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지구와
별
지구가
둥근
증거
.
(1)
1. 먼
바다에서
항
구로
들어오는
배는
돛대부터
보인다.
2.
북쪽으로
갈수록
북극성의
고도가
높아진다.
지구가
둥근
증거
.
(2)
3. 월식
때
달에
비친
지
구의
그림자가
둥글다
.
4. 태양이나
달이
뜨는
시각은
동쪽으로
갈수록
빨
라
진다
.
5.한
방향으로
계속가면
출발지점으로
되돌아온다
.
6.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시야가
넓어진다
.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 측정
가정한 사실 :
1.지구는 완전한 구형이다 .
2.태양광선은 평행하다 .
측정방법
1. 두 막대를 같은 경도 상에 세운다
2. ℓ과 θ를 측정한다 .
3. < 2πR : 360°= ℓ : θ > 를이용하여 R을 구한
다.
망원경의
종류
구분
굴절망원경
반사망원경
구조
특징
두개의
볼록렌즈
오목거울과
볼록렌즈
역할
대물렌즈
.
천체에서
오는
빛을
모음
.
접안렌즈
.
상을
확대함
.
전파망원경
.
천체에서
나오는
전파를
관측하
는
장치
달
구분
특징
바다
어두운
부분
낮고
편평하다
.
고지
밝은
부분
높고
험준하다
.
달의
특징
1. 물과
공기가
없어
풍화
, 침식작용이
일어나지
않
는다.
2. 낮과
밤의
기온차가
크며
, 낮에도
하늘이
까맣다
.
태양
< 태양의 물리적 특징 >
1.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이다 .
2. 반지름은 지구의 약 109배인 70만km이다.
3. 질량은 지구의 33만 배인 2x1030 kg 으로 태
양계 전체질량의 99.8%
를 차지한다 .
4. 표면온도가 약 6000℃
태양의 표면 (광구) -흑점
1. 광구면에서 온도가 주위보
다 2000℃ 정도 낮아 다른
곳 보다 검게 보이는 부분
2. 동→서로 이동한다 .
[태양이 동→서로 자전 ]
3. 흑점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
는 정도가 다르다 .
[태양은 기체로 이루어짐 .]
4. 11 년을 주기로 개수가 증감 .
태양의
표면
(광구) -쌀알무늬
<쌀알무늬의
특징
>
.
태양의
광구면에
나
타나는
쌀알을
뿌려
놓은
듯한
무늬
.
태양
내부의
에너지
가
표면으로
나올
때
일어나는
대류현
상으로
생긴다
.
태양의
대기
채층
-광구
바로
바깥쪽의
분홍색을
띈
대기층
홍염
-태양
표면에서
가스의
일부가
폭발하여
생긴
불꽃모양의
채층
가스로
, 고리형, 분수형이
있다.
코로나
-채층
바깥으로
수백만
km까지
뻗쳐
있
는
청백색의
가스층
채층
홍염
코로나
태양계의
행성
-(1) 수성
1. 반지름이
약
2400km 이다.
2.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
성이다.
3. 대기가
없어
낮
(400 ℃)과
밤(-170 ℃)의
기온차가
매우
크다
.
4. 달과
같이
대기와
물이
없
고
표면에
수많은
운석
구
덩이가
있다
.
태양계의 행성 -(2) 금성
1. 반지름이 약 6100km 이
다.
2. 물이 없고 풍화된 암석
조각들이 깔려 있다 .
3. 두꺼운 이산화탄소의 온
실 효과로 표면온도가
470℃, 기압은 지구의
약 95배에 이른다 .
4. 지구와 가장 가깝고 가장
밝게 보여 샛별이라 부르
기도 한다 .
태양계의
행성
-(3) 화성
1. 반지름이
약
3400km
이다.
2. 양극에
물과
이산화탄
소가
얼어붙은
흰색의
극관이
있고
, 사계절
이
있어
계절에
따라
극관의
크기가
변한다
.
3. 큰
화산과
긴
협곡
, 말
라붙은
강
자국이
있
으며, 표면은
붉은
사
막으로
이루어져있다
.
태양계의
행성
-(4) 목성
1. 반지름이
약
70000km
로
태양계
행성
중
가장
크다.
2. 빠른
자전과
대기의
소
용돌이에
의해
표면에
는
가로줄무늬와
대적
점을
관찰할
수
있다
.
3. 16 개의
위성이
있다
.
