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rsprung durch Technik

블로그 이미지

MSNU

구글의 역사 초창기 투자 및 IPO, 플랫폼 전쟁에서 누가 승리할 것인가?

myPPT 2013. 1. 18. 05:46

1. 다크호스 구글의 역사

(1) 구글의 시작

□ 1996년 1월, 스탠퍼드 대학의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래리 페이지가 연구 프로젝트로서 구글을 시작하였다.

□ 래리 페이지의 가까운 친구이자 같은 학과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세르게이 브린이 프로젝트에 합류했다.

□ 래리 페이지는 기존 방법에 비해 웹사이트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검색 엔진이 더 나은 결과를 산출해 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 보통 기존의 검색 엔진들은 특정 키워드가 웹페이지 내에 얼마나 많이 출현하는가에 따라 웹페이지의 순위를 매겼다.

□ 이 프로젝트의 원래 이름은 백럽(BackRub)이었다. 웹사이트의 중요도를 그 사이트로 연결되는 백링크를 따져 결정했기 때문이다.

□ 당시 리얀홍이라는 사람의 랭크덱스(RankDex)라는 작은 검색 엔진이 이미 같은 기법을 사용하고 있었지만 말이다.

□ 다른 관련 있는 웹페이지로부터 가장 많은 링크가 들어오는 페이지가 검색과 가장 관련 있는 페이지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이 가설을 그들의 연구를 수행하면서 시험해보았다.

□ 이 가설은 훗날 그들이 만든 검색 엔진의 기초가 되었다.

□ 초창기에 이 검색 엔진은 스탠퍼드 대학교 웹사이트를 이용하였는데, 도메인 이름은 ‘google.stanford.edu’었다.

□ 이후, 도메인 ‘google.com’은 1997년 9월 15일 등록되었다. 1998년 9월 7일, 페이지와 브린은 캘리포니아 주 먼로 파크에 있는 친구 집 차고에서 그들의 회사인 ‘Google Inc.’를 공식 창립한다.

□ ‘구글’이라는 명칭은 ‘구골’이라는 단어의 철자를 잘못 쓴 것이다.

□ 여기서 구골은 10100(1 뒤에 0이 100개 붙는다.)을 의미한다.

□ 2006년, 일상생활에서의 사용이 늘어나자, ‘구글하다(동사)’(google)가 메리엄 웹스터 사전 및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등재되었다.

- ‘구글하다(동사)’는 “구글을 이용하여 인터넷의 정보를 검색하다”라는 뜻이다.

□ 1999년 3월, 이 회사는 팰러앨토 유니버시티 애비뉴 165번지로 사무실을 옮겼다.

- 이 주소는 다른 실리콘 밸리 벤처기업들의 요람이라 말할 수 있을 만한 곳이었다.

- 두어 군데를 옮겨다니며 성장한 후, 1999년 구글은 마운틴 뷰 앰피시어터 파크웨이 1600번지에 있는 건물을 실리콘 그래픽스(SGI)로부터 임대하였다.

- 이 회사는 이후로 여기에 계속 머물렀다. 이 복합단지에는 구글플렉스(Googleplex)라는 이름이 붙었다.

- 2006년, 구글은 이곳을 실리콘 그래픽스로부터 3억 1900만 달러에 사들였다.

(2) 초창기 투자 및 IPO

□ 회사로서의 구글에 대한 최초의 펀딩은 앤디 벡톨샤임이 하였다.

□ 1998년 8월 하순, 스탠퍼드 대학의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당시 구글이 가지고 있던 인덱스보다 더 큰 인덱스를 확보하려고 노력 중이었다.

□ 그들에겐 하드웨어가 필요했고, 그들은 투자를 갈망하고 있었다.

□ 그들은 스탠퍼드 대학 교수인 데이비드 채리턴(David Cheriton)의 소개로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의 공동 창업자 중 한 사람이었던 앤디 벡톨샤임을 만나게 됐다.

□ 이 자리에서 앤디 벡톨샤임은 10만 달러의 투자를 하였다.

□ 6개월 뒤, 구글은 더 큰 규모의 펀딩(라운드 오브 펀딩)을 받게 됐다.

□ 당시 벤처 캐피털 업계에서 선두 자리에 있던 두 업체인 클라이너 퍼킨스 코필드 & 바이어스 및 세쿼이아 캐피털로부터였다.

□ 1999년 7월 7일 브린과 페이지는 클라이너 퍼킨스 코필드 & 바이어스와 세쿼이아 캐피털이 구글에 25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 자료를 내보냈다.


