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화조명
학습목표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건축과 일체화되는
건축화 조명에 대해 이해하기
건축화 종류의 다양한 방식과 종류, 그 특성에
대해 살펴보기
공간에 많이 활용되는 건축화 조명의
연출 기법에 대해 알아보기
1. 건축화 조명이란? - 개념
1. 건축화 조명이란? - 특성
2. 건축화 조명 구분
3. 건축화 조명방식의 분류와 특성
복습 – 건축화 조명 정의
건축화 조명은 건축의 일부를 광원화한 것으로, 건축의 장식이
아니고, 건축의 중요한 일부를 이루는 조명설비이다.
건축화 조명의 초기는 간접조명이었다. 간접조명은 초기에는 빛을 상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접시로 이루어졌으나, 밝은 천장 아래에 컴컴한 그림자가 보이는 것은 좋지 않으므로 광원을 벽의 주름 속에 숨기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빛이 다소 편중되지만, 실내공간에 거치적거리고 깨지기 쉬운 조명기구가 매달려 있지 않는 점이 장점이다. 이와 같은 좋은 특성을 지니면서, 빛의 상태는 간접조명과 같이 불경제적이 아닌 광량조명이 사용되었다.
광량은 매우 긴 조명기구를 보의 형태로 보이게 한 것이므로, 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고 할 수도 있으나, 얼마 후에 매설식 기구가 나타남으로써 천장이나 벽을 전혀 요철 없이 완성시키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이와 같이 하여 건축공간은 조명기구 때문에 건축 형태를 바꾸어야 하는 일이 없게 되었으며, 조명과 건축이 일체화되었다. 더욱이 천장 전면을 젖빛 유리나 아크릴 등으로 덮고, 그 속에 전구나 형광램프를 설치하는 광천장방식이 출현하였다. 이것은 천장전면을 광원으로 하는 것으로, 대상에 대한 조명은 간접조명과 같으며, 조명 학상의 이상실현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복습 – 조명 종류 설명 Part 1
다운라이트 : 광원을 천장 안에 따로 넣어 천장의 작은
구멍에서 투광하는 천장 매입조명의 하나.
루버 : 천장 전면에 설치, 그 상부에 광원을 배치한 것.
경사방향에서는 루버의 보호각에 의해 광원이
직접 보이지 않게 설계하는 방식이다.
코브 : 광원을 천장이나 벽면에 달고 그 직접광을 일단
면의 벽이나 천장에 반사시켜 간접조명으로 하고
그 반사광에 의해서 채광하는 방법이다.
코니스 : 벽 등의 수직면 상부에서 아래로 향해 조명.
복습 – 조명 종류 설명 Part 2
밸런스 : 창이나 벽의 상부에 붙여서 커튼이나 벽걸이,
천의 조명 또는 보조 조명의 역할을 하게 되는
조명방식.
코너 : 천장과 벽면과의 경계가 되는 구석에 가구를
배치하여 천장과 벽면을 동시에 조사하면서
실내를 조명하는 방식.
광천장 : 루미나 실링이라고도 한다. 천장의 거의
전면을 조명으로 확산시켜 그림자 없는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
퀴즈 1
보통 조명기구를 쓰지 않고 천장, 벽, 기둥, 보 등 건축 구조체 중에 광원 조명기구를 부착시키거나 매입 등의 방식으로 설치하여 건축물 표면의 반사광에 의하여 채광하는 조명 방법은?
퀴즈 2
천장면 건축화 조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퀴즈 3
장식적인 조명에 해당하지 않는 장소는?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 집단의 유형::사회 조직의 의미와 특징::관료제의 의미와 특징 (5) | 2016.07.28 |
---|---|
화학사 (0) | 2016.07.23 |
반도체(Semiconductor)란? (0) | 2016.07.19 |
원소(기호).원자와 분자 (0) | 2016.07.13 |
강수 (Precipitation) (0) | 2016.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