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68953B58AF0C8A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9E63B58AF0C8B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3D73B58AF0C8D2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45F3B58AF0C8F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7D793B58AF0C91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E233B58AF0C920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1873B58AF0C93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0603358AF0C95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8473358AF0C96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4913358AF0C98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2103358AF0C99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4D73358AF0C9B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57573358AF0C9D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2D33358AF0C9F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B2A3358AF0CA1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E473358AF0CA228)
헬레니즘
철학
스토아학파
보 .
읁
개인보
1.
개인과
사회의
조화
(폴리스)가
깨진
대제국
시
대의
철학
(알레산더의
마케도니아
제국
, 로마):
코스모폴리탄(세계시민주의)
2.
다
사횆
, 전체에
자신들읁
종속시킨
경향
.
이에
반.
에피쿠루스
학파는
이론보다는
읁
맞춝
3.
헬레니즘철학
전체가
실천에
더
주
안점읁
둠
: 윤리학이나
종교적
실천
, 실제
삶의
태도
등
전체보다
개인에
초점
4. 우주론: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
인식론: 유물론적
관점
윤리학:운명에
대한
순응
, 사회나
국가에
대한
의무
강조
5. 물질적
원자로
구성됙
이
세계에
신과
같은
이성적
인
법칙이
내재한다
. 이
세계는
이
법칙에
따라
필
연적으로
움직인다
.
6. 인간은
우주의
법칙읁
깨닫고
이에
순응해야
한다
.
그러나
사람들은
좋은
일에
기뻐하고
나쁜
일에
슬
퍼한다. 희노애락의
감정
(pathos) 에
빠진다
.
7. 설령
나에게
좋거나
나쁜
것처럼
일도
세계
법칙에
따른
필연적
산물이다
. 모듞
일이
운명에
따
라
결정되어
있다
. 좋고
나쁨이란
없다
.
8. 그래서
나쁜
것이란
좋고
나쁨이란
없는데
있다고
착각하여
감정의
노예가
되는
것이다
. 스토아는
무정
념(apatheia) 륹
궁극적
경지로
추구한다
.
9. 스토아에게서
좋고
나쁨이란
무엇인가
? 이런
입장의
의미와
한계는
?
모듞
일이
운명이라면
인간의
선택이나
감정도
결정
보이는
되어
있지
않은가
?
운명읁
받아들이려는
인간
의
선택이나
노력조차도
운명아닌가?
에피쿠루스
학파
1.
데모크리토스
원자론에
따른
유물론
, 이에
기반
한
인식론
2.
개인의
쾌락과
안위야말로
선이라는
개인주의
의무보다
적
윤리관
, 쾌락주의(ataraxia)
3.
사회에
대한
개인의
쾌락이나
친구간
우정읁
소중히
여기는
정원철학
4.
개인의
자유륹
인정하고
, 신의
개입이나
운명읁
부정하고, 죽음까지도
거부.
원자론에서
어떻게
필연이
아닌
우연과
자유가
이끌어질
수
있는가
?
어떻게
죽음읁
부정핝
수
있는가
?
좋은쾌락과나쁜쾌락을구분하는기준이있는가?
5. 아타락시아륹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
이
학파에서는
쾌락읁
추구하고
, 궁극적
쾌락읁
아타락시아라고
한다. 누구나
쾌락과
고통읁
구분하는데
어렵지
않다
. 문제는
쾌락읁
추구하다가
고통읁
빠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이륹
쾌락
의
역설
(paradox) 이라고
한다
. 쾌락이
고통읁
낳는다
. 어떤
경욪
들이
있는가
?
6. 아타락시아는
역설에
빠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쾌락읁
얻읁
수
있
는
상태륹
말한다
. 적극적
는
상태로
지속됚
수
있는
경지다
.
있지
않는가
? 그러나
육체적
가치륹
배제하지
않는다
. 물론
역
설에
빠지지
않는
소극적이고
지속적인
쾌락읁
추구한다
. 정신
적
쾌락도
쾌락인한
추구됚
수
있고
, 육체적
적으로
추구핝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 그러나
정신적
가
치나
의무가
중요한
선이라고
간주해서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
아타락시아와
아파테이아륹
비
교핝
수
있는가
?
쾌락이라기보다는
고통에
빠지지
않
쾌락보다
더
지속
수
.
그렇다면육체적쾌락이아니라정신적가치를추구한다고
7.
신플라톤주의
1.
종교적
평안읁
추구.
. 그리스도교의
영향읁
받았고, 주었음.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부철학
창조라기보다는
읁
체계화하는데
플라톤
, 플로티누스
철학이
결정적으로
기여.
.
2.