[그림 2] 1999년 당시의 구글 서버

□ 2003년 10월, IPO(기업공개)가 논의되고 있었다. 이때 마이크로소프트가 구글에 접근하여 제휴 관계나 합병을 제안하였다.

□ 하지만 아무런 거래도 구체화되지는 않았다. 2004년 1월 구글은 모건 스탠리와 골드만 삭스 그룹을 통해 IPO를 준비 중이라고 발표하였다.

□ IPO를 통해 40억 달러를 끌어 모을 계획이었다.

2. 플랫폼 전쟁의 강자

(1)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이란?

□ 안드로이드는 구글의 휴대폰용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주변 도구를 의미한다.

□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본격적인 모바일 웹 응용을 위한 휴대폰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라는 데 그 의미가 있다.

□ 주로 구글의 서비스를 이동 단말 환경에서 구현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반 플랫폼으로서 휴대폰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 가전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이식의 용이성을 갖추고 있다.


□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현재 전 세계의 주요 휴대폰 제조사, 반도체 제조사는 물론 통신사,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사, 애플리케이션 개발사를 포함하는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HA, Open Handset Alliance)를 통해 진화하고 있다.

□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특징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다양한 하드웨어에 이식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쉽다.

- 둘째, 응용 소프트웨어 실행 환경은 자바 가상머신 환경이며 자바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즉, 시스템 자원 및 각종 장치를 운용하는 리눅스 커널 위에 안드로이드 응용을 실행하기 위한 자바 가상머신이 탑재된다.

- 셋째, 구글의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직접 이용할 수 있는 API를 갖추고 있다. 안드로이드 응용 API는 모두 자바 클래스로 제공되며 구글의 웹 API와 기능 및 형식이 많은 부분 유사하다. 웹 2.0 매시업 응용을 주 응용으로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응용 구현을 위한 API를 풍부하게 제공한다.

□ [도표 1]은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지향하는 응용 서비스 개념을 정리하여 보여준다.


[도표 1]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지향하는 응용 서비스 개념


□ 단말, 통신 서비스, 응용 분야, 네트워크의 종류에 독립적인 오픈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이고 이를 먼저 휴대폰의 형태로 현실화하고 있다.

□ 또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사용자가 구현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안드로이드 마켓을 통해 유통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고 있어서 애플의 앱스토어가 이룩한 성공 모델을 따르고 있다.

(2)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구조와 기능

□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리눅스 커널 상에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와 안드로이드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자바 가상머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사용된 자바 가상머신은 Dalvik이라 부르는 가상머신으로 선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 Inc.)의 자바 가상머신과 유사하지만 다른 형식의 자바 응용 소프트웨어 패키징 방법 및 실행 과정을 제공한다.

(3) 안드로이드 플랫폼 계층 구조

□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장 하위 영역에는 운영체제인 리눅스 커널이 존재한다.

□ 리눅스 커널 위에 녹색으로 표시된 영역에는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과 라이브러리가 존재한다.

□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은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응용 소프트웨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계층으로서 일관된 하드웨어 접근 API와 실제 하드웨어 제어 코드 부분을 연결한다.

□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은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해 하드웨어 제어 투명성을 제공하고 동시에 자바 응용이 사용할 수 있는 자바 API와 C 언어로 작성된 하드웨어 제어 코드를 JNI(Java Native Interface)를 통해 연결시켜 준다.

□ 응용 소프트웨어는 모두 자바 API를 사용하여 구현되지만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가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컴포넌트 혹은 라이브러리는 C 언어 등으로 작성되어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기반 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 이러한 공통 컴포넌트 혹은 라이브러리는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위한 기능, 그래픽 처리를 위한 기능, 멀티미디어 처리를 위한 기능, 웹 응용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등을 포함한다.

□ 안드로이드의 라이브러리는 기존 리눅스의 기본 라이브러리들을 자원 제약 조건이 심한 휴대 이동통신 단말 환경에 맞도록 최적화하여 구성되었다.

□ 안드로이드 응용 소프트웨어가 직접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안드로이드 런타임이라고 부르며 Dalvik 가상 머신과 Core 라이브러리들로 구성된다.

□ Dalvik 가상 머신은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을 위해 설계된 자바 가상머신으로서 기존 자바 실행파일 형식과 다른 실행파일 형식(.dex)을 사용하여 실행파일의 크기와 성능을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 최적화하였다.

□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자바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 실행을 위한 가장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계층을 말하며 핵심 시스템 서비스를 담당하는 코어 시스템 서비스들과 하드웨어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하드웨어 서비스들로 구성된다.

□ [도표 2]는 안드로이드 응용이 어떻게 구동되는지 보여준다.

