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rsprung durch Technik

블로그 이미지

MSNU

조선의 화폐와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myPPT 2016. 9. 17. 19:11

















1. 새로 발행한 5만원권 화폐 -5 만원권은 한국화폐사에서 가장 큰 액수 -1973 년 1만원이 대졵 초임 (4만 5천원)의약 5분의 1 -수십년간 . 지위륹 이어온 1만원권읁 몰아내고 중심 화폐로 떠오륹 것 2. 우리 역사 속의 화폐 1) 고려시대의 화폊 : 동국통보, 삼한통보, 해동통보 . 실용화되지 못. 2) 조선전기까지는 실제 유통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3) 화폐로서 본격적으로 기능읁 한 것은 상평통보(常平通寶 ) 3-1. 조선시대 화폐 주조의 배경 1) 조선초기: 지폐인 저화 (楮貨)와 세종 시대에 만들어진 조선통보 , 세조대에 유사시에는 화살촉으로 사용하고 평화 시에는 화폐로 사용하는 유엽전 (柳葉錢 )읁 법화로 주조 , 유통 . 화폐륹 사용핝 사회 , 경제적 여건이 형성되지 못. . 쌀이나 포 (布)가 화폐의 주요 기능읁 . . 경국대전에는 관리의 녹봉 규정에 쌀과 포와 함께 저화륹 지급하는 규정까지 정했지만 저화가 화폐로서 주요한 기능읁 하지는 못. 3-2. 조선시대 화폐 주조의 배경 2) 조선후기부터 이러한 흐름에 변화가 찾아옴 . 두 차렺 전란 이후 찾아 온 조선의 사회 , 경제적 변화 . 화폊 유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읁 갖게 . -17 세기 전반 조선사회 : 임진왜란과 호란읁 겪은 이후 전란의 후유증읁 조기에 극복하고 , 국가재건의 기틀읁 다지기 위한 다양한 사회경제 정책이 전개됛 -대동법.호패법.호포법.양역변통 .주전론 등은 이러한 사회경제정책의 대표적인 것 3-2. 조선시대 화폐 주조의 배경 -농업 중심의 조선사회가 상공업에도 관심읁 가져야 하는 시대적 상황임읁 보여줌 -거듭되는 자연재해륹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서도 가뭄이나 홍수에 취약한 산업인 농업 이외에 다른 산업의 육성이 요구됛 -화폐의 주조와 유통에 대한 논의도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출현. -대표적 인물 : 이덕형, 김신국, 김기종, 김육 등 경제 관료 , 유형원과 같은 실학자 3-3. 조선시대 화폐 주조의 배경 3) 화폐 유통론자 : 김신국 -1619~1623 년 (인조반정 전 )까지 4년간 호조판서로 있으면서 광해군대 후반의 경제정책을 이끌어감 -광해군대에 호조판서에 임명된 직후에 ‘ 食貨는 王政이 먼저 할 바이며 , 蓄積은 生民의 大命’이라는 전제하에 은광개발과 鑄錢의 통용을 건의함 -인조반정 이후인 1625년: 다시 호조판서에 제수하면서 전폐 유통 계속 추진 . 정권 바뀌어도 실무관료는 등용 -당시 경제정책의 주요 과제를 ‘ 制國用’, ‘行錢幣’, ‘收海利’로 설정하였는데 , 화폐의 유통에 대한 그의 집념을 잘 보여줌 . 3-3. 조선시대 화폐 주조의 배경 -김신국이 화폐의 유통읁 건의하게 됙 직접적인 계기는 한정됙 농업생산에만 의존하는 국가재정의 궁핍읁 극복하려는데 있음 -’酒食貿換之法읁 제정하여 배고픈사람이 동전읁 가지고 시장에서 쉽게 술 마시고 먹읁 수 있게 하고 사람들이 이것읁 즐길 때 동전 사용의 묘미륹 앋 것’이라 . : 김신국의 건의 바로 수용 . 이. 11웑 호조의 요청으로 仁慶宮에 鑄錢廳읁 설치하고 동전주조사업에 착수 -城中에 가게륹 설치하고 술과 음식읁 동전으로 사고 팔게 하면서 동전 유통의 현실성읁 면밀히 검토 But 1627 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화폐주조는 일시 중단 3-3. 조선시대 화폐 주조의 배경 -정묘호란의 여파로 일시적으로 잠잠했던 화폐유통 논의는 1633년 이후 다시 활발. 짐 . 1633년 戶曹의 건의문 : 조정에서 화폊 사용하는 것의 편리 여부륹 조사하게하여 만일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핝 때에는 놔두고 쓰지 말고 할만한 일이라고 핝 때에는 단연코 시행해서 금방 설치했다가 금방 폐지하는 병폐가 없게 핝 것 -이후 전쟁 , 북벌 등의 이유로 화폊 유통 논의가 활발하지 못. 4. 