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1.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수난
1-2. 일제의 침략과 국권의 피탈
1-3. 민족의 수난(일제의 식민통치)
1-4. 경제 수탈의 심화
오늘의 학습 발문
• 1910년대를 대표하는 일제의 경제 정책은?
• 1920년대를 대표하는 일제의 경제 정책은?
• 1930년대를 대표하는 일제의 경제 정책은?
• 일제의 전시 동원 체제가 강화된 계기는?
• 일제의 경제 수탈로 인한 농민 삶의 변화는?
• 일제의 경제 수탈로 이익이 증가된 계층은?
• 일제의 병참 기지화 정책의 내용은 무엇일까?
1910년대 경제 수탈(무단통치)
(1) 토지 조사 사업(1912~1918)
① 목적 : 지세 확보, 토지 약탈 (명분은 근대적 토지소유권 확립)
→ 식민 통치의 비용 마련
② 경과 : 토지조사국 설치(1910), 토지조사령 발표(1912)
③ 방법 : 당사자 증명, 기한부 신고제, 토지에 대한 소유권만 인정
④ 결과 : 총독부의 지세 수입 증가
→ 과세 면적 증가, 한국 농민의 부담 가중
총독부의 토지 약탈 → 동양척식주식회사 관리
→ 일본인 농업 이민 증가
토지의 소유권만 인정(지주 유리, 농민의 경작권 부정)
→ 기한부 계약의 소작농 전락
1910년대 경제 수탈(무단통치)
(2) 산업의 침탈
① 회사령(1910) : 회사 설립의 총독 허가제,
한국인 기업 및 민족 자본의 성장 억압 목적
② 기 타 : 산림령(1911), 어업령(1911), 광업령(1915),
임야조사령(1918)
③ 전매제 실시 : 조선총독부가 인삼・소금・담배 전매
1920년대 경제 수탈(문화통치)
(1) 산미 증식 계획(1920~1934)
① 배경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공업화 진전
→ 일본내 식량 부족, 쌀값 폭등
② 경과 : 토지개량사업 보조규칙 발표(1920)
③ 내용 : 수리조합 조직, 토지 개량(밭→논),
종자 개량 등으로 쌀 생산 늘려 일본에 반출
1925년 중단, 1926년 재개, 1934년 중단(대공황 영향)
1940년 재개(추진 곤란)
1920년대 경제 수탈(문화통치)
(1) 산미 증식 계획(1920~1934)
④ 결과 : 증산량〈수탈량 → 국내 식량 부족, 쌀값 폭등,
쌀 소비량 감소, 만주산 잡곡 수입
쌀 수출에 가담하면서 지주의 이익은 증가
→ 식민지 지주제 강화
수리조합비・품종개량비 등 증산 비용을 농민에게 전가
→ 농민 몰락(화전민, 토막민)
쌀 증산을 위한 벼농사 강요(밭→논)
→ 쌀 중심의 단작형 농업 구조로 변화
1920년대 경제 수탈(문화통치)
(2) 일본 자본의 침투
① 회사령 철폐(1920) :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전환,
일본 기업과 자본의 한국 진출 뒷받침
② 일본 상품의 관세 폐지(1923) : 일본 상품의 수입 증가,
한국인 기업 타격(→ 물산장려운동)
토지 조사령(1912)
(제4조) 토지 소유자는 조선 총독이 정하는 기간 내에 주소, 씨명, 명칭 및 소유지의 소재, 지목, 자번호, 사표, 등급, 지적, 결수를 임시 토지 조사 국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단 국유지는 보관 관청이 임시 토지 조사 국장에게 통지해야 한다.
(제6조) 토지의 조사 및 측량을 할 때, 조사 및 측량 지역 내의 2인 이상의 지주로 총대를 선정하고 조사 및 측량에 관한 사무에 종사하게 할 수 있다.
- 조선총독부 관보, 1912년 -
동척의 조선 이주민 모집 광고
조선은 기후와 풍토가 일본과 다름없고, 작물 종류와 재배 방법도 거의 같다. 단보당 수확은 일본인은 보통 현미 2~3석이다. 토지 가격은 조선총독부의 인가를 받은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단보당 70~80엔에서 300엔이다. 일본에서 1단보(매 300평)를 살 수 있는 금액으로 조선에서는 7단보를 살 수 있다. 토지 가격은 앞으로 더욱 오를 것이다. 회사로부터 양도받은 토지는 대개 철도나 일본인 부락 부근이다. 이미 회사가 경작하던 토지이기 때문에 홋카이도나 사할린 같이 새로이 개간된 토지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교통도 편리하고 수해와 한해 염려도 없다.
