 왕국의 지원 요청했다. 그러나 아무도 프랑스왕이나 찰스황제도 원치 않았다.
▫ 그러나 헨리 8세는 달랐다. 신학자, 음악자, 재능이 탁월한 인물로 루터에 반박한 <Assertion of seven sacraments>. (7성사의 확인) 교황을 지원하는 유일한 왕.
• 왜 이렇게 했을까? 개인적 신념에다가 헨리가 원한 것은 타이틀.
▫ 프랑스 왕은 Rex Cristianissimus 13세기 루이 9세. 십자군 동의했을 때 사후 성인. 세인트루이스.
▫ 페르디난트, 이사벨라 - Catholic King, 콜럼버스, 스페인에서 아랍족 몰아냄.
▫ 헨리는 다른 유럽 왕국과 버금가는 것 원함 (타이틀의 인플레이션.)
▫ 루터 반박해 글을 썼으니 교황이 동의했다. 1521 <Defender of faith>.
▫ 이 타이틀은 오늘까지 여왕에게 이어짐. 가톨릭 타이틀이다. 프로테스탄티즘이나 앵글리칸과 전혀 무관한 것이다.
이혼 문제의 시작
• 찰스 5세와 캐서린
▫ 영국은 중세에 변방이었습니다. 1522 누가 런던에 나타났는가? 찰스5세가 방문.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캐서린을 만난 경우. 그리고 메리를 만났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만남.
▫ 찰스가 1527 로마 약탈해서 교황을 감금 3년.
▫ 1526 캐서린 40세. 헨리는 이 여인에게 아들 기대 못함 알았다.
• 아들 문제와 결혼 무효
▫ 헨리는 이것이 그녀의 잘못으로 여김. 그 이유는? 그가 결혼한 직후 하녀와 관계. 아들을 낳음. 리치몬드공(Duke of Richmond)
▫ 나는 아들이 있다. 모두에게 얘기함. 아들 못 낳는 것은 캐서린의 잘못. 나는 정상 남자이다.
▫ 그래서 결혼 무효(annulment)가 쉬울 줄 생각했다. 돈 있고 힘 있으면. 무효는 쉽다.
▫ 그런데, 문제는 교황이 조카의 인질.
▫ 캐서린은 페르디난드와 이사벨라의 딸, 황제의 고모.
▫ 이런 식으로 내 가족의 명예를 무시하면 안된다.
• 챨스는 교황에게 무효 선언 못하게 했다.
▫ 헨리 8세 재상(cheap minister) 울지 추기경(Candinal Wolsey) 협상하러 보냈다. 그는 정부 운용했다. 울지는 이 협상에 실패했다. 교황이 자유롭지 못했기 때문에.
▫ 헨리는 울지 실각. 이것이 위기를 야기.
▫ 15년 정부 이끌기만 한 것이 아니라, 캔터베리 대주교는 아니었지만 그는 친인척, 후원자.
▫ 캔터베리 대주교는 울지 실각에 만족. 경쟁자 사라졌기 때문에.
헨리의 의회소집
• 헨리 결심 - 의회 소집
▫ 당시 의회는 정기적 소집 아님.
▫ 1523년 이후 1529년에 소집. 1536년까지 이어짐. (개혁의회 - reformation parliament)
• 헨리가 이런 방식 선택했기 때문에 의회가 정부의 가까운 동지.
▫ 의회의 성장(대의정치)는 종교개혁과 친밀한 연관성 지님.
▫ 이 유산이 믿음이 성장 - 의회가 종교개혁을 이끌었다는 믿음.
▫ 청교도들이 더 확실한 개혁 위해 의회 이용.
• 이 당시 잉글랜드의 법제(constitution)를 볼 필요가 있다.
▫ 불문법이다. 성문법 아니다. 관습법.
▫ 한 편에는 의회(parliament) 상원(house of Lord)과 하원(house of Common)
▫ 교회 - 대주교구회의(convocation)- 캔터베리와 요크, Convocation of York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이것도 평행하게 두 개 (compose of bishop and compose of clergy)
▫ Lord - 모든 이가 house of Lord 앉는다.