4. 수소, 헬륨, 암모니아
등의
기체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계의
행성
-(5) 토성
1. 반지름이
약
60000km
로
태양계에서
두
번째
로
크다
.
2. 태양계에서
밀도가
가장
작다.
3. 태양계에서
위성이
가장
많다.
4. 얼음
덩어리와
암석조각
으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고리를
가지고
있다
.
태양계의
행성
(6)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1. 천왕성
.
연한
초록색을
띄
고, 자전축이
공전궤도면
과
거의
일치한다
.
2. 해왕성
.
푸른색을
띄며
,
대기의
소용돌이에
의해
생긴
크고
어두운
검은
점
이
있다
.
3. 명왕성
.
태양계에서
가장
작으며
태양에서
가장
멀
리
떨어져있다
.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태양계
내의
작은
천체들
행성
모습
특징
소행성
대부분
화성과
목성의
궤
도
사이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
혜성
주로
얼음과
먼지로
이루
어져있으며, 태양에
가까
울수록
꼬리가
길어진다
.
유성
천체
조각들이
지구중력
에
끌려들어와
빛을
내며
떨어지는
것
.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구분
반지름
질량
밀도
자전주기
위성
고리
지구형
행성
작다
작다
크다
길다
적다
없다
목성형
행성
크다
크다
작다
짧다
많다
있다
지구형
행성
.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형
행성
.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별자리
-(1) 북쪽하늘의
별자리
1. 별자리
: 별들을
몇
개씩
이어서
신화
속
인물
또는
사물의
이름을
붙인
것
.
▶
북쪽하늘의
별자리
북쪽하늘의
별자리는
언제든
지
관찰이
가능하다
.
북극성
: 시간과
계절에
관계
없이
항상
같은
자리에
있다
.
큰곰자리, 작은곰자리
, 카시
오페이아자리, 세페우스자리
등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
별자리
-(2) 봄철의
별자리
▶봄철의
대표적인
별자리
목자자리, 처녀자리, 사자자리, 까마귀자리
등
▶별자리
찾는
법
목자
자리의
아르크
투르스, 처녀자리의
스피카, 사자자리의
데네볼라를
꼭지점
으로
하는
봄철의
대삼각형을
찾는다
.
별자리
-(3) 여름철의
별자리
▶여름철의
대표적인
별자리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 궁수자리
등
▶별자리
찾는
법
백조자리의
데네브
,
거문고자리의
베가
,
독수리자리의
알타
이르를
꼭지점으로
하는
대삼각형을
이용한다.
별자리
-(4) 가을철의
별자리
▶가을철의
대표적인
별자리
페가수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물고기자리, 양자
리등
▶별자리
찾는
법
페가수스의
몸통에
해당하는
4개의
별을
이은
모양으로
각
꼭
지점의
연장선상에서
백조, 안드로메다, 물
고기, 물병자리를
쉽
게
찾을
수
있다
.
별자리
-(5) 겨울철의
별자리
▶겨울철의
대표적인
별자리
작은개자리, 큰개자리, 오리온자리, 쌍둥이자리
등
▶별자리
찾는
방법
사냥개의
프로키온
,
큰
개의
시리우스
,
오리온의
베텔게우
스를
꼭지점으로
하
는
삼각형을
이용한
다.
별의
관측
.
(1) 별의
밝기
▶별의
밝기
표시
.
별의
밝기는
등급으로
나타낸다
.
.
눈에
보이는
가장
밝은
별을
1등성, 가장
어두
운
별을
6등성으로
표시한다
.
.
1등성보다
밝은
별은
0등성,-1 등성…으로
표
시하고, 6등성보다
어두운
별은
7등성, 8 등성
…으로
표시한다
.
.
등급이
낮을
수록
밝은
별이고
, 높을
수록
어
두운
별이다
.
.
각
등급
사이의
별들은
3.5와
같이
소수로
나
타낸다
별의
관측
.
(2) 별의
등급
▶별의
등급에
따른
밝기차
등급차
1 2 3 4 5
밝기차
2.5 6.3 16 40 100
▶별의
밝기와
거리의
관계
별까지의
거리가
2배, 3 배, 4 배
…로
멀어지면
단위면적이
받는
빛의
양이
1/4, 1/9, 1/16…
배로
줄어들기
때문에
그만큼
어두워진다
. 즉,
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
별의
관측
(3)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
구분
의미
겉보기등급
(실시등급)
맨눈으로
본
밝기로
나타낸
등급
절대등급
모든
별이
32.6광년(10PC)의
거리
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의
등급
▶별의
등급과
거리
1. 실시등급>절대등급
: 10PC 보다
멀리
있는
별
2. 실시등급= 절대등급
: 10PC 에
있는
별
3. 실시등급<절대등급
: 10PC 보다
가까이
있는
별
성단과
성운
.