회사령(1910)
제1조 회사의 설립은 조선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제5조 회사가 본령이나 본령에 의거하여 발하는 명령과 허가 조건에 위반하거나 또는 공공질서와 선량한 풍속에 반하는 행위를 할 때 조선 총독은 회사의 해산을 명할 수 있다.
조선 산미증식계획 요강(1926)
일본 내 쌀 소비는 연간 약 6,500만 석인데 생산고는 약 5,800만 석을 넘지 못해 해마다 그 부족분을 제국 반도 및 외국의 공급에 의지하는 형편이다. 게다가 일본의 인구는 해마다 약 70만 명씩 증가하고 … 장래 쌀의 공급은 계속 부족해질 것이고, 따라서 지금 미곡의 증수 계획을 수립하여 일본 제국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진실로 국책상 급무라고 믿는다.
- 조선총독부 농림국, 1926년 -
1930년대 이후 경제 수탈(민족말살통치)
• 배경 : 대공황(1929) 확산, 일본의 군국주의화
→ 대륙 침략(만주사변1931, 중일전쟁1937)
(2) 농촌 진흥 운동(1932~)
① 배경 : 소작쟁의, 농촌계몽운동(민족주의),
혁명적 농민조합 운동(사회주의)
② 내용 : 조선총독부 주도의 관제 농민 운동,
생활 개선과 정신 계몽(자력갱생, 근검절약 강조)
③ 결과 : 농민의 긴축 생활과 납세 이행 독려, 농촌 통제 강화
1930년대 이후 경제 수탈 (민족말살통치)
(3) 남면 북양 정책(1934~)
① 배경 : 대공황 이후 선진국의 보호 무역, 일본의 공업 원료 부족
② 내용 : 남부 지방은 면화 재배, 북부 지방은 면양 사육 강요
③ 결과 : 할당량 강요로 농촌 피폐, 일본의 공업 원료 확보
(4) 병참 기지화 정책
① 배경 : 대공황 극복을 위한 침략 전쟁에 필요한 군수 물자 조달
② 내용 : 군수 물자 생산을 위한 공업화 정책
(북부 지방-중화학 공업과 광공업에 집중)
③ 결과 : 군수 산업의 기형적 팽창, 산업간・지역간 불균형 심화
전시 동원 체제 강화 (민족말살통치)
• 배경 : 침략 전쟁 확대(중•일전쟁 1937)
→ 인력과 자원 통제, 수탈 강화 (국가총동원법 1938)
(2) 물적 자원의 수탈
① 식량 수탈 강화 : 산미증식계획 재개,
미곡 공출 및 식량 배급(1940)
② 전쟁 물자 공출 : 금속 공출(농기구, 식기, 제기,
교회나 사원의 종까지 징발)
전시 동원 체제 강화 (민족말살통치)
(3) 인력의 강제 동원
① 노동력 동원 : 징용령(1939) - 노무동원(1939), 징용(1944)
② 병력 동원 : 지원병제(1938), 학도지원병제(1943),
징병제(1944)
③ 여자 정신 근로령(1944) : 여성을 강제 동원하여
군수 공장 등에 종사하게 함
④ 일본군 위안부 : 여성들을 군 위안부로 강제 동원하여
반인륜적 범죄 자행
대륙 병참 기지
첫째는 제국의 대륙 병참 기지로서 조선의 사명을 명확히 파악해야 하겠다. 이번 사변에 있어 우리 조선은 대중국 작전군에 대해 식량, 잡화 등 상당량의 군수 물자를 공출하여 어느 정도의 효과를 올렸다. 그러나 이 정도를 가지고는 아직도 불충분하며, 장래 어떤 큰 사태에 직면하였을 때, 가령 어느 기간 동안 중국 대륙 작전군에 대해 일본 내지로부터 해상 수송이 차단당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조선의 힘만으로 이를 보충할 수 있을 정도로 조선 산업 분야를 다각화해야 하며, 특히 군수 공업의 육성에 역점을 두어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미나미 총독의 대륙 병참 기지에 관한 훈시, 1938 -
국가 총동원법
제1조 국가 총동원법이란 전시에 국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의 전력을 가장 유효하게 발휘하도록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운용하는 것을 말한다.
