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이론의 기초::한계효용이론::무차별곡선이론
소비자 이론
• 소비자 이론의 기초
• 한계효용이론
• 무차별곡선이론
소비자 이론의 기초
• 소비자 선택
– 소비이론은 소비자의 선택에 대한 이론
– 소비자가 추구하는 목표는 효용극대화와 합리적인 선택의 원리에 따라 무엇을 얼마나 소비할지를 결정하는 것
– 우리가 소비자 이론에 관심을 갖는 것은 상품에 대한 수요가 어떻게 결정되느냐를 알아내려는 데 있음
소비자 이론의 기초
• 효용의 개념
– 효용이란 소비자가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할 때 얻는 만족감의 척도
– 측정 방법에 따라 기수적 효용과 서수적 효용으로 구분
– 기수적 효용 : 측정치의 절대적인 수치가 의미를 갖는 효용
-> 한계효용이론에서의 가정
– 서수적 효용 : 측정치의 절대치는 의미가 없고 순서만이 의미를 갖는 효용 -> 무차별곡선을 이용한 효용이론
소비자 이론의 기초
• 효용함수
– 상품 묶음(소비재 묶음) : 한 사람이 소비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조합
– 효용함수 : 한 사람의 소비재묶음과 그것으로부터 얻는 총효용의 크기와의 관계, 즉 재화소비량과 효용의 관계를 함수형태로 나타낸 것
한계효용이론
• 한계효용이론의 기본개념
– 기수적 효용개념으로 소비자의 소비를 설명
– 1860년대 이후 한계효용학파 경제학자들에 의해 발전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을 소비자 이론의 주된 논리로 삼음
한계효용이론
• 기본가정
– 소비자의 합리성 : 소비자는 주어진 가격과 예산제약 하에서 효용극대화를 추구
– 기수적 효용 : 효용의 기수적 측정이 가능하다.
– 화폐의 한계효용 : 화폐의 한계효용이 일정하다.
– 한계효용의 체감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 성립한다.
한계효용이론
• 총효용(Total Utility, TU)
– 재화를 소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주관적 만족의 총량, 어떤 상품을 소비했을 때 느끼는 만족감
– 일반적으로 재화소비량이 증가하면 총효용은 증가
• 한계효용(Marginal Utility, MU)
– 재화소비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총효용의 증가분
– 한계효용은 총효용곡선의 접선의 기울기를 통해 구할 수 있음
한계효용이론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란 다른 재화 소비량이 일정한 상태에서 한 재화의 소비량이 일정단위를 넘어서면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그 재화의 한계효용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
– 한계효용이론에서는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을 일반적인 현상으로 가정
한계효용이론
• 총효용과 한계효용
– X재 소비에 따른 총효용과 한계효용
한계효용이론
• 총효용과 한계효용
한계효용이론
• 총효용과 한계효용
– 총효용과 한계효용 사이 다음과 같은 관계 성립
• MU>0 ⇔ TU 증가
• MU=0 ⇔ TU 극대
• MU<0 ⇔ TU 감소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은 X재를 2개 소비하는 시점부터 성립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 성립하는 구간이 한계효용이론에서는 의미를 가짐
한계효용이론
• 소비자 균형
– 소비자 균형이란 주어진 예산제약 하에서 효용을 극대화하는 상태를 의미
– 예산제약조건
– 소비자의 효용이 극대화 -> 한계효용균등의 법칙
한계효용이론
• 한계효용균등의 법칙(최적소비의 법칙)
– 각 재화가 1원어치의 한계효용이 동일하여 각 재화 소비량을 조절하더라도 총효용이 증가될 여지가 없을 때 소비자의 총효용이 극대화
– 즉, 성립시 효용극대화
– 예산 제약 하 소비자 균형을 찾기 위해서는 한계효용균등의 법칙과 예산제약식이 동시에 충족되어야 한다.