(1) 성단
구분
산개성단
구상성단
모습
의미
수십
∼
수백개의
별
들이
엉성하게
모
여있는
성단
수십만
∼
수백만
개의
별들이
빽빽
하게
모인
성단
별의
나이
젊다
늙다
별의
색
푸른색
붉은색
분포위치
은하의
나선팔
은하중심, 은하
밖
발견된
수
약
1000여
개
약
100여개
성단과
성운
.
(2) 성운
구분
발광성운
반사성운
암흑성운
모습
의미
별로부터
빛을
흡수하였다가
내보내는
성운
밝은
별빛을
반
사하여
밝게
보
이는
성운
가스나
티끌이
별빛을
가려
검
게
보이는
성운
특징
주로
붉은색
주로
푸른색
검게
보인다
은하수
▶은하수
: 무수히
많은
별들의
집단으로
맑은
날
밤하늘에
보이는
희미한
빛의
띠이다
.
▶은하수의
모양과
관측
1. 은하수는
하늘을
동에서
서로
휘감고
있어
서
남반구와
북반구에서
모두
관측된다
.
2.
은하수는
여름
밤에
잘
관측된다
.
3.
백조자리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고
, 남쪽으
로
가면
궁수자리에서
이르러
폭이
넓고
밝
아진다.
우리은하
모
양
-옆
:중심이
볼록한
원반형
-위
:소용돌이
모양을
한
긴
팔이
휘감고
있는
나선형
크
기
-지름
: 약
10만
광년
-은하
중심부의두께
: 약
1.5만
광년
특
징
-태양계의
위치
:
우리은하의
중심으로부터
약
3만
광년정도
떨어진
나
선
팔에
위치해있다
.
-우리은하의
중심
방향
:
궁수자리방향
3. 지구와
별
지구가
둥근
증거
.
(1)
1. 먼
바다에서
항
구로
들어오는
배는
돛대부터
보인다.
2.
북쪽으로
갈수록
북극성의
고도가
높아진다.
지구가
둥근
증거
.
(2)
3. 월식
때
달에
비친
지
구의
그림자가
둥글다
.
4. 태양이나
달이
뜨는
시각은
동쪽으로
갈수록
빨
라
진다
.
5.한
방향으로
계속가면
출발지점으로
되돌아온다
.
6.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시야가
넓어진다
.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 측정
가정한 사실 :
1.지구는 완전한 구형이다 .
2.태양광선은 평행하다 .
측정방법
1. 두 막대를 같은 경도 상에 세운다
2. ℓ과 θ를 측정한다 .
3. < 2πR : 360°= ℓ : θ > 를이용하여 R을 구한
다.
망원경의
종류
구분
굴절망원경
반사망원경
구조
특징
두개의
볼록렌즈
오목거울과
볼록렌즈
역할
대물렌즈
.
천체에서
오는
빛을
모음
.
접안렌즈
.
상을
확대함
.
전파망원경
.
천체에서
나오는
전파를
관측하
는
장치
달
구분
특징
바다
어두운
부분
낮고
편평하다
.
고지
밝은
부분
높고
험준하다
.
달의
특징
1. 물과
공기가
없어
풍화
, 침식작용이
일어나지
않
는다.
2. 낮과
밤의
기온차가
크며
, 낮에도
하늘이
까맣다
.
태양
< 태양의 물리적 특징 >
1.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이다 .
2. 반지름은 지구의 약 109배인 70만km이다.
3. 질량은 지구의 33만 배인 2x1030 kg 으로 태
양계 전체질량의 99.8%
를 차지한다 .
4. 표면온도가 약 6000℃
태양의 표면 (광구) -흑점
1. 광구면에서 온도가 주위보
다 2000℃ 정도 낮아 다른
곳 보다 검게 보이는 부분
2. 동→서로 이동한다 .
[태양이 동→서로 자전 ]
3. 흑점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
는 정도가 다르다 .
[태양은 기체로 이루어짐 .]