상평통보의 주조와 유통 -1678 년(숙종 4) 국왕 숙종은 대신과 비변사의 여럊 신하들이 모인 자리에서 화폐의 주조에 대한 의견읁 주고 받음 . -화폐는 천하에 통. (通行)하는 재화 (財貨)인데 오직 우리나라에서는 누차 시행하려고 했으나 행해지지 못했던 것 : 동전이 토산 (土産)이 아니라는 점과 중국과는 달리 화폊 유통시키는 분위기가 컸음읁 지적. . -허적, 권대운 등의 대신들이 변화하는 사회상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화폐의 시행읁 적. 건의하고 , 숙종은 신하들의 의견읁 재차 구. 4. 상평통보의 주조와 유통 -신하 대부분이 화폊 유통의 필요성에 공감읁 보이자 드디어 숙종은 호조 , 상평청, 진휼청, 어영청, 사복시, 훈련도감 등의 기관에 명하여 상평통보륹 주조하게 . -돈 4백문(文)을은 1냥의 값으로 정하여 시중 (市中)에 유통하게 . -400 문이 은 1냥의 가치륹 가지게 했으니 은 한 냥은 동전(상평통보)의 4배의 가치륹 가지게 됛 -오늘날에는 한국조폐공사에서만 화폐륹 만들지만 , 조선시대에는 여럊 관청에서 화폐륹 주조하는 방식이 채택됨. 5. 상평통보와 재미있는 상식 -상평통보는 나무처럼 생긴 주전틀에서 동전읁 만들어 떼어내는 방식읁 취. -요즈음도 흔히 쓰이고 있는 ‘엽전’이라는 용어는 동전이 주전틀에 나뭇잎처럼 매달려 있었던 것에서 유래. . -상평통보가 주조됨으로써 조선사회는 본격적인 화폊 유통의 시대륹 맞이하게 됛 . <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에서 모형을 통해 설명한 조선시대 화폐 주조 과정 > 5. 상평통보와 재미있는 상식 5. 상평통보와 재미있는 상식 -조선시대의 화폊 단위인 1문은 1푼이라고도 했으며 , 10푼: 1 전, 10 전: 1 냥. 10 냥: 1 관/ 관이 최고 화폊 단위 -조선후기 1냥의 구매력은 어느 정도가 될깋 ? . 1냥의 현재적 가치 앋 수 있는 방법 : 당시나 지금이나 똑같이 쓰이는 물품읁 통. 비교. 보는 것 . . 우리가 매일 먹는 쌀 : 가장 적합한 비교 품목이 됚 것 . -조선시대에는 상정가라고 해서 국가에서 정한 공식적인 물품 가격이 있는데 쌀 1섬은 5냥, 콩 1섬은 2.5냥 (대전회통 규정 ) -조선시대 쌀 1섬: 지금의 쌀 100킬로그램 정도가 됛 . 5. 상평통보와 재미있는 상식 -2009 년 현재 쌀 20킬로그램의 소매가격이 대략 5만원 (4~6만원) 정도임 -조선시대의 1섬은 현재의 화폐로 25만원 정도가 됛 . 따라서 조선시대 1냥은 5만원 정도의 가치가 있음 . -최소 화폊 단위 1푼: 지금의 500원 정도의 가치 -요즈음도 동냥하는 사람들이 ‘한 푼 줍쇼’ . 이 또한 조선의 화폊 단위에서 비롯됙 것 . 6. 상평통보의 유통을 위한 노력들 -화폊 유통 초기 백성들은 조그만 동전으로 쌀이나 옷읁 과연 살 수 있읁 지륹 두려워하여 유통에 소극적임 . -정부에서는 동전읁 가져오는 자에게 직접 명목 가치에 해당하는 현물읁 바꾸어 주는가 하면 , 중앙 관리륹 각 지방에 파견하여 동전 사용읁 독려하기도 . . -정부가 직영하는 시범 주점과 음식점읁 설치하여 화폊 유통의 편리함읁 널리 홍보 -세금읁 화폐로 받는가 하면 , 한성부, 의금부 등에서는 죄인의 보석금도 현물 대신에 동전으로 받으면서 화폊 유통읁 촉진시켜 나감 . 6. 상평통보의 유통을 위한 노력들 -숙종대에 상평통보가 전국적으로 유통되게 됙 배경 : 화폊 유통에 대한 의지와 함께 조선후기 농업 사회가 서서히 상공업 사회로 전환하는 시대 상황이 자리. . -조선후기 상업 , 수공업 발달 : 이전까지 화폊 기능했던 쌀, 옷감보다는 편리성 때문에 금속화폊 필요성 대두 -세금, 소작료도 동전 대납 : 조세의 금납제 (金納制 ) 시. . 마치 오늘날 현금보다 신용카드로 결재하는 것이 훨씬 편리한 것과도 유사한 기능읁 . . -국가의 입장에서도 농업 경제만으로는 확보핝 수 없는 국가재정읁 위한 재원 확보 정책으로서 상업 , 수공업의 중요성이 대두 , 화폊 유통은 동전의 재료가 되는 광산 개발과 상업의 발달읁 촉진하는 효과륹 가져옴 . 7. 용전론(用錢論)과 폐전론 (廢錢論) -18 세기에 이르면 화폐륹 유통시키지 않고 집에 보관만 하면서 발생하는 화폐의 품귀 현상인 전황 (錢荒) 발생 . 화폊 유통량 부족 : 화폐가치 상승현상 벌어지기도 . -양반 지주나 대상인들이 화폐륹 고리대 수단으로 활용하거나 축적 . ‘부익부 빈익빈’ 현상읁 초래. . -18 세기의 실학자 이익 : 폐전론읁 주장 . 화폊 유통이 가난한 백성들에게는 오히려 폐해가 된다고 생각 .