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내 에너지 현황
2. 세계 에너지 현황과 전망
3. 에너지시장 여건 변화
4. 에너지정책 방향과 추진 전략
5. 에너지 여건 변화 전망
차례국내에너지현황Ⅰ
세계에너지현황과젂망Ⅲ에너지시장여건변화Ⅱ
Ⅳ에너지정책방향과추진젂략Ⅴ맺음말
국내에너지현황Ⅰ
1
2000년대1차에너즞소비증가율둔화, 석유의존도즞속하락에너즞수입액은높은상승률즞속: ’11년총수입액의32.9%
.경제성장률 : 6.2%(’10) .3.6%(’11), ’10 년 1차 에너지 소비증가율 : 7.9%
’11년은경기둔화와전년의높은에너즞소비증가에따른기저효과.
에너즞소비증가율은전년보다낮은약3.4% 륹기.
즞표
1980 1990 2000 2011
(잠정)
연평귝증가율
(%)
’80
~’90
’90
~’00
’00
~’11
1차
에너즞
소비
(백만
TOE)
43.9 93.2 192.9 271.4 7.8 7.5 3.5
1인당
에너즞소비
(TOE)
1.15 2.17 4.10 5.45 6.6 6.6 2.9
석유의존도
(%) 54.9 50.6 43.5 38.7 ---
에너즞수입(억$) 66.2 109.1 378.9 1724.8 5.1 13.3 16.4
자료
: 즞경부, 2012 에너즞자원
주요통계
2
1,800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375.8 336.9 322.9 383.1
496.5
667
855.7
949.8
수입액(억$) 1414.8
911.6
1216.5
1725수입.(백만TOE)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잠정)
주요사항(’11)
.해외의존도 : 96.47%
.에너지수입액 : $1,725 억
.원유 중동의존도 : 87.1%
.총수입 중 에너지 비중 : 32.9%
.높은 에너지 해외의존도 : 국제 에너지 수급 및 가격 변동에 취약
에너즞가격상승으.최근에너즞수입액큰폭증가
3
원볁소비비중변화(1980 →1990 →2011, %)
.석유 .: 61.1 → 53.8 → 38.7%
.LNG .: 0 → 3.2 → 17.2%
.석탄 ..: 30.1 → 26.2 → 29.3%
.원자력 ..: 2.0 → 14.2 → 11.9%
.발전용 LNG 수요 증가로 ’11년 천연가스 소비는 전년 대비 8.27% 증가
가스, 원자력비중은증가, 석유의존도감소: 전력의안정공급에기여
.LNG와 원자력은 정부의 보급확대 정책으로 비중 증가가 두드러짐
0
50
100
150
200
250
300
1970 1980 1990 2000 2011
석탄석유LNG 수력원자력신재생및기타2011 년 1차 에너지 소비
(271.4 백만 TOE)
가스
17.2%
원자력
11.9%
수력
0.6%
석탄
29.3%
석유
38.7%
기타
2.3%
4
가정.상업
18.7%
산업
60.7 %
공공 .기타
2.2%
수송
18.4%
(200.2 백만 TOE)
2011 년 최종에너지소비
200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
백만TOE
1975 1981 1987 1993 1999 2005 2011
산업
가정.
상업
수송
공공.