4. 11 년을 주기로 개수가 증감 .
태양의
표면
(광구) -쌀알무늬
<쌀알무늬의
특징
>
.
태양의
광구면에
나
타나는
쌀알을
뿌려
놓은
듯한
무늬
.
태양
내부의
에너지
가
표면으로
나올
때
일어나는
대류현
상으로
생긴다
.
태양의
대기
채층
-광구
바로
바깥쪽의
분홍색을
띈
대기층
홍염
-태양
표면에서
가스의
일부가
폭발하여
생긴
불꽃모양의
채층
가스로
, 고리형, 분수형이
있다.
코로나
-채층
바깥으로
수백만
km까지
뻗쳐
있
는
청백색의
가스층
채층
홍염
코로나
태양계의
행성
-(1) 수성
1. 반지름이
약
2400km 이다.
2.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
성이다.
3. 대기가
없어
낮
(400 ℃)과
밤(-170 ℃)의
기온차가
매우
크다
.
4. 달과
같이
대기와
물이
없
고
표면에
수많은
운석
구
덩이가
있다
.
태양계의 행성 -(2) 금성
1. 반지름이 약 6100km 이
다.
2. 물이 없고 풍화된 암석
조각들이 깔려 있다 .
3. 두꺼운 이산화탄소의 온
실 효과로 표면온도가
470℃, 기압은 지구의
약 95배에 이른다 .
4. 지구와 가장 가깝고 가장
밝게 보여 샛별이라 부르
기도 한다 .
태양계의
행성
-(3) 화성
1. 반지름이
약
3400km
이다.
2. 양극에
물과
이산화탄
소가
얼어붙은
흰색의
극관이
있고
, 사계절
이
있어
계절에
따라
극관의
크기가
변한다
.
3. 큰
화산과
긴
협곡
, 말
라붙은
강
자국이
있
으며, 표면은
붉은
사
막으로
이루어져있다
.
태양계의
행성
-(4) 목성
1. 반지름이
약
70000km
로
태양계
행성
중
가장
크다.
2. 빠른
자전과
대기의
소
용돌이에
의해
표면에
는
가로줄무늬와
대적
점을
관찰할
수
있다
.
3. 16 개의
위성이
있다
.
4. 수소, 헬륨, 암모니아
등의
기체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계의
행성
-(5) 토성
1. 반지름이
약
60000km
로
태양계에서
두
번째
로
크다
.
2. 태양계에서
밀도가
가장
작다.
3. 태양계에서
위성이
가장
많다.
4. 얼음
덩어리와
암석조각
으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고리를
가지고
있다
.
태양계의
행성
(6)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1. 천왕성
.
연한
초록색을
띄
고, 자전축이
공전궤도면
과
거의
일치한다
.
2. 해왕성
.
푸른색을
띄며
,
대기의
소용돌이에
의해
생긴
크고
어두운
검은
점
이
있다
.
3. 명왕성
.
태양계에서
가장
작으며
태양에서
가장
멀
리
떨어져있다
.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태양계
내의
작은
천체들
행성
모습
특징
소행성
대부분
화성과
목성의
궤
도
사이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
혜성
주로
얼음과
먼지로
이루
어져있으며, 태양에
가까
울수록
꼬리가
길어진다
.
유성
천체
조각들이
지구중력
에
끌려들어와
빛을
내며
떨어지는
것
.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구분
반지름
질량
밀도
자전주기
위성
고리
지구형
행성
작다
작다
크다
길다
적다
없다
목성형
행성
크다
크다
작다
짧다
많다
있다
지구형
행성
.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형
행성
.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별자리
-(1) 북쪽하늘의
별자리
1. 별자리
: 별들을
몇
개씩
이어서
신화
속
인물
또는
사물의
이름을
붙인
것
.
▶
북쪽하늘의
별자리
북쪽하늘의
별자리는
언제든
지
관찰이
가능하다
.
북극성
: 시간과
계절에
관계
없이
항상
같은
자리에
있다
.
큰곰자리, 작은곰자리
, 카시
오페이아자리, 세페우스자리
등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
별자리
-(2) 봄철의
별자리
▶봄철의
대표적인
별자리
목자자리, 처녀자리, 사자자리, 까마귀자리
등
▶별자리
찾는
법
목자
자리의
아르크
투르스, 처녀자리의
스피카, 사자자리의
데네볼라를
꼭지점
으로
하는
봄철의
대삼각형을
찾는다
.