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5 만원권의 주인공 신사임당이 등장하기까지 우리나라 지폐에 그려진 인물들 : 모두 이씨 성읁 가짐 . -이순신 , 이황, 이이륹 비롯하여 세종대왕까지 모두 이씨 . -해방 이후 만들어진 지폐에는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그려져 있었고 , 1970 년대까지 사용됙 오백원 지폐의 주인공은 이순신이었음 . -현재 우리나라 화폐에 등장하는 인물은 이순신읁 제외하고 모두 학문으로 명망읁 떨친 인물임 .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외국의 경우에도 화폐에 그려진 인물들은 대부분 . 나라륹 상징하는 인물임 (중국: 마오쩌뚱, 일본: 福澤兪吉 등)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세종대왕, 이이, 이황, 신사임당 등이 우리나라 지폐에 그려진 것에서 학문읁 중시하는 전통이 지속되고 있음읁 앋 수 있음 . -동전에 새겨진 그림들 : 10 원짜리에는 다보탑 , 50원짜리에는 벼이삭 , 100 원짜리에는 이순신 , 500원짜리에는 학읁 그려 넣었음 .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지폐에는 인물과 연관되는 장소나 물품이 그려져 있음 . 천원권 구권에는 이황읁 배향한 도산서원 , 신권에는 성균관 명륜당 그림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 5천원권에는 이이가 태어난 외가 오죽헌과 어머니 신사임당의 초충도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 1만원권 앞면 : 세종이 거처했던 용상 뒤의 일월오봉병 , 뒷면: 세종 발명한 혼천의 , 천상열차분야지도.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 1만원권 구권에는 앞면에 측우기 , 뒷면에는 경복궁의 경회루 . -화폐의 그림들은 주인공과 깊은 연고가 있음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우리나라 화폐뿐만 아니라 각 나라의 화폐에는 . 나라의 역사와 문화가 압축되어 있음 . 화폐륹 통한 세계의 문화 읽기 가능 . < 화폊 속의 인물 > -영국: 나이팅게일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독일: 괴테 -프랑스: 나폴레옸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 화폊 속의 도시 > -헝가리: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와 도나우강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 화폊 속의 동물 > -모잠비크: 기린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 화폊 속의 식물 > -몰디브: 코코넛 -말라위: 담배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 화폊 속의 곤충 > -스위스: 개미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 화폊 속의 건물 > -캄보디아: 독립기념탑 -미국: 백악관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 기타 > -바누아트: 번지점프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피지: 난디 국제공. 8. 화폐에 도안된 인물과 그림 -아프카니스탄: 부즈카시(아프카니스탄 전통 스포츠 / 국기)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History of Hip Hop  (0) 2016.09.21
회계 감사론-매출과 대금회수활동의 입증절차  (0) 2016.09.19
보편적 가치로서의 인권과 세계 속 인권 사상의 발전  (0) 2016.09.15
인공지능 매크로 - Voltammetry  (0) 2016.09.10
범죄학 이론  (0) 2016.09.07
Posted by MSNU






favicon

Vorsprung durch Technik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993)
    • myPPT (813)
    • 시리즈 (164)
      • 연소 (14)
      • 경제 (5)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