한계효용이론
• 수요곡선의 도출
– 소비자균형조건 성립
– X재의 가격이 하락하면
– X재의 구입량 증가, Y재 구입량 감소를 통해 효용을 증가시킬 수 있음
– X재 가격이 하락할 때 X재 구입량이 증가하므로 수요곡선이 우하향 -> 가격과 수요량의 역의 관계, 수요의 법
무차별곡선이론
• 무차별곡선이론
– 한계효용이론에서의 기수적 효용 개념은 효용을 기수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비현실적인 가정을 이용해 소비자이론을 설명
– 무차별곡선이론에서는 단지 선호의 순서만을 나타내는 서수적 효용개념을 이용해 소비자이론을 설명
– 무차별곡선이론에서는 무차별곡선과 예산선을 이용해 소비자균형을 분석
무차별곡선이론
• 예산제약
– 한정된 가용소득을 가진 소비자가 구입할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량은 제한될 수밖에 없음
– 이와 같이 한정된 소득으로 인하여 제한된 재화와 서비스의 수량을 나타내는 것이 예산선이다.
무차별곡선이론
• 예산제약식과 예산식
– 두 상품(X, Y)이 존재하고, 각 상품의 소비량은 X, Y
– 예산제약식 : , 여기서 M은 소득
– 는 첫번째 상품 X에 대한 지출액이고, 는 두번째 상품 Y에 대한 지출액으로 이들의 합은 가용가능소득 M 범위 내에 있어야 함을 의미
– 예산제약식은 주어진 가격과 소득 하에서 모든 소비가능한 상품묶음을 표시하는 소비가능영역을 뜻함
무차별곡선이론
• 예산제약식과 예산식
– 만약 소비자가 주어진 소득을 모두 소비할 경우 예산제약식은 다음과 같으며, 이를 예산식이라 함
– 이는 주어진 소득을 두 상품소비에 모두 지출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상품묶음을 표시
– 아래 영역은 소득의 일부를 지출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상품묶음
– 이를 통합하여 예산집합이라 함
무차별곡선이론
• 예산제약식과 예산식
무차별곡선이론
• 예산선의 기울기
– 예산선의 기울기의 절대값은 두 상품의 가격비율
– 소비자가 예산제약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상품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밖에 없는데, 예산선의 기울기는 X를 증가시킬 경우 예산제약을 만족시키기 위해 Y를 어떤 비율로 포기해야 하는가를 말해줌.
– 이는 X재 한 단위를 얻기 위해 Y재 몇 단위를 포기해야 하는가를 나타냄 -> 예산선의 기울기는 기회비용을 나타냄
무차별곡선이론
• 소득 및 가격변화와 예산선
– 소득변화 : 소득이 증가하면 예산선은 바깥쪽으로 평행이동하고, 소득이 감소하면 안쪽으로 평행이동
– 가격변화 : 재화가격이 변화하면 예산선의 기울기가 변화
– 소득과 가격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하면 예산식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예산선도 이동하지 않음
무차별곡선이론
• 소득 및 가격변화와 예산선
무차별곡선이론
• 무차별곡선의 개념
– 무차별곡선이란 소비자에게 동일한 총효용을 주는 모든 상품묶음을 그린 선
– 서로 다른 총효용수준을 나타내는 여러 무차별곡선들의 집합인 무차별곡선지도를 이용해 개별소비자의 효용함수 전체를 나타낼 수 있다.
무차별곡선이론
• 무차별곡선
무차별곡선이론
• 무차별곡선
무차별곡선이론
• 무차별지도
무차별곡선이론
• 무차별곡선의 성격
– 무차별곡선들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 교차한다면 한 상품묶음이 두 가지의 다른 효용을 준다는 뜻
• 한 상품묶음이 두 가지 다른 효용을 줄 수 없음
– 무차별곡선은 더 바깥쪽에 있을수록, 즉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더 높은 총효용 수준을 나타낸다.
– 무차별곡선은 우하향한다.
– 무차별곡선은 볼록한 모양을 갖는다.