별자리
-(3) 여름철의
별자리
▶여름철의
대표적인
별자리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 궁수자리
등
▶별자리
찾는
법
백조자리의
데네브
,
거문고자리의
베가
,
독수리자리의
알타
이르를
꼭지점으로
하는
대삼각형을
이용한다.
별자리
-(4) 가을철의
별자리
▶가을철의
대표적인
별자리
페가수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물고기자리, 양자
리등
▶별자리
찾는
법
페가수스의
몸통에
해당하는
4개의
별을
이은
모양으로
각
꼭
지점의
연장선상에서
백조, 안드로메다, 물
고기, 물병자리를
쉽
게
찾을
수
있다
.
별자리
-(5) 겨울철의
별자리
▶겨울철의
대표적인
별자리
작은개자리, 큰개자리, 오리온자리, 쌍둥이자리
등
▶별자리
찾는
방법
사냥개의
프로키온
,
큰
개의
시리우스
,
오리온의
베텔게우
스를
꼭지점으로
하
는
삼각형을
이용한
다.
별의
관측
.
(1) 별의
밝기
▶별의
밝기
표시
.
별의
밝기는
등급으로
나타낸다
.
.
눈에
보이는
가장
밝은
별을
1등성, 가장
어두
운
별을
6등성으로
표시한다
.
.
1등성보다
밝은
별은
0등성,-1 등성…으로
표
시하고, 6등성보다
어두운
별은
7등성, 8 등성
…으로
표시한다
.
.
등급이
낮을
수록
밝은
별이고
, 높을
수록
어
두운
별이다
.
.
각
등급
사이의
별들은
3.5와
같이
소수로
나
타낸다
별의
관측
.
(2) 별의
등급
▶별의
등급에
따른
밝기차
등급차
1 2 3 4 5
밝기차
2.5 6.3 16 40 100
▶별의
밝기와
거리의
관계
별까지의
거리가
2배, 3 배, 4 배
…로
멀어지면
단위면적이
받는
빛의
양이
1/4, 1/9, 1/16…
배로
줄어들기
때문에
그만큼
어두워진다
. 즉,
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
별의
관측
(3)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
구분
의미
겉보기등급
(실시등급)
맨눈으로
본
밝기로
나타낸
등급
절대등급
모든
별이
32.6광년(10PC)의
거리
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의
등급
▶별의
등급과
거리
1. 실시등급>절대등급
: 10PC 보다
멀리
있는
별
2. 실시등급= 절대등급
: 10PC 에
있는
별
3. 실시등급<절대등급
: 10PC 보다
가까이
있는
별
성단과
성운
.
(1) 성단
구분
산개성단
구상성단
모습
의미
수십
∼
수백개의
별
들이
엉성하게
모
여있는
성단
수십만
∼
수백만
개의
별들이
빽빽
하게
모인
성단
별의
나이
젊다
늙다
별의
색
푸른색
붉은색
분포위치
은하의
나선팔
은하중심, 은하
밖
발견된
수
약
1000여
개
약
100여개
성단과
성운
.
(2) 성운
구분
발광성운
반사성운
암흑성운
모습
의미
별로부터
빛을
흡수하였다가
내보내는
성운
밝은
별빛을
반
사하여
밝게
보
이는
성운
가스나
티끌이
별빛을
가려
검
게
보이는
성운
특징
주로
붉은색
주로
푸른색
검게
보인다
은하수
▶은하수
: 무수히
많은
별들의
집단으로
맑은
날
밤하늘에
보이는
희미한
빛의
띠이다
.
▶은하수의
모양과
관측
1. 은하수는
하늘을
동에서
서로
휘감고
있어
서
남반구와
북반구에서
모두
관측된다
.
2.
은하수는
여름
밤에
잘
관측된다
.
3.
백조자리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고
, 남쪽으
로
가면
궁수자리에서
이르러
폭이
넓고
밝
아진다.
우리은하
모
양
-옆
:중심이
볼록한
원반형
-위
:소용돌이
모양을
한
긴
팔이
휘감고
있는
나선형
크
기
-지름
: 약
10만
광년
-은하
중심부의두께
: 약
1.5만
광년
특
징
-태양계의
위치
:
우리은하의
중심으로부터
약
3만
광년정도
떨어진
나
선
팔에
위치해있다
.
-우리은하의
중심
방향
:
궁수자리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