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메리카
목차목차
.
1. 남아메리카에
있는
국가들
.
2. 남아메리카의
기후언어와
자연환경
.
3. 남아메리카의
나라와
수도
.
4. 브라질
.
5. 브라질의
전통음식
.
6. 아르헨티나
.
7. 아르헨티나의
전통음식
.
8. 칠레의
전통음식
.
9. 칠레의
전통의상
1. 남아메리카에
있는
국가들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프랑스령
기아나
등이있다.
2. 남아메리카의
기후
, 언어와
자연환경
[기후]
.
멕시코~파나마
: 열대기후
.
브라질, 콜럼비아, 베네수엘라
등
: 열대기후
.
볼리비아,파라과이,페루,칠레
고원지대
:고원기후
(해발고도가
높은
지대의
기후로서
기온의
변화가
적은
지.
)
남.
.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 온대기후
.
아르헨티나, 칠레
: 한대기후
[언어]
브라질은
포르투갈어(브라질화한
포르투갈어
) 기타는
모두
스페인어
[자연환경]
산맥부터
자연환경은
지구의
'아마존
강
'이
인더스
브라질까지
이어져있습니다
.
강
주변은
밀림(정글)이
퍼져있는데
거기에는
수많은
희귀
동식물
,
원주민이
살고있다.
.
아마존은
일년
내내
덥고
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기후에
속합니다
.
.
그리고
철광석,
니켈, 그리고
석유가
많이
있습니다
3. 남아메리카의
나라와
수도
(콜롬비아--보고타)
(에콰도르--키토)
(페루--리마)
(볼리비아--라파스)
(파라과이--아순시온)
(칠레--산티아고)
(아르헨티나-(
우루과이--몬테비데오)
(브라질--브라질리아)
(프랜치
가이아나
--카예네)
(수리남--파라마리보)
(가이아나--조지타운)
(베네수엘라--카라카스)
부에노스
아이레스)
4. 브라질
브라질은
남아메리칮
최대의
국토
를
지닌
나라로
라틴
아메리칮
지역
최대의
국가이다
. 세계에서
다섯
번
째로
큰
나라로
, 삼바와
카니발의
본고장이기도
하며
, 축구
강국이기
도
하다
.
축구
선수
호나우두가
바로
이
나라
출신이다
국토의
93%는
열대
지역에
속한다
.
기온은
열대지역에서
연중
25도
이상
유지되며
기온의
변화가
뚜렷
하지
않다
. 그러나
온대
지방인
히
우그란지두술
주
, 산타카타리나
주
지방에는
겨울철
(6 -8 월)에
눈이
내리기도
한다
.
5. 브라질의
전통음식
브라질의
국민
간식
중
하나라고
한다.
브라질에서는
매주
장이
열리는
날
에는
사람들이
반드시
이것읁
먹는다고
한다
.
파스텔
반죽
안에
고기나
새우
, 닭
고기, 치즈
등
넣고
먹읁
때
바로
튀
겨서
먹는다
.
전통음식
Pastel( 파스텔)
6. 아르헨티나
남북으로
정식명칭은
아르헨티나공화국이다
. 남아
북동쪽으로
메리카에서
브라질에
이어
두
번째로
크고
세계에서는
여덟
번째로
큰
국가이다. 국
토는
긴
모습이며
,
북쪽으로
파
라과이와
볼리비아
, 브라질과
우루과이, 서쪽과
남쪽으로는
칠레와
국경
읁
면한다
.
7. 아르헨티나의
전통음식
아사도
아르헨티나하면
생각나는
아르헨티나
음식의
대표인
아사도는
쇠고기에
소금읁
뿌려
숯불에
구운
아르헨
티나의
전통요리이다.
7. 아르헨티나의
전통음식
둘세
데
레체
: 아르헨티나의
둘세
데
레체는
달콤한
우유라는
뜻이
다.
우유에
설탕읁
넣어
오랫동안
가
열하면
카라멜
상태로
만들어진
다.
아르헨티나
음식이
유명한
이유
는
아르헨티나
내에서
주요
생산
물들이
풍부하게
생산되기
때문
이다.
특히
아르헨티나는
쇠고기를
비
롯한
육류
, 콩, 밀, 옥수수, 우유
둘세데라체
같은주요작물은세계시장에서
거대한
수출
시장읁
이루고
있다
.
8. 칠레의
전통음식
지방에서유래한
북 .
는에스파냐
칠레의
일반
가정에서
흔히
만들어
먹는
보편적인
전통음식이다
. 본래
음식이었고, 나라마다
속에
넣는
재
료와
크기
및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
.
'엠파나다'는
에스파냐어로
'빵' 또는
'속읁
채워
구운
'이라는
뜻이다
.
모양은
반달
모양부터
동그란
것까
지
다양하다
. 크기도
우리나라
보통
만두의
3~4배에서
한
가족이
다
먹
읁
수
있읁
만큼
큰
것까지
있다
.
속에
넣는
재료는
다진
고기
·소시
지·베이컨·삶은
달걀
·양배추·버섯
·치즈·건포도·양파
등
매우
다양하
다. 불에
굽기
때문에
껍질이
바삭
바삭하다.
칠레의
전통음식
‘엠파나다’
9. 칠레의
전통의상
폰초의
어원은
인디오
언어이다
.
망토
모양의
옷으로
중남미
읹
대의
인디언
들이
입었던
것에
서
유래한다
. 원래는
선명한
색
채로서
폭넓은
줄무늬가
지게
짜낸
거친
모직물의
직사각형이
나
마름모꼴의
천
이름이었으나
후에
의복
형태의
명칭이
되었
다.
겉옷읁
입고
, 그
위에
두터.
바
람막이
또는
방수효과를
가져오
기
때문에
방한효과가
좋
아
현재에는
등산
또는
병사용
레인코트
등으로도
이용된다
.
칠레의
전통의상
‘폰초’
매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