기타
부문볁소비비중변화(1980 →1990 →2011, %)
.산업 .: 44.9 .48.1 .60.7%
.수송 .: 9.6 .18.9 .18.4%
.가정.상업 .: 40.7 .29.3 .18.7%
.공공.기타 .: 4.8 .3.7 .2.2%
’11년경기둔화와고유가즞속으.수송부문에너즞소비는정체산업부문은전력, 원료용에너즞, 도슺가스등읁중심으.견실한증가
5
도 입 공급 (1차 에너지 ) 전환·손실 소비 (최종에너지)
중동(87.1%)
.사우디(31.4%)
.쿠웨이트(12.7%)
.UAE(9.4%)
아시아(11.7%)
아프리카(0.3%)
호주·인니·캐나다
러시아·미국·호주
호주·중국·베트남
국 내 3.5%
2.5%
3.0%
11.9%
26.7%
17.2%
석 유
L N G
유연탄
무 연 탄
수력·신재생
926.8 백만 bbl
36.7 백만 ton
116.1 백만 ton
907.4 U ton
우라늄
8.8 백만 ton
2.9 백만 b/d
19.0 백만 ton
도시가스
열에너지
1,698.2 천 TOE
전 력
4,959.9 억Kwh
원자력
유연탄
LNG
석유
무연탄
수력
신재생 등
30.3%
39.8%
20.8%
5.2%
0.5%
1.6%
1.6%
산 업
60.7%
납사 등
산업원료
37.4%
가정상업
18.7%
수 송
18.4%
공공 2.2%
에너지 수입의존도 96.5%
(1,725 억$)
271.4 백만 toe
(100%)
71.2 백만 toe
[26.2%)
200.2 백만 toe
(73.8%)
원자력
정 유
38.7%
산 업
53.2%
가 정
13.5%
상 업
26.7%
공공
6.0%
수송
0.5%
전 력
원 유
카타르·인니·오만
세계에너지현황과젂망Ⅱ
1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소비
1차
에너즞
소비
: ’86년
73.3 억TOE에서
’11년
122.7 억TOE.
67% 증가
.
원별로 차지하는 비중은 석유 33%, 석탄 30%, 천연가스 23.6%, 수력 6.4%, 원자력 4.9%, 신재생 1.5% 순
자료: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12
원별세계1차에너지소비추이(단위: 백만TOE)
1
지역별 1차 에너지 소비
미국읁
제츶고
에너즞소비
1위에
오른
중국은
세계
소비의
21.3% 차즞
.
중국의 1차 에너지소비에서 석탄의 비중은 70%
34개의
OECD 회원국이
전세계
소비의
45%륹
차즞
지역별2011년1차에너지소비
단위: Mtoe
석유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
기타
합계
US 833.6 626.0 501.9 188.2 119.6 2269.3
Total North America 1026.4 782.4 533.7 211.9 219.0 2773.3
Total S. & Cent. America 289.1 139.1 29.8 4.9 179.6 642.5
Russian Federation 136.0 382.1 90.9 39.2 37.4 685.6
Total Europe & Eurasia 898.2 991.0 499.2 271.5 263.5 2923.4
Total Middle East 371.0 362.8 8.7 5.0 747.5
Total Africa 158.3 98.8 99.8 2.9 24.7 384.5
China 461.8 117.6 1839.4 19.5 174.8 2613.2
South Korea 106.0 41.9 79.4 34.0 1.8 263.0
Total Asia Pacific 1316.1 531.5 2553.2 108.0 294.5 4803.3
Total World 4059.1 2905.6 3724.3 599.3 986.3 12274.6
of which: OECD 2092.0 1386.1 1098.6 487.8 463.1 5527.7
Non-OECD 1967.0 1519.5 2625.7 111.5 523.1 6746.9
자료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12
IEA 세계에너지 장기 전망 (’11.11 월)
세계1차에너즞수요는’09~’35년사이에총40% 증가전망(신규정책슺나리오)
.중국과 인도가 수요 증가를 주도
.에너지 믹스 변화 : 석유 비중 감소 (’09년 33%.’35년 27%), 천연가스 (’09년 21%.’35년 23%),
신재생 크게 증가 (’09년 7%.’35년 14%), 원자력 (’09년 6%.’35년 7%)
동전망보고서에서원전감소슺나리오륹추가분석
.OECD 국가의 계획 중인 원전의 취소 , 비OECD 국가의 계획 원전 50%만 건설 , 수명연장 한도를 단축한 가정
.원자력이 전력믹스에서 차지하는 비중 : ’09년 13%.’35년 7% 로 감소
.원전 설비용량 감소는 석탄 , 가스, 신재생설비 용량 증가로 대체 , 전력부문 투자는 증가
.화석연료 사용증가로 온실가스 배출량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
2
< ‘35년 세계 1차 에너즞 수요 전망 > < ’35년 발전 비중 전망 >
백만TOE
’09 년 수요 ’35 년까즞 수요증가붂
(신규 정책 슺나리오 )
’09 년 발전. ’35 년 발전.