▫ bishop - 모든 이가 house of bishop 앉는다.
▫ 그러나 common 그리고 clergy는 대표만 앉는다. - 선출된 대표들만.
의회 소집의 목표
• 주교는 상원의원이기도 하다.
▫ 그러므로 대주교구 회의는 상원의 하위 기구 정도(subcommittee)
▫ 의회 통과하면 왕이 사인.
▫ 대주교구 회의도 같은 방식. 법률안이 통과하면 왕이 비준하지 않으면 효력 없다
• 차이는 교회는 대안이 있다. -교황에게 상소를 할 수 있다.
▫ 왕은 이것을 금지하려는 시도. 교황을 그림에서 잘라 버리자.
▫ 헨리가 원한 것은 convocation에게 그의 결혼을 무효로 하고 비준하고자 함.
▫ 교황을 정치적으로 잉글랜드에서 제거 시도.
• 헨리가 교회의 행정에서 교회를 바꾸지 않고도 교황을 뺄 수 있다고 믿었다.
▫ 대륙의 루터는 달랐다. 루터의 주관심사는 믿음, 은총, 구원 등 신학적인 문제였다. 쯔빙글리나 캘빈도 마찬가지였다.
▫ 헨리가 원한 것은 국민교회화 자신의 목적을 위해. 신학적 변화 아님.
▫ 헨리의 목적이 내적으로 교회를 바꾸는 것도 아니었다. 가장 좋은 것은 가장 적게 바꾸고 보수적으로 남겨두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쟁취하는 것.
▫ 그는 오직 결혼 무효를 원했다.
이혼과 가톨릭 교회
• 그는 6명의 아내가 있었지만 한 명도 이혼(divorce) 하지 않았다.
• 실제로 무효 - 오늘날 무효는 가톨릭에서 이혼. 그러나 정밀하게 다르다.
• 이혼이란 가톨릭 교회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 로마법에서는 2가지 형태의 이혼.
1. a vincullo matrimonii- from the bond of marriage)
▫ 결혼 때 낳은 자식은 합법자. 상속권.
▫ 그러나 헤어진 부부는 한편이 살아 있는 한 다시 결혼 못한다. 그러나 교회는 이것을 절대 허락하지 않는다. 헨리는 이것을 얻을 수 없다. 오늘까지도 가톨릭 교회는 허용 않음. 성공회도 마찬가지다. 찰스도 교회에서 재혼 허락하지 않았다.
2. divorce a toro et mensa (from bed and board) - 법적인 별거(legal separation) 오늘날의 명칭. 자녀들은 합법적인 자녀. 그리고 여전히 결혼한 상태. 그러니 다시 결혼 못한다. 교회는 이런 것을 허용했다.
▫ 이것을 헨리가 원한 것은 아니었다. 헨리는 다시 결혼할 자유를 원했기 때문에.
▫ 그래서 그는 무효를 요청한 것이다.
• 이것이 그 경우라면 그의 자녀 메리는 사생아가 된다.
• 이것이 캐서린의 입장에서는 수용하기 어려운 것이다.
결혼의 무효
• 무효되는 경우
1) 미성년과 결혼했을 경우. 남자 14, 여자 12.
2) 강압적으로 결혼했을 경우 - 결혼은 동의가 필요하다.
▫ 중세 동안에도 여성들의 동의가 필요했다. 이 경우 헨리도 해당 안된다.
3) 결혼당시 정신적으로 문제.
▫ 결혼 후 미쳤다면 무효 안된다. 이 모든 것이 흔한 것은 아니다.
• 흔한 경우는 친인척 결혼 (kindred 혹 affinity) 일 경우
▫ 남매간 결혼.
▫ 친척(Kindred)관계는 7대 동안 적용.
▫ 집성촌 같은데 살면 기본적으로 모든 이와 연결.