• 한계대체율 개념과 관계
무차별곡선이론
• 한계대체율
– 한계대체율이란 동일한 효용수준을 유지하면서 X재 소비량을 1단위 증가시키기 위해 감소시켜야 하는 Y재의 수량을 의미
– 두 상품이 어떤 특정한 비율로 대체되면 소비자의 효용에 아무런 변화가 없을 때의 대체 비율
– 소비자의 주관적인 판단과 관련
– 무차별곡선 위의 한 점에서 잰 기울기, 즉 접선의 기울기의 절대값과 그 크기가 같음
무차별곡선이론
• 한계대체율
– 한계대체율
-> X재와 Y재의 한계효용비율로 나타낼 수 있음
무차별곡선이론
• 선호와 무차별곡선의 형태
– 개인 A의 무차별곡선이 개인 B의 무차별곡선보다 더 급경사로 주어졌다고 가정
– X재를 만큼 추가로 소비하기 위해 포기할 용의가 있는 Y재의 수량은 개인 A가 더 큼 -> A의 한계대체율이 B의 한계대체율보다 큼
– 이는 상대적으로 개인 A가 개인 B보다 X재를 더 중요시(선호)함을 의미
무차별곡선이론
• 예외적인 무차별곡선
무차별곡선이론
• 소비자 균형조건
–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이 서로 접하는 점에서 소비자의 효용극대화가 달성됨
– 무차별곡선의 기울기(한계대체율(MRS)) = 예산선의 기울기
– (한계효용균등의 법칙)
– 각 재화구입에 지출된 1원의 한계효용이 동일하도록 X재와 Y재를 구입해야 효용의 극대화가 달성됨을 의미
무차별곡선이론
• 소비자 균형조건
–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이 서로 접하는 점에서 소비자의 효용극대화가 달성됨
– 무차별곡선의 기울기(한계대체율(MRS)) = 예산선의 기울기
– (한계효용균등의 법칙)
– 각 재화구입에 지출된 1원의 한계효용이 동일하도록 X재와 Y재를 구입해야 효용의 극대화가 달성됨을 의미
무차별곡선이론
• 예외적인 경우
– 일반적으로 소비자 균형은 예산선 상에서 이루어지나 예외적으로 X축 혹은 Y축에서 소비자 균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음
– 이 때는 한계효용균등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으며, 구석해(corner solution)가 발생
무차별곡선이론
•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무차별곡선이론
•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
– 소득이 변화할 때 소비자균형점들의 궤적을 연결한 선을 소득소비곡선(ICC)이라 함
– 엥겔곡선이란 소득과 재화구입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소득소비곡선에서 도출됨
–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의 형태는 수요의 소득탄력성에 의해 결정됨
무차별곡선이론
•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
–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1이면 소득소비곡선은 원점을 통과하는 직선의 형태이다. X재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1보다 크면 소득소비곡선은 직선보다 완만한 형태이고, 1보다 작을 경우 직선보다 급한 형태임
무차별곡선이론
• 가격소비곡선과 수요곡선
– 재화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자균형점들의 변화경로를 연결한 선을 가격소비곡선(PCC)이라 함
– 가격소비곡선의 형태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의해 결정됨
• 비탄력적 : PCC 우상향
• 단위탄력적 : PCC 수평선
• 탄력적 : PCC 우하향
– 수요곡선은 가격과 재화수요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가격소비곡선에서 도출
무차별곡선이론
• 가격소비곡선과 수요곡선
–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일 경우 PCC는 수평선 형태이고,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큰 경우 PCC는 우하향 형태이며,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은 경우 PCC는 우상향 형태로 도출됨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토의정서,헬싱키의정서)란 무엇인가? (0) | 2014.02.24 |
---|---|
설득 법칙(심리학과 자료)::상호성,일관성,사회적 증거,권위,희귀성 법칙 (0) | 2014.02.11 |
Electromagnetic Metamaterial (MTM) (0) | 2014.02.05 |
지적재산권 위반사례 (0) | 2014.01.30 |
맥스웰 방정식 in 시변 전자계 (2) | 201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