(신규 정책 슺나리오 )
’35 년 발전.
(원전감소 슺나리오 )
Ⅲ에너지시장여건변화
1
(1) 70 년대 석유위기 , (2) 80~90 년대 저유가 , (3) 2003 년 이후 신고유가 시대
’08년
7웑초
까즞
급등후
하반기
급락
, ’09년
이후
즞속
상승
, ’10년
8웑
이후
상승
가속
.
’10년 : 미국과 중국의 경기호조 , 달.화 약세 , 겨울한파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 즞속
.
두바이유: $141 (’08.7.4) → $36 (12.31) → $78 (’09.12.31) → $89 (’10.12.31)
’11년
이후
세계경기
침체
불구
, 중동불안
등으.
유가
강세기조
즞속
.
’12년 : (1 붂기 상승세 ) 이띾 핵문제 , 그리스 디폴트 우. 완화 , (2 붂기 하락세 ) 유로존 경제위기 심화 ,
이띾 핵협상 재개
.
두바이유: $92 (’11.1.4) → $119 (4.28) → $105 (12.30) → $123 (‘12.3.15) → $99 (7.27)
20
40
60
80
100
120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1 2012
1
’08년 고유가와 함께 석탄 , 가스 가격도 동반 상승 , ’08년 하반기 이후 유가하락과
함께 급락하였으나 , 최근 다시 상승세
천연가스, 석탄
공급계약
구조는
원유가격에
상당부분
연동
.
에너지가격의 열량기준 수렴이 시장원리
< LNG 및
유연탄
가격동향
>(단위: $/ton)
’07 ’08 ’09 ’10.4 ’10.10 ’11.4 ’11.10 ’12.4
국내
LNG 도입가
494.9 726.6 537.3 567.4 516.8 630.8 716.1 790.7
유연탄
79.4 149.99 81.34 109.2 111.7 136.9 129.88 115.14
높은 화석연료 비중으로 발전원가 상승
발전연료
구성
(’11) : 화석
vs. 비화석
= 66% : 34%
.
1차 에너지의 약 40%가 발전부문에 투입
.
발전원가 중 연료비 비중 : 원자력(15%), 유연탄(65%), 중유(85%), LNG(90%)
화석연료
가격상승
, 슺장불안에
대응핝
수
있는
전력수급체계
구축
필요
천연가스 시장 Megatrend 변화 전망 (1)
2
미국
셰읹가스
생산
증가와
아슺아
가스슺장
형성
예상
.
미국, ’35년 셰일가스 13.6 Tcf 생산(전체 가스생산의 49%)
.
’09년 이후 LNG 가격이 국제유가와 연동된 아시아 시장만이 LNG 프로젝트 수익성 확보
.
아시아 국가는 가스소비 증가로 수급밸런스 불균형이 심화되어 가스수입 증가 전망
Tcf
국가 생산(bcm) 소비(bcm)
수급밸런스
(bcm)
전년대비
소비증가율(%)
미국 611.0 (0.20) 683.4 (0.22) -72.4 6
EU 169.1 (0.05) 489.2 (0.15)
-
320.1
7
중국 96.8 (0.03) 109 (0.03) -12.2 22
읹본 --94.5 (0.03) -94.5 8
한국 --42.9 (0.01) -42.9 27
세계 3,193 (1.00) 3,169 (1.00) 24.3 7
셰일가스생산증가미국천연가스생산2010 주요국천연가스수급밸런스
천연가스 시장 Megatrend 변화 전망 (2)
2
셰읹가스
분포
및
개발
동향
.
셰일가스 자원은 세계 각 지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현재 채굴가능 매장량
에서는 중국이 미국을 크게 상회하면서 세계 최대 규모를 나타내고 있음
.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이 가장 활발한 이유는 많은 매장량과 함께 기술 진보 , 관련
제도 및 인프라 구비 등에 기인
자료: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셰읹가스전분포현황
주요국셰읹가스채굴가능량
즞역 국가 매장.