▫ 더 편리한 경우는 인척(affinity) - 이것은 혈연관계가 아니다.(inlaws)
▫ 7대가 혈연이 아니라, 결혼관계로 연결이 되어있다면 무효 요청할 수 있다.
▫ 영적으로 연결 - 대부, godparent, godchildren, guardian. 이들과 혈연이 섞이지 않아도 무효가 된다. step brother/sister.
• 실제적으로 무효를 얻기는 생각보다 쉽다.
▫ 그러나 헨리는 공적인 인물 다 안다. 7대 넘어가도 아라곤의 캐서린과 연결이 되지 않는다.
▫ 그런데 헨리의 형과 캐서린이 결혼했었다.
▫ 아서(Arthur)와의 결혼은 합방(consummation) 안 되서 무효로 되었다.
토머스 크랜머와 이혼 문제
• 1509년 헨리와 결혼.
▫ 그래서 사면(dispensation)을 교황에게서 얻었는데, 헨리는 다시 입장 정리.
▫ 성경에 의하면 이것은 맞지 않다.
▫ 교황과 성경이 충돌하면 어느 것 따라야 하는가? 갑자기 헨리에게 프로테스탄트가 유용.
▫ 교황은 허락하고 성서는 금하면 어떻게? 레위기 20:22 “형수와 결혼하면 무자”
▫ 이것이 헨리 자신의 결혼을 하나님이 저주하신 것이라고 함.
▫ 헨리는 레위기 말씀이 캐서린과 무효를 확신했다.
▫ 이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이것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그래서 오랜 시간 걸렸다. 헨리는 1529년 의회 소집. 이 논의는 끝나지 않았다.
• 토마스 크랜머: 의회는 하지 못했다. 이 문제에 대해서 헨리는 도움이 필요했다.
▫ 당대까지 아무도 알지 못했던 사람. 토마스 코롬엘 토마스 모어가 있습니다.
▫ 토머스 크랜머 - 케임브리지 신학부 교수였다.
▫ 케임브리지는 당대 개신교 전파의 본산지 족보를 보지 않습니다.
▫ 잉글랜드는 당대 많은 프로테스탄트가 많이 없었다. 프랑스는 아주 많았다.
▫ 대부분은 루터와 추종자들의 글을 읽고 바뀐 사람들이다. 리틀 저먼이라고 불렸습니다.
▫ 런던 무역업자. 독일로부터 배로 암시장 형성(black market). 학자들이 대륙과 접촉.
▫ 그들은 펍(pub)에서 프로테스탄트 신학을 토론했다. (White horse tavern).
▫ 1520년대 케임브리지 신학적 토론 진행. 옥스포드는 기득권층입니다. 그중에 크렘멀입니다. 중요한 사람은 윌리엄 팀벨이 번역합니다.
▫ 루터의 책들이 유통. 크랜머가 접촉했다. 그는 유일하거나 가장 중요한 인물도 아니었다.
윌리엄 틴데일
• 그는 성서를 영어로 번역할 필요를 설득
▫ 그는 런던주교에게 가서 성서번역 하고 싶다고 말함. 런던주교는 거절. 불법이기 때문에.
▫ 이유는 존 위클리프와 롤라드 때문에.
▫ 그래서 나라를 떠나 1523년 비텐베르크로 가서 루터의 제자가 됨.
▫ 당시에 흔치 않은 것. 그래서 학생이 되어서 신약성서를 번역했다.
▫ 독일에서 출간되어 잉글랜드로 역밀수. (2개의 카피가 영국박물관 소장)
▫ 루터의 예를 따라 각각의 책마다 서론을 씀. 틴데일의 신학 나옴. 루터의 신학 같다.
▫ 구약이 신약과 연결이 된다는. 계약신학/언약신학의 비조.
▫ 1520년대의 일임. 그러나 외국에서 일어남.
결혼무효에 대한 신학적 입장
• 국내적으로 조금씩 활성화.