□ 기본적인 시스템 서비스는 리눅스 커널 및 리눅스의 기본 시스템 서비스 응용들에 의해 제공되고 안드로이드 응용 소프트웨어에 특화된 서비스는 런타임 서비스 매니져라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Dalvik 가상머신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에 의해 제공된다.

□ 안드로이드 응용의 실행 성능을 높이기 위해 zygote라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 zygote는 안드로이드 응용을 빠르게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실행 이미지를 미리 메모리에 준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표 2] 안드로이드 응용 구동 원리

(4)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 안드로이드의 응용 소프트웨어는 [도표 3]과 같이 apk라는 패키지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 Apk는 Dalvik이 실행할 수 있는 형태의 dex파일과 각각의 리소스들을 가진 WbXML, 각 컴포넌트들에 대한 기술이 있는 Manifest로 구성되며, Zip 압축을 통해 apk 파일로 생성되는 형태이다.

□ 안드로이드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자 할 때에는 오픈 소스 개발 도구인 이클립스(eclipse)의 플러그인(plug-in)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개발 도구를 사용한다.

[도표 3]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 [도표 4]는 안드로이드의 응용의 구성 요소를 보인다.

□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Android-Manifest.xml은 시스템의 명세를 담아 두는 파일이다.

□ xml 파일 안에 모든 최상위 수준 컴포넌트를 가지고 시스템이 무엇을 말하는 가를 컴포넌트 별로 명시해주는 제어 파일이다.

□ Activity는 가장 기본이 되는 오브젝트로서, 어떤 작업을 하는 코드의 묶음이다.

- 즉 하나의 가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표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이것은 생명주기를 가지며,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것을 포함하기도 하며,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종속될 수도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표 4] 안드로이드의 응용 구성 요소

□ View는 화면을 그리는 것을 담당하는 오브젝트이다. 이 View에 대한 이벤트, 즉 터치 입력이나 키패드 입력 등의 이벤트에 대한 처리도 담고 있다.

□ 필요하다면,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젯을 만들기 위해 View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 Intent는 어떤 것을 할 의도를 표현하는 단순한 메시지 오브젝트이다.

- 즉 Activity들 간의 매개체로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에 대한 표현을 담고 있는 것이다.

- 이것은 요구되는 동작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 Service는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로서 서비스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안이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 안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 Notification은 상태 바에 나타나는 작은 아이콘을 말한다. PC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정보를 수신하는 이 아이콘과 상호작용 할 수 있다.

□ 정보 갱신 시에 LED를 깜빡이거나, 사운드,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입력의 전달을 표현할 수 있다.

□ Notification의 메시지 기능은 문자 메시지의 도착 시에 사운드나 진동을 통해 Notification 영역의 작은 아이콘을 통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 애플리케이션에서 별도의 Notification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 Content Provider는 장치상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오브젝트로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5)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단말기 구성

□ 현재 다양한 정보 기기에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탑재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구글을 포함하는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HA)에서 안드로이드를 발표한 이후 기존 모바일 기기에서 x86 프로세서 기반 넷북까지 안드로이드 탑재가 진행 중이다.

□ 주로 운영체제 커널의 메모리 영역 설정하는 부분, 각종 장치 드라이버, 그리고 HAL(Hardware Adaptation Layer) 등의 부분을 수정하여 새로운 하드웨어에 탑재하게 된다.

□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장치 드라이버는 일반 리눅스 커널의 장치 드라이버 형태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설계가 필요하지 않다.

- 단, 장치 드라이버를 접근하는 경로가 모두 JNI 함수로 구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장치 드라이버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 그리고, 일부 장치 드라이버는 일반 리눅스에서는 필수적인 사항이 아니지만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는 필수적으로 지켜져야 하는 사양이 정해져 있는 경우도 있다.

□ 안드로이드의 커널 코드를 하드웨어에 맞게 수정한 후에는 커널 상에서 구동되는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파일 시스템 이미지 내에는 리눅스 시스템 구동을 위한 기본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라이브러리,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위한 각종 라이브러리, Dalvik 가상 머신, 안드로이드 플랫폼 내에 사전 설치되는 응용 소프트웨어 등이 포함되어 있다.

□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위한 파일 시스템 이미지는 현재 YAFFS2와 EXT3 파일 시스템 형식으로 제공된다.

□ YAFFS2는 NAND 플래시메모리를 위한 파일 시스템으로서 저널링 기능을 사용하여 안정성을 제공한다.

□ NAND 플래시메모리를 위한 전용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YAFFS2를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메모리 카드의 형태나 다른 복합 형태의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 하드 디스크를 위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EXT3 파일 시스템을 위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 [그림 3]은 ARM 코어 기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하드웨어에 필요한 커널 및 파일 시스템 이미지를 수정하여 탑재한 장면을 보인다.