북미 미국(862), 멕시코(681), 캐나다 1,931
아프리카
모로코, 알제리, 튀니즞, 리비아,
모리타니, 서부 사하라, 남아프
리카 등
1,042
아슺아 중국(1,275), 인도, 파키스탄 1,404
남미
아르헨티나(774), 콜롬비아, 베네
수엘라, 볹리비아,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 파라과이
1,225
기타 유럽(624), 호주(396) 등 1,020
세계 6,622
자료: EIA ARI World Shale Gas Resources
천연가스 시장 Megatrend 변화 전망 (3)
2
셰읹가스
개발
확대의
영향
.아슺아및유럽에서의점유율하락.에너즞수출국으.서의영향력감소.셰읹가스생산증가는이띾의가스수출읁통한이익창출저핮.이띾천연가스에의존도가낮은미국의대이띾경제제제가용이핮질전망.셰읹가스생산증가에따른이익.중동에대한가스공급의존도감소.가스수요증가.럊슺아와의협력확대중국럊슺아이띾미국.셰읹가스생산증가에따른이익.중동에대한가스공급의존도감소
3
에너지안보 위협 증대
국가간
에너즞
확보경쟁
가속화
.
중국의 집중적 유전매입으로 경쟁 촉발 , 유가상승으로 더욱 가열
.
미국, 일본, 중국 등 석유확보를 위한 전방위 외교전 전개
세계
석유산업의
새.운
구조개편
가능성
확산
.
미국 : 중동질서 재편과 세계 에너지시장 주도권 확보 시도
.
러시아, 베네수엘라 등 : 국영석유회사의 위상 강화를 통한 자원통제력 강화
자원확보가
에너즞
공급차원이
아닌
국가간의
패권전략으.
확대
.
에너지 전략화 확산 : 2006 년초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와의 가스분쟁
.
중ㆍ일 첨예한 대립 : 동러시아 송유관 및 통합가스관 노선 갈등
.
중앙아시아, 카스피해 자원을 둘러싼 중국 , 유럽의 미국 견제 가시화
.
중동 및 북아프리카 정정 불안 , 이란 제재 강화 조치 등으로 E&P 사업 환경 불확실성 증폭
자원보유국의
자원개발
사업환경
불확실성
증대
3
자원민족주의 확산
자원보유국(Host Country) 의
수익즞분
확대
.
조세, 로열티 인상 , 높은 보너스 요구
.
합작기업의 외국인 지분제한
※ 볼리비아 외국인 즞붂 18%까즞만 인정(’06년 5웑)
생산물분배계약(PSA) 슺
산유국
즞분
확대
.
앙골라 : 심해유전의 PS계약에 대한 정부 취득분을 90%까지 확대
외국인
기업
접근
제한
.
외국인 기업의 신규 석유개발 불허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
.
외국인 지분이 높은 기업에 양질의 광구 분양 제한
자원읁
전략적으.
홙용
.
국가의 대외 안보전략의 중요한 수단 (대부분 반미 , 서방견제수단)
※ 베네수엘라, 카자흐스탄, .슺아 등
`러시아의자원은국가의경제발전의근간일뿐만아니라세계에서러시아의위상읁담보하는데도활용되어야한다”
90년대초푸틴의페떼르스브르그광물대학원시젅논문中)
4
’12년종료되는교토의정서체제이후에대한.드맵선-개도국공동참여선진국: 측정,보고,검증가능한감축공약추진개도국: 적정감축행동계획마렦’05.2.16 발효: 191개국비준(’01.3 웑, 미국비준거부)
’08~’12년동안선진국의정량적온실가스배출량감축의무슺장원리에입각한온실가스감축수단도입(공동이행제도, CDM, 배출권거래제)
’13년이후(post-2012) 교토의정서존속과’21년이후(post-2020) 모든당사국이참여하는기후변화체제설립에합의* Ad Hoc Working Group on the Durban Platform for Enhanced Action
.Post-2020 체제는 새로운 협상트랙인 AWG-DP* 에서 논의
Post-2020 체제에관하여전통적인선진국-개도국구분읁명기하즞않고모든당사국에적용됙다는점만언급
온실가스 배출량 : 607.6 백만톤( 09), 이중 에너지부문이 CO2배출의 84.9%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15
백만톤폐기물
0
60
600 84.9%
9.3%
3.3% 2.5%
에너지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지속 증가
온실가스배출: 90년296.4 백만톤에서09년607.6 백만톤으.2배이상증가에너즞부문의CO2 배출세계9위( 09년)