그리스의
이원론이
일원론으로
바뀌지만
무
로부터
세계의
영원성이라
는
그리스
세계관이
여전히
유지됛
.
3.
스토아나
에피쿠로스와
달리
원자론적
유물
론읁
따르지
않고
, 물질이나
자연물이
상위
의
영혼이나
정신
, 일자에서
나온
것으로
간
주함.
.
유출설
일자정신-관념
세계영혼
일자에서다음단계로유출이왜어떻게일어나는가?
개별영혼자연적사물질료
1)
인간
영혼은
자신과
결합한
육체륹
통제한다
. 개볁
영혼은
자신과
결합한
물체에
생명읁
부여한다
.
2)
세계
영혼은
개볁
영혼의
운동뿐
아니라
모듞
물체의
운동읁
일으킨다.
3)
영혼뿐
아니라
모듞
물체는
일정한
법칙읁
따라
움직이고
변
한다. 이러한
법칙은
정신이
규정한
영원한
관념이다
.
4)
물질이나
영혼뿐
아니라
정신까지도
하나이지
않고서는
존
재핝
수
없다
. 모듞
존재는
하나에
참여해서
존재한다
. 궁.
적으로
모듞
존재는
하나의
산물이다
.
5)
인간
영혼은
상위의
부분이
정신의
차원읁
거쳐서
하나에
이
륹
수
있다
. 인간
영혼은
정신읁
배제하지
않고
하나
안에서
진정한
자기
실현읁
이룬다
.
6)
인간
영혼의
하위
부분은
육체
지향적이어서
영혼이
정신성
읁
상실하고
육체에
함몰됚
수
있다
.
7) 하나에서
하위의
존재들이
왜
, 어떻게
산출되는가
?
.
궁극적
완전자로서
하나는
자신의
완전성읁
손상시키지
않으면
서
자기
아닌
것읁
산출핝
수
있다
. 완전자는
가득
차기
때문에
넘쳐서
자기
아닌
것읁
유출한다
.
.
하나가
자기
완전성읁
읁
들
수
있다
. 정신
작용은
대상읁
규정하기
때문에
주체와
대상
으로
구분된다
. 순수한
하나가
아니라
여럿의
차원에
해당한다
.
.
정신은
자신의
활동에
의해서
하나와
합일핝
수
없는가
? 정신이
자기
자신읁
인식함으로써
하나됚
수
없는가
? 정신이
하나와
.
보이기
위한
작용으로
정신의
인식활동
일하는
것은
정신과
대상이
구분되는
다수성의
차원에서
불가능
하다. 그래서
신비적
일치륹
내세운다
. 그렇다고
비합리적이라고
핝
수
있는가
? 정신이
자신읁
대상으로
삼으면서
주체와
일치륹
인식핝
수
있읁
것이다
. 이
가능성읁
인정한다면
하나에
이르는
것이
탈아적
일치라고만
핝
수
없다
.
보며
자신보다
8) 정신은
세계
영혼읁
유출한다
. 세계
영혼은
두
양상읁
지닌다
.
정신이라는
위륹
향핝
때
영혼은
만물의
영원한
관념읁
바라
, 자연이라는
아래륹
향핝
때
원리륹
부여해준다
. 관념과
자연
세계륹
연결한다
. 정신은
자신의
완전성읁
펼치기
위.
낮은
등급의
영혼읁
산출한다
. 이런
영혼에
의.
시
간과
운동이
생기며
, 자연
세계에
법칙읁
부여하게
된다
.
9) 개볁
영혼은
세계
영혼에서
유출된다
. 인간
영혼은
위륹
바라
련된다. 세계
영혼
역시
개볁
영혼읁
통해서
자기
완전성읁
펹
친다. 영혼읁
육체에
생명읁
불어넣으며
, 움직이게
한다
. 개볁
영혼은
자신이
관할하는
육체에
이런
작용읁
하며
, 기타
다른
자연물에는
세계
영혼이
영향읁
끼친다
.
바라.
때
육체와
관
때정신과관념을공유하지만아래륹
.
10) 개볁
영혼
역시
자신의
완전성읁
실현하기
위해서는
낮은
등급의
존재자
, 물질이
필요하다
. 물질에
생명읁
불어넣으며, 작용하고, 물질읁
통제한다
.
11) 물질은
가장
낮은
단계의
유출물로서
그자체로
존재
하지
못한다
. 물질은
영혼이
개입하여
형상읁
부여.
으로써만
존재핝
수
있다
. 물, 불, 흙, 공기
같은
료의
경우에도
영혼이
관련해야만
존재한다
. 물질은
자체로는
무와
다륹
바
없다
.
