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현대시 - 시기별 단계

단계별 발전:

    1)17-21년:호적, 심윤묵, 유반농, 전현동, 유평백, 강백청, 곽말약 등 시험적 신시

    2)21-24년:문일다, 풍지, 서지마, 유대백, 사빙심, 주자청 등 예술적 단시

    3)25-37:이금발, 목목천, 왕독청, 주상 등 상징파의 정착, 곽말약,장광자, 가중평, 성방오 등 사회비판파가 공존

사조별 분류

    1)낭만파:곽말약

    2)인생파:주자청

    3)호반파:왕정지

    4)신월파:문일다,서지마

    5)프로파:장광자

    6)단시파:사빙심

    7)산문시파:노신

    8)新元白派:유반농,유대백

    9)新婉約派:풍지

   10)상징파:이금발

이론적 배경

호적의 ‘談新詩’(19.10):‘한정된 형식에는 무한한 내용을 담을 수 없다’

유평백의 ‘신시의 3대조건’:정확한 문장, 유창한 리듬, 심오한 논리

문일다의 ‘女神의 地方色彩’:음악미,외화미,건축미

유반농 ‘나의 문학개량관’:과거의 운법을 파기

전현동 ‘嘗詩集序’:사상혁명과 문학혁명의 공동보조

강백정 ‘신시에 대한 나의 견해’:시의 파격성과 자유성, 해방성

湖畔派-문학적 특징

‘我們可笑在湖畔, 我們可哭在湖畔’:

왕정지와 풍설봉:웃음과 울음 겸비

응수인:웃음

반막화:울음

주장청:‘반막화는 가장 슬프고 괴로원 참기 어렵고, 풍설봉은 훨씬 명랑하여 웃음이 많으나 눈물이 있고, 왕정지는 천진한 치기가 많고, 응수인은 너무 담담하여 싱겁다’

湖畔派-경향과 평가

생활상 : 서호의 아름다운 자연, 20년대의 신사조, 25년 5•30사건

5•4신문학이 배출, 개성의 해방, 순수, 동심

서정 단시

자연적 낭만적 소재(대자연, 어머니 사랑, 친구의 사랑, 남녀의 사랑)

시속의 자연은 의의화 수법


유파가 아니다. 단 공통적 특성을 유지

미와 애의 산수화

湖畔派-평가

유파가 아니다. 단 공통적 특성을 유지

미와 애의 산수화


象徵派-발생 배경

일찌기 번역을 통해 프랑스 상징주의와 시가 소개됨

25.2 이숙량(이금발)의 시가 [語絲]에 발표

그후 왕독정, 목목천,풍내초 등이 낭만주의에서 상징주의로 전향

조직이나 무대, 간행물이 없었다.

象徵派-발전과정

도입기(19년-24년) : 번역 소개. 주무 「프랑스 근세문학의 추세」, 이황 「프랑스 시의 격율과 그  해방」, 전한 「악마파 시인 보들레르 백주년 추도에」, 주작인 「시모니」, 서지마 「악의 꽃」

발전기(25-27)

        가)25.2월 이금발 [어사]에 시작발표

        나)27•8년 왕독청, 목목천, 풍내초,봉자,대망서,오야빈,후여화,임영강   

           등의 활동 

       다)이금발의 「微雨」, 「爲幸福而歌」, 「食客與凶年」, 왕독청의 「성모상 앞

          에서」, 목목천의  「女心」, 풍내초의 「紅紗燈」, 봉자 「銀鈴」, 호야빈의  

          「也頻詩選」 등

       라)분류 : 이금발의 창조적 시도 / 목목천,왕독청,풍내초 등 초기 상징파 

           / 호야빈,석민,임영강 등 모방시인

30년대 둔화된 전환기 : 현대파와 함께 현대주의의 수용, 수정. 31년 만주사변으로 민족주의 사실주의 발양으로 개인주의적 예술주의 퇴조. 