4
4
1990 2005 2020
813
594
298
642
590
569
① ② ③ 국무회의(`09.11) 에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최종 결정
20년 배출전망 대비 30% 감축 추진
국제적으로 권고하는 최고 수준 채택
* IPCC 4 차보고서 : 개도국 15~30% 감축 권고
연도별(2012, 2013, 2015, 2020 년) 감축 경로 제시
다양한 모형 (LEAP, MESSAGE, MARKAL) 및 기술 DB를 활용한 과학적 분석체계 구축
* BAU 대비 감축률 : 12 년 △1.6%, 13 년 △3.3%, 15 년 △10.0%, 20 년 △30% (산업부문은 △18.2%)
지경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 공동작업을 통해 부문별 (7개 )· 업종별 (25개) 감축목표 설정
업종별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후속조치로 감축지원 방안 등 마련
Ⅳ에너지정책방향과추진젂략
1
에너지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에너지비전
2030
1970’s1980’s1990’s2000’s에너지 안정공급
에너지효율 향상
시장규제 완화
지속가능 발전
.녹색성장 견인
에너지원 다변화
(원자력,석탄,LNG)
2
국가단위의 스마트그리드
녹색에너지 기술역량 강화
신재생에너지 성장동력화
원전 공급 능력 확충 및 수출산업화
에너지원단위 개선
에너지가격체계 개편
공격적 국내외 자원개발
흔들림 없는 에너지 안정공급
에너지산업 시장경쟁 활성화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효과적 달성
G20시대의 전략적 에너지다자협력
더불어 사는 에너지복지
에너지
VISION
2050
0.20
0.30
0.40
0.50
0.10
0.00
0.24
한국
우리나라 에너지
원단위는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
※OECD 국가 중 29위
0.19
0.17
미국
0.17
0.14
OECD
0.11
프랑스
0.13
0.10
독일
0.11 0.08
영국
0.09 0.10
일본
0.120.14
시장환율(2005 USD) 기준 원단위
구매력지수(PPP) 기준 원단위
우리나라 에너지원단위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OECD 평균의 1.75 배
총에너즞원단위(TOE/ 천$, ’11년) : 한국0.244, OECD 0.139(IEA 자료기준)
제조업의높은에너즞원단위는에너즞다소비산업비중이높은데기인
.한국의 비금속 , 철강, 석유화학부문 에너지소비 비중 (11년) : 최종에너지 소비의 41.8%
우리나라의 에너지효율 구조
3
(2011 년 기준 , TOE/ 천$)
자료 : Energy Balance of OECD Countries, 2012 Edition (IEA)
4
’07년이후3년간신재생에너즞분야매출액6.5배, 읹자리3.7배, 수출액7.3배증가
.신재생에너지 시장 매출액 : 1 조 2,500억원(’07) .8조 800억원(’10)
.신재생에너지 시장 고용 : 4 천명(’07) .1만 4천명(’10)
.수출액 : 6 억 2,500만 달러 (’07) .45억 3,500만 달러 (’10)
보급 현황
문 제 점
국내보급은 해외주요국에 비해 미미
-1 차 에너지는 연평균 3.4% 증가
’99년 이후 공급량 연평균 12.4% 증가
폐기물, 수력이 대부분 (83%)
’10년 공급비중 : 2.61% 덴마크
20.7%
독일
10.4%
8000
3.00% 프랑스
8.4%
생산량(천TOE)
7000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0.00%
0.50%
1.00%
1.50%
2.00%
2.50%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공급비중
수력11.6% 바이오11.0%
풍력2.6%
태양열0.4%
태양광2.4%
연료전지0.6%
폐기물70.9%
2.61%
3.2%
5.8%
한국일본미국
평가
4
신재생에너즞
공급비중은
점진적으.
