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비히 판 베토벤
루트비히 판 베토벤
목차
베토벤의 생애
베토벤의 작품(곡)
베토벤의 업적
베토벤이 얻게된 장애
소감문(끝)
베토벤의 생애
베토벤은 1770년 12.17일에 태어나였다 그리고 1827년에 생을 마감 하였다
악성 베토벤은 고전 음악의 최대의 완성자인 동시에 그 완전한 형식적인 예술에 보다 인간적이고 정신적인 내용을 담은 위대한 작곡가 였다.
그는 자유와 평등 그리고 인간애를 실천한 인도주의자였다. 뿐만 아니라 그의 음악은 고전의 형식미에서 벗어나 낭만주의 음악에 문을 연 교량적인 역할을 한 음악가였다.
그는 모짜르트처럼 신동은 아니었으나 음악적인 천분을 마침내 들어내기 시작했다. 그는 17세 때에 그 당시 음악의 중심지였던 빈으로 갔다. 그의 본격적인 음악 교육은 이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그에게는 너무나 많은 역경과 고난이 겹쳐 들었다. 생활은 곤란했고 사랑은 실패했으며 음악가로서는 치명적인 귀병을 앓고 있었다.
1815년 이후의 작품은 그의 모든 창작 중의 일대 전환인데 웅대한 구상과 자유로운 형식, 진지한 표현 등은 거성이 아니고는 감히 도달할 수 없는 높은 경지라고 하겠다
베토벤의 작품1-1
교향곡
교향곡 1번 다 장조 작품번호 21 (1800년)
교향곡 2번 라 장조 작품번호 36 (1803년)
교향곡 3번 내림 마 장조 "영웅" 작품번호 55 (1805년)
교향곡 4번 내림 나 장조 작품번호 60 (1807년)
교향곡 5번 다 단조 "운명" 작품번호 67 (1808년)
베토벤의작품1-2
교향곡 6번 바 장조 "전원" 작품번호 68 (1808년)
교향곡 7번 가 장조 작품번호 92 (1813년)
교향곡 8번 바 장조 작품번호 93 (1814년)
교향곡 9번 라 장조 "합창" 작품번호 125 (1824년)
베토벤의 작품2-1
피아노곡
피아노 소나타 8번 '비창'
피아노 소나타 11번 '화려한 대 소나타'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
피아노 소나타 17번 '템페스트'
베토벤의 작품2-2
피아노 소나타 21번 '발트슈타인'
피아노 소나타 23번 '열정'
피아노 소나타 24번 '테레제를 위하여(흔히 '엘리제를 위하여' 라고 알려져 있다.)
피아노 소나타 26번 '고별'
베토벤의 업적
바로크 음악과 고전파의 음악의 전통을 낭만파에게 전해 주었다.
보통 고전파와 낭만파의 연결고리를 슈베르트로 보는데 사실 그 바탕에는 베토벤이 있습니다.
2. 바로크와 고전파의 형식 중심 음악을 벗어나 서정 중심 음악의 시대를 열었다.
바로크 음악을 들어보면 확실하게 느낄 수 있는 점이 있습니다. 한 부분의 주제가 제시되고 그 부분이 계속 반복, 변주 된다는 점입니다.
3. 성악과 기악의 결합을 다양화하였다.
사람의 목소리와 악기의 소리를 결합한 형태는 아주 옛날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아마도 악기가 발명되는 시점부터 이루어졌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4. 자신만의 음악을 완성하였다.
일반적 감상자들이 알아챌 수 있는 작곡가는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베토벤의 곡들은 베토벤의 색깔을 확실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5. 인간으로서의 고뇌를 이겨내었다.
베토벤은 작곡가로서 최악의 상황에 놓여 있었습니다. 바로 청력을 잃어버리게 된 것인데 그럼에도 베토벤은 그 고난을 뛰어 넘고 역사에 길이 남을 수많은 곡들을 작곡했습니다.
베토벤이 얻게된 장애
베토벤(1770~1827)의 신체장애는 청각장애였습니다 ..
베토벤이 1770년 생이니 서른이 되기전부터 (1800년 이전)귀가 먹기 시작했다는 것인데 말년에 이르러서는 거의 듣지 못하게 됩니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 조선 후기 사회상 (0) | 2017.05.01 |
---|---|
금융보조기관 (0) | 2017.04.21 |
중국 - 한(漢)왕조 . 삼국지(三國志)시대 (0) | 2017.04.08 |
정신건강론 - 성인기와 정신건강 (0) | 2017.04.06 |
비빔밥에 대하여 (0) | 2017.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