象徵派-이론적 내용

格律派와 短詩派에 대체와 공존:대체(격율시에서 상징시로 전이) / 공존(서지마가 영미의 격률시 수입, 이금발 프랑스 상징시 수입)

특징:

      1)영혼적 감각을 토로하는 주관주의

      2)격율의 구속을 타파한 자유주의

      3)깊은 음률과 리듬을 살린 음악주의

표현방법:

      1)형식상의 자유성

      2)음악상의 자연유로성

      3)감각상의 교착성

      4)시어상의 암시성

象徵派-이론적 내용

발생원인:

       1)20년대 중반 5•4의 냉각 뒤 감상적 배회와 퇴폐적 인습

       2)외국문학의 이질적 수용

       3)초기 신시가 전통시 굴레를 벗는 과정의 형식과 사상의 갈등


이금발과 후기 상징시인의 차이

       1)이금발이 음악성, 정제성 등 외재미를 소홀, 음악미와 형식미

        를 함께 중시

       2)낭만주의 상징주의의 예술방법을 융합, 서정성을 조절.

       3)이금발이 민족의 전통양식을 철저히 부정, 후진은 이를 증대.

       4)후기 작가들은 대개 좌련에 참가하여 현실주의 노선으로 선회.

新月派-발전과정

성격 : 1923년 서지마가 북경에서 사교모임으로 신월사 발기. 그후 매판자본주의 문학단체나 반동적 집단으로 매도되었다가, 80년대에 재평가를 받음

발전과정

      1)1기 발족기 : 23년 북경 新月社 발기-26.6 [現代

         評論]과 [晨報] 문화면에 「詩鐫」 운영.      

      2)2기 성장기 : 27년 상해 [新月書店]에서 [신월] 창

        간, 30년 4월 [詩刊] 창간.

      3)3기 쇠퇴기 : 31년 혁명문학의 팽배와 항일운동으

        로 전향과 이탈, 서지마의 사망, 33년 6월 [신월]의

        정간.

新月派-발전과정

참여인물 : 사교모임. 문일다,요맹간,주상,손대우,유몽위,건선예,양세은 등

주장 : 서지마 [신월의 태도]에서 자유의 원칙하에 건강과 존엄을 고수하고, 문학상 개인의 자유와 이상의 추구에 화해, 균제미를 설정.

쇠퇴원인:

       1)30년 좌련 발족으로 조직화된 사회주의 문학, 9.18사변후 항

         일문학

       2)문일다의 탈퇴와 이탈

격율시 제창의 배경 : 신시의 질적 침체. 시험적 창작 수준

이론과 특성:

       1)문일다 : 和解와 均齊->3美(음악미, 회화미, 건축미)

       2)두부꼴시, 모꼴시

現代派-발전단계

1단계 형성기 : 32년 5월 [현대] 창간 이전. 상징파와 신월파의 쇠퇴기로 공존. 대망서, 목목천, 우여화 등.

2단계 발전기 : [현대] 창간후 36년 10월 본격 현대주의 기치로 [新詩] 창간까지. 34년 10월 변지림 등의 [水星], 상해 35년 5월 [星火], 10월 [現代詩風], 36년 7월 [今代文藝]

3단계 성숙기 : 36년 [신시] 창간에서 37년 중일전쟁으로 항전문예기로 전환되기까지. 하기방, 이광전, 상백, 화금, 폐명, 서치, 신묘 등

40년대 초 신묘,두원섭 등 ‘구엽파’에, 50년대 말 대만 기현 등 ‘현대파’, 70년 대말 ‘朦朧詩派’ 등에 계승.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H SHELL 배쉬 셀  (0) 2015.07.02
사회복지의 역사 in 서양 and 한국  (0) 2015.06.29
전략캔버스 - 가치곡선  (0) 2015.06.24
RDF(S) : XML 비교  (0) 2015.06.21
남성 생식 질환  (0) 2015.06.19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