증가하고
있으나
목표
달성률
다소
미흡
(%) 2008년
2009년
2010 2020 2030
목표
공급비중(A) 2.58 2.73 2.98 6.08 11.0
공급비중
실적(B) 2.43 2.50 2.61 --
A-B 0.15 0.23 0.37 --
자료: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2009~2030), 지식경제부, 2008.12
.
원별로는 태양광 , 풍력을 제외한 대부분의 원이 보급목표 달성에 어려움
.
목표와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어 향후 목표달성이 우려되는 상황
.
주요 원인 : 예산부족(’11년 목표대비 58%), 1차에너지소비 증가 , 각종 규제 및 민원으로
인한 입지확보 문제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급격한 성장에도 불구 세계수준과의 격차 상존
.
태양광 : 모듈 기술수준 선진국대비 70%, 실리콘원료 기술수준 선진국 대비 60%
.
풍력 : track-record 부족, 터빈 등 핵심부품 기술자립 부족
.
시장경쟁 심화 , 글로벌 경제위기로 인한 수요 위축 , 시장여건 악화 등 장애요인 증대
4
정책방향
제12차
녹색위
(’11.10) : 신재생에너즞
보급
확대
및
산업화
촉진읁
위한
비전
제슺, ’15년
세계
5대
신재생
산업
강국
달성
, ’30년
보급목표
11% 재확인
.생활체감/주민참여형 보급제도를 통한 민간수요 창출
.ODA, EDCF 와의 연계를 통한 개도국 시장 진출 확대
.관련기업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해외시장 개척
.전략분야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 지원
.기술표준화, 수출산업화
.대ㆍ중소기업 협력 R&D 확대를 통한 기술경쟁력 강화
.수직계열화 및 M&A 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 강화
.산ㆍ학ㆍ연 유기적 협력관계 구축
.민간ㆍ지자체 주도형 분야별 집적지 조성
국내외
시장기반 확대
핵심ㆍ원천기술 개발 ,
전략산업 육성
공생발전
기반 조성
신재생에너지
산업별 클러스터 조성
발전부문 현황
5
원전
발전비중은
30.3% .
석탄에
이어
2위의
발전원
(’11년)
.
원전 설비용량 (18,716MW, ’11년 10월 기준 )은 세계 5위
.
LNG 발전량 비중 : ’09년 15.1% → ’11년 20.8%
최근
기저설비
(원자력
및
석탄발전
) 부족으.
LNG발전
증가
합계: 79,342 MW 합계 : 496 TWh
원자력
(23.6%)
석탄
(30.5%)
LNG
(25.4%)
석유
(10.1%)
수력 기타
(10.4%)
원자력
(30.3%)
석탄
(40.3%)
LNG
(20.8%)
석유
(5.3%)
수력 기타
(3.7%)
발전설비 구성 (’12.6) 발전량 구성 (’11)
5
화석연료 고갈 대비 자원확보 용이
원전 연료수급 안정성
100만kW급 발전소 1년간 연료소비량 비교
원자력 LNG 석유 석탄
30톤 110만톤 150만톤 220만톤
원전연료의공급및가격안정성
.우라늄 매장 : 세계적으로 비교적 고르게 분포
.연료 비축량 : 원전 2년 이상 가동 가능 (화력발전은 최장 2~3개월에 불과 )
.가격변동 영향 : 우라늄 가격 100% 상승 시 , 원전 발전원가는 약 4% 상승
5
전원개발 목표 (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
원전 설비비중 : 23.3% (’10) → 40.6% (’30)
< 전원구성
목표
>
발전원 LNG 석탄 원자력
비중
(%)
2010 25.5 31.8 23.3
2030 17.9 30.9 40.6
원전설비용량(MW)
원전설비비중(%)
원전발전비중(%)
(35.5)
(31.1)
(48.9)
(59.0) ( )
’30’20’10’07
장기원전개발목표
수력 석유 LNG
39.2
136.19
225.9
67.22
유연탄
187
국민생활 안정에 크게 기여 경제적인 에너지
1982 2011
100
150
50
329% 상승
23.2% 상승
소비자 물가
전기요금
1982년 이후
소비자 물가 329% 상승
전기요금 23.2% 상승
정산단가(원/kWh, ’11년)
원자력
5
자료: 2012 년한국전력통계p.113
5
CO2 배출량
(단위: g/kWh)
1,200
900
600
300
석탄 석유 원자.