• 또 하나의 아이디어 - 결혼은 성사(sacrament)가 아니다. 이것이 작동하지 않으면 무효로 되어야 한다. 성사는 성만찬과 세례가 있다. 중세교회에 들어오면서 교회가 사생활에 영향을 주면서 어거스틴의 구원론이 퇴색하고 중세의 행위 구원이 나옵니다. 거짓 사상들이 복음을 훼손시킵니다. 행위 구원론이 나옵니다. 소감이나 메시지로 묶어 둘 수 있습니다. 기독교인의 규범에 맞는 삶을 살도록 만들었는데 이것이 굳어졌습니다. 이것이 칠성사를 지켜야 구원을 얻는다는 말도 나왔습니다. 결혼을 구원과 연결시켰습니다. 결혼은 성사가 아니라고 말합니다. 부부 관계가 완전히 파괴되었는데 이혼을 금하는 것이 성서적인 것이냐는 문제 제기가 됩니다.
1) 중세의 결혼무효는 위선.
▫ 이혼을 법제화하면 그리고 친인척 관계를 세분화하고 줄인다면, 모든 것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혼을 합법화할 수 있다.
▫ 즉 관계의 파괴 등이 이혼 사유로 고려될 수 있다.
2) 그리고 성직자도 결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크랜머도 결혼했다.)
▫ 성직자의 결혼도 칠성사에 들어있습니다. 근대교회의 모든 문제를 토론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결혼도 성경에서 금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습니다. 1530년 크랜머의 케임브리지의 삶의 행복 깨짐. 흑사병 때문에. 크랜머는 Walton abbey (런던 교외) King Herald (1066 죽어 여기에 묻힘) 이 모든 것을 신학적으로 체계화한 것이 크렘머입니다.
▫ 그는 private household의 튜터. 크랜머가 왕의 이혼문제에 대한 논문을 씀.
▫ 전혀 다른 근거를 가지고. 중세 관념은 무너뜨리고, 가정의 행복 깨지고, 아들 필요하기 때문에 그는 무효 원하는 대로 해 줘야 한다고 함.
▫ 왕은 자신을 지지할 사람이 필요했다. 이 사람이 누구며 어디에 있느냐?
▫ 왕이 만나 얘기. 로마로 교황과 논쟁하기 위해 사절로 파견이 되었다.
▫ 1531년 로마로 가서 왕의 경우 논하러 감. 왕은 교회에 대해 압력을 가하기 시작함.
교회개혁을 통한 압박
• 다른 방식으로 왕은 교회를 압박.
▫ 교회의 부패를 일소하기 위해. 개혁 위해.
▫ 울지가 부패 많이 했다. 부재성직자-성직에 임명되면 돈을 받습니다. 다른 곳에 여러 곳에 성직자로 임명되면 돈을 받습니다. 복수겸직 - 해결하기 위해서 강력한 통제를 해야 한다. 주교가 원치 않아 국왕이 하고자 함. 부를 사생아에게 줍니다. 개혁의 문제의 핵심이 돈과 관련됩니다. 돈을 버리는 운동이 일어나서 교회를 살립니다. 돈이 하나님의 자리에 섰을 때 교회는 타락합니다. 성직자는 성직복만 입도록 하였습니다.
▫ 의회는 성직자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침 줌.
▫ 예를 들어 성직자는 속인의 옷을 입으면 안 된다. 구별이 되기 위해서.
▫ 이런 법이 통과되었다. 교회는 자신들이 위기에 처했음을 알았다. 어떻게 중단시키지?
▫
• 다음으로 왕이 행한 것은 교회가 법을 어겼다고 고발.
▫ 무슨 법? 14세기 1351년 누구도 사건을 교황법정에 왕의 허락 없이 가져갈 수 없다.
▫ 교황존신죄법/교황상소금지법 (statue of provisors. praemunire) 아무도 당시 이것을 인지하지 못했는데 왕이 끄집어낸다. 교횡의 세력을 견제 해야합니다.
▫ 용서해주는 대신 엄청난 벌금을 물림.