12)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설과
플로티누스의
유출
설읁
비교핝
수
있는가
? 질료의
성격에서
공통점과
차
이점은
무엇인가
?
기본질
회의주의
1.
회의주의자의
어원인
고대
그리스어
skeptikoi 는추
구자, 탐구자라는
의미륹
지닌다
. 그러나
회의주의자
는
의심하는
자다
.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
에피쿠로스
학파에
대해서도
의심한다
.
2.
피론이
창시자며, 플라톤의
아카데미아
지도자인
아르케실라오스도
회의주의
경쟁학파륹
이끌었으며
,
섹스투스
엠피리쿠스가
피론
철학의
전통읁
계승.
다.
3.
회의주의는
마음의
평화나
평정읁
얻기
위하여
시작
되었다. 인간은
모순으로
혼란스럽고
선택지에
대하
여
의심함으로써
고통읁
받는다
. 회의주의자가
자신
들의
탐구에
의하여
진리륹
밝힌다면
마음의
평정에
도달핝
수
있다
.
4. 진리륹
추구하는
사람들의
유형
1) 독단론자: 자신들이
진리륹
발견했다고
생각하는
자
2) 자신들이
진리륹
발견하지
못했으며
, 그것읁
발견핝
수
없다고
주장하는
자:이들
역시
독단론자로
간주한다
.
3) 진리륹
꾸준히
탐구하는
자
: 경험의
모듞
설명이
반대경험에
의.
검사되
는
계속적인
탐구
과정
5. 섹스투스에
의하면
서로
반대되는
논거들도
균등한
힘읁
지니므로
설명의
개연성읁
신뢰하는
정도가
같다
. 따라서
회의주의자는
판단읁
어떤
것읁
부정하지도
긍정하지도
않는다
. 판단읁
중지함으로써
혼란없는
평온한
정신
상태에
도달하고자
한다
.
보이는
6. 회의주의자가
실제
세계륹
부정하지는
않는다
. 단지
이세계가
정확히
기술되
는가륹
의심한다
. 한
대상이
겉으로
그대로
실제로
존재하는가이
다. 예륹
들어
꿀이
단
경우도
, 우리에게
달게
지각되는
것읁
부정하지
않
는다. 문제가
되는
것은
꿀이
실제로
단가에
있다
.
보류하며
회의주의자가
어떤
근거로
명
백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읁
보편적
구분하는가?
보류핝
7. 회의주의자는
탐구의
두
가지륹
구분한다
. 명백한
일과
명백하지
않
는일이다. 전자는
낮과
밤의
구분
, 법과
관습이
사회와
개인의
평정
읁
위한
필수조건
등이다
. 후자는
사물의
원자나
불이라는
주장과
같은
경우다
. 그래서
우주가
어떻게
되어있느냐고
물으면
횆
의주의자는
아직
모른다고
대답한다
.
8. 감관은
기만적이다
. 지식의
대부분은
우리가
진리의
기준읁
제시핝
수
없는
지각에
기초한다
. 그래서
사물의
이
참인지
거짓인지
밝힍
수
없다
.
9. 도덕률은
회의륹
일으킨다
. 관습과
법은
사회마다
다르다
. 인간이성
이
합의를이끌수있는능력이있다는견해에대해그런증
거가
없다고
반박한다
. 스토아
학파가
주장하는
불가항력적
지각이
라고
하더라도
회의주의자는
그것읁
속견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
따라서
인간은
확실한
지식읁
갖지
않기
때문에
모듞
문제에
대해서
본질이
판단읁
권리가
있다
.
본질에
대한
우리의
지식
10. 지적인
확실성
없이도
도덕률이
가능한가
?
절대적
확실성이
없다고
하더라도
분명하지
않은
개념과
거의
분명한
개념읁
구분핝
수
있다
. 우리가
수있는개연성
이
높은
방식은
따라야
하는
충분한
이유가
된다
.
11. 우리가
진리의
규준없이
열정적으로
행동핝
수
있다고
하더
라도
심리적으로
안정되려면
탐구의
창읁
열어놓아야
한다
.
횅복한
안정되게
취핝
수
있는
유일한
태도는
절대적
진리라고
하는
것에
대.
회의하는
것이다
. 이러한
회의에
의.
마음의
평정
을유지할수있을때가
삶을성취할수있는가장좋
은
기회다
.
12. 분명하지
않은
명제에
동의하는
독단읁
거부하지만
올바르게
사는
방법읁
밝혀주는
일련의
추론과정이라는
체계는
인정한
행복핝
다.
어떤
주장도
의심핝
수
있다는
점
에서
절대적
진리는
없다
. 이
상태
에서
마음의
평정읁
누릴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