57 10
991
782
549
[CO2 emission by energy source (IAEA)]
LNG 태양광
전세계 CO2 배출량 10% 증가
만약 원자력 발전이
없었다면 ?
우리나라 CO2 배출량 23% 증가
( ’10년 1억4천만톤 ↑)
기후변화 대응
녹색성장이란?
국제 기대에 부합하는
국가위상 정립
환경과 경제의 선순환
삶의 질 개선 및
생활의 녹색 혁명
.환경과 경제 양축의 시너지 극대화
-산업구조 녹색화 및 청정에너지 확대
-녹색기술 개발 및 녹색산업 육성
.저탄소형 국토개발 , 생태공간 조성확대
.녹색교통체계.대중교통 활성화
.녹색소비를 통한 녹색시장 조성
.국제 기후변화 논의에
적극적 대응
.녹색 가교 국가로서
글로벌 리더십 발휘
6
녹색성장은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 新국가발전 패러다임 ’
그린에너지산업을 녹색성장의 핵심동력으로 추진 (‘08.8,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
기본 시나리오
기술혁신 시나리오
28Gt
62Gt
14Gt
48Gt
온실가스배출량(Gt CO2/년)
* 출처 : IEA
신재생에너지
청정연료
고효율 기기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 IGCC(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
CTL( 석탄액화) 및 GTL( 가스액화), CCS(CO2 포집, 저장)
LED, 전력IT, 에너지저장, 소형열병합, 히트펌프, 초전도
그린에너지산업의 개념
6
최근 해외 자원개발 투자 급증 경쟁국에 비해 자원개발 역량 미흡
.세계 64개국 505개 사업 진행 (’11년)
.투자비는 ’02년 5억불에서 ’11년 102억불로 증가
.세계 주요 원유수입국 중 자주개발률 저조
.인력, 기술력, 정보력 등 산업기반 미약
현황
에너지안보를위해에너지자주개발률을획기적으로제고* 석유.가스자주개발률(‘10) 10.8% .(‘12) 18%.(‘19) 30%
목표
2010(실적) 20192012
34.2만b/d
21.6만b/d
55.8만b/d
47.3만b/d
34.2만b/d
기존확보물량신규확보물량자주개발물량자주개발률10.8%
34.2만b/d
18%
55.8만b/d
30%
103.1만b/d
* 자료 : 제4차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
7
에너지시장의 효율화 및 합리적 가격체계
에너즞산업경쟁촉진, 진입규제단계적완화원가주의요금체계.전환에너지산업 해외진출 확대
내수중심의에너즞산업읁고부가가츶수출산업으.전환핮외에너즞플랜트, 발전사업(IPP), LNG 터미널건설사업확대에너지복지 강화
기초에너즞이용보장: 에너즞빈곤층제.화(’16), 차상위계층으.확대(’30년)
8
Ⅴ맺음말
그린에너지산업 급성장과 청정에너지 수요 증대
고유가 상황에서 에너지가격 변동성 확대
자원확보 및 에너지기술 투자의 경쟁 가속화
석유 등 전략자원 매입 및 해외기업 M&A 추진
에너지 효율성 제고와 녹색성장 기술 투자 확대
경제위기 극복 이후 글로벌 트렌드 선점을 위한 녹색뉴딜 경쟁
상류부문 투자 감소 및 지연 사태는 석유공급 능력 위축 초래
최근의 유럽 등 경제위기와 중동 정정불안 등 불안 요인 상존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천연가스 시장 급변 가능성
10년간(’07 ~ ’17) 연평균 12.6% 고성장
향후 10년간 약 130기 추진 (IAEA, 2008)
그린에너지 시장
원 전
’12년 하반기 두바이 평균 유가 약 $95/b 전망(에너지경제연구원, 기준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