▫
• 더 압력을 가하기 시작함 - 더 많은 돈을 끌어내기 위해.
▫ 교황 상소금지법을 세웁니다. 교황이라고 해서 무조건 떠받들지 못하도록 하였습니다. 성직을 임명할 때 교황과 왕이 협력하게 됩니다. 법을 통과 - 로마로 교회가 돈 보내는 것 금지. (초입세, 십일조 등) 로마로 돈을 보내는 것을 금지하합니다.
▫ 그리고 결혼무효를 선언하라. 그러면 이런 압력 금하겠다. 핸리 8세가 영국 교회의 해드가 되었습니다. 성직자들은 이것을 탐탁하게 생각지 않습니다. 그때부터 영국 교회가 교회의 독자성을 상실하고 정부에 예속이 됩니다.
▫ 그런데 이런 일 생기지 않고 더 안 좋은 일이 벌어졌다.
앤 볼린
• 앤 볼린
▫ 헨리가 다른 여인과 사랑에 빠졌다.
▫ 육체관계와 사랑은 다른 것. 모든 왕이 매일 밤 궁녀들과 잤다.
▫ 이런 것이 용인이 되었다.
• 메리 볼린(Mary Bolyne) - 부유한 런던 상인의 아들.
▫ 어느날 이 여인이 자신의 여동생 앤(Anne)을 소개. 헨리가 첫눈에 반했다고 함.
▫ 헨리는 중년의 남자. 중년의 위기를 겪고 있었다.
▫ 그래서 앤을 쫓아다님. (16세기 version 궁궐 인턴으로 삼음).
▫ 앤은 원칙이 있었다. 그녀는 결혼하기 전에는 잠자리를 가질 수 없다고 함.
▫ 이런 여인을 만나본 적이 없다. 잉글랜드 왕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헨리는 결혼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앤은 "당신은 이미 결혼해서 나와는 결혼 못합니다"고 했다.
• 앤은 유년시기 프랑스 파리에서 자랐다. 프로테스탄트 경도되어 교육받았다.
▫ 앤이 프랑스 갔을 때 헨리가 쫓아가서 비밀 결혼을 했다.
▫ 그는 실제로 중혼(bigamy). 1532의 성탄절이었다. 그리고 앤은 임신했다. 위기였다.
▫ 1532 8월에 캔터베리 대주교 사망.
▫ 당시 평신도였던 토마스 크롬웰을 대주교로 삼음.
▫ 크랜머는 당시 로마 주재.
▫ 결혼식 거행을 크롬웰 하에서 함. 결혼을 합법화.
▫ 만약 아들이 태어난다면 나라가 헨리 편이 될 것. 그런데 1533 10월 7일 딸 낳음. 엘리자베스. 교황은 사생아로 규정. 엔볼린은 간통죄로 사형에 당합니다. 남동생과 근친상간하였다고 합니다.
▫ 헨리는 상관하지 않음. 메리는 아직 어렸다. 시간이 지나면서 무슨 일이 생겼을까?
두번째 결혼의 파경
• 앤이 유산. 남자아이였다. 헨리의 사랑이 식음.
• 앤은 22살 40세 남자와 결혼.
• 그녀는 다른 관심이 있었다. (다이애나비 처럼) 그러나 당시 가능하지 않았다.
• 우리의 기준에서는 앤은 다른 이와 잘못하지 않았을 것이다. 자기 또래의 남자와 만나는 것은 스캔들 낳음.
• 크랜머 대주교가 간통으로 1536로 앤을 참수(캐서린 죽은 지 몇달 후)
• 이중으로 홀아비 신세. 그래서 결혼의 자유 획득, 두 딸이 있었다.
• 그는 45살.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경찰 (0) | 2018.01.25 |
---|---|
한국 시민사회 - NGO (0) | 2018.01.20 |
지도 - 지형도의 기본 구성을 알고, 읽을 수 있다 (0) | 2018.01.07 |
이탈리아의 형성 (0) | 2017.12.30 |
독도 퀴즈 (0) | 2017.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