제4조 정부는 전시에 국가 총동원상 필요할 때는 칙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제국 신민을 징용하여 총동원 업무에 종사하게 할 수 있다.
제7조 정부는 전시에 국가 총동원상 필요할 때는 칙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노동 쟁의의 예방 혹은 해결에 관하여 필요한 명령을 내리거나 작업소의 폐쇄, 작업 혹은 노무의 중지, 기타의 노동 쟁의에 관한 행위의 제한 혹은 금지를 행할 수 있다.
제8조 정부는 전시에 국가 총동원상 필요할 때는 칙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물자의 생산, 수리, 배급, 양도 기타의 처분, 사용, 소비, 소지 및 이동에 관하여 필요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제20조 정부는 전시에 국가 총동원상 필요할 때는 칙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신문지, 기타의 출판물의 게재에 대하여 제한 또는 금지를 행할 수 있다.
동아의 맹세(1941)
조선의 정치는 역대 총독이 오로지 일시동인의 뜻을 넓히는 데 힘을 썼던 것으로 겨우 30년 정도 사이에 대단히 진전되었다. … 그 중에도 농업과 광업의 진보가 뚜렷하고 근래에는 공업의 발달도 눈부시며 … 교육이 널리 퍼지고 문화가 발달함에 다라 풍속과 관습 등도 점차 일본과 차이가 없게 되고, 제도도 차례로 고쳐져 내선일체의 형체가 갖추어졌다. … 특히 육군에는 특별 지원병 제도가 생겨 조선인도 국방의 의무를 지게 되었는데 … 또 창씨개명이 허용되어 일본인과 똑같이 이름을 붙이게끔 되었다. 지금 조선 지방 2,300만 주민은 국민총력조선연맹을 조직하고 일제히 황국신민서사를 제창하여 신애협력하고, 내선일체의 성심을 나타내며 충군애국의 열기에 불타서 모두 한결같이 황국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 일제의 초등 국사 6학년 교과서, 1941년 -
신고산 타령
신고산이 우루루 화물차 가는 소리에
지원병 보낸 어머니 가슴만 쥐어뜯고요
어랑 어랑 어허야 양곡 배급 적어서 콩깨묵만 먹고 사누나.
신고산이 우루루 화물차 가는 소리에
정신대 보낸 어머니 딸이 가엾어 울고요
어랑 어랑 어허야 풀만 씹는 어미소 배가 고파서 우누나.
신고산이 우루루 화물차 가는 소리에
금붙이, 쇠붙이, 밥그릇마저 모조리 긁어갔고요
어랑 어랑 어허야 이름 석자 잃고서 족보만 들고 우누나
오늘의 학습 정리
• 1910년대 경제 수탈
– 토지조사사업 : 지세 확보, 기한부 신고제, 소유권만 인정
– 회사령 제정 : 회사 설립의 총독 허가제 → 민족 자본 성장 억압
• 1920년대 경제 수탈
– 산미증식계획 : 토지개량, 수리조합, 수탈량 多, 만주산 잡곡 수입
– 회사령 철폐 : 신고제로 전환, 일본 자본의 한국 진출 뒷받침
– 일본 상품 관세 폐지 : 일본 상품의 수입 증가
• 1930년대 이후 경제 수탈
– 농촌진흥운동 : 조선총독부 주도 관제 농민 운동, 농촌 통제 강화
– 남면북양정책 : 남부-면화, 북부-면양, 공업원료 확보
– 병참기지화정책 : 북부 지방 중화학 공업 중심의 군수산업화
– 전시수탈강화 : 국가총동원법(1938), 미곡공출, 징용, 징병
오늘의 학습 평가
• 1910년대 일제의 경제 정책 2가지는?
• 1920년대 일제의 경제 정책 3가지는?
• 1930년대 전반기 일제의 경제 정책 2가지는?
• 일제가 토지조사사업을 추진한 목적은?
• 일제의 경제 수탈로 인한 농민 삶의 변화는?
• 일제의 경제 수탈로 이익이 증가된 계층은?
• 중일전쟁 이후 물적 수탈의 대표적 내용은?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인의 음식문화 (1) | 2015.07.10 |
---|---|
충동조절장애(impulse control disorders) (0) | 2015.07.08 |
지구의 생성 (0) | 2015.07.04 |
BASH SHELL 배쉬 셀 (0) | 2015.07.02 |
사회복지의 역사 in 서양 and 한국 (0) | 201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