[그림 3] ARM 코어 기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하드웨어에 필요한

커널 및 파일 시스템 이미지를 수정하여 탑재한 장면

□ 아래 사용한 하드웨어는 세븐코아㈜에서 제작한 멀티미디어 스마트폰을 위한 개발 플랫폼으로 Marvell 사의 PXA270 프로세서, 3D 가속기, WLAN, 멀티 터치, 블루투스, 가속 센서 등을 갖추고 있다.

3. 경제 지도를 바꿀 플랫폼 전쟁

□ “두 마리 칠면조가 뭉쳐봐야 한 마리 독수리가 될 수는 없다.”

□ 지난 2011년 2월 노키아와 마이크로소프트(MS)가 스마트폰 분야에서 광범위한 제휴를 하겠다고 발표한 후 구글의 부사장이 트위터에 올린 글이다.

□ 두 마리 칠면조는 노키아와 MS, 한 마리 독수리는 구글을 뜻하는 것은 분명한 일. 이보다 더한 조롱이 있을까.

□ 지난 1998년 구글이 막 생겨났을 때만 해도 노키아와 MS는 이미 세계적인 기업이 돼 있었고, 그래서 구글의 존재조차 무시했었다.

□ 노키아와 MS가 이와 같은 조롱을 받게 된 것은 모두 스마트폰 플랫폼 전략에서 실패했기 때문이다.

□ 지금은 이처럼 플랫폼 전략에 실패한 기업은 인정받지 못하는 시대다.

□ 이 때문에 세계적인 기업들은 모두 플랫폼에 사활을 걸고 있다. 기업의 미래가 플랫폼에 달렸다는 말까지 나온다.

□ 애플, 구글, 페이스북. 이 기업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 소위 현재 `세계에서 가장 잘 나가는` 기업이라고 손꼽힌다는 점이다. 이들은 모두 플랫폼을 갖는 데 성공했다.

□ 애플은 스마트폰 운영체제(OS) `iOS`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사고파는 `장(場)`인 앱스토어로 새로운 플랫폼 공략에도 성공했다.

□ 앱스토어는 34개월 만에 50만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보유, 시장 리더로 자리 잡았다.

□ 구글 역시 스마트폰 OS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세력을 확장, 애플리케이션 장터인 `안드로이드 마켓`의 성장을 꾀하고 있다.

□ 안드로이드 마켓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수는 30만개에 이른다.

□ 두 기업은 OS라는 플랫폼을 장악, 스마트폰의 핵심서비스인 애플리케이션 플랫폼까지 장악하게 됐다.

□ 페이스북은 단순한 웹서비스가 거대 플랫폼으로 재탄생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 지인들과 소식을 나누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은 지난 2007년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올릴 수 있는 플랫폼을 제작했다.

□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탄생한 플랫폼이지만, 애플리케이션 시장 규모는 이미 120억 달러를 넘어섰다.

□ 전문가들은 플랫폼은 OS나 애플리케이션 장터 등 하나로 끝나는 개념이 아니라고 말한다.

□ 끊임없이 새로운 플랫폼이 등장하고, 플랫폼에 따라 승자와 패자가 갈릴 것이라는 얘기다.

□ 이 때문에 이미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기업들도 새로운 플랫폼 확보에 여념이 없다.

□ 대표적으로 구글은 페이스북과 같은 SNS 플랫폼에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다.

□ 구글은 `플러스원` 등 SNS을 이용한 검색서비스를 선보이는 한편, 새로운 SNS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또한 구글은 TV 플랫폼 등 전혀 새로운 분야 플랫폼 선점에도 나섰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랫폼 전략의 개요 , 기능  (0) 2013.01.19
플랫폼의 의미와 비즈니스 , 시장의 니즈 ,리더의 조건  (0) 2013.01.19
통화량의개념과통화지표(1. 화폐란 무엇인가,2. 지불제도의 변천3. 통화량의 개념과 통화지표4. 우리나라의 통화지표5. 미국의 통화지표 6. 과잉유동성의 판별7. 금융상품의 3대 속성8. 자금순환..  (0) 2013.01.18
NIKE KOREA(나이키 한국시장) 스포츠의 경영분석  (0) 2013.01.17
1. 소비자행동의 기본 2. 소비자 구매행동의 유형 3. 구매의사결정 과정 4. 주요 요인들 1. 시장세분화 2. 표적시장 선정 3. 포지셔닝  (0) 2013.01.17
Posted by MSNU






favicon

Vorsprung durch Technik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993)
    • myPPT (813)
    • 시리즈 (164)
      • 연소 (14)
      • 경제 (5)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