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암



























































요로계의 구조

신장

신우

요관

방광

요도

방광의 구조

상피층 (Epithelium)

고유층 (Lamina propria)

근육층 (Muscle layer)

방광암은...

방광에 발생하는 악성 신생물로서, 우리나라의 비뇨생식기암 중에서 가장 흔한 암이다.


모든 악성 신생물 중,

  우리나라는 2.2%(전체9위) 

  세계에서는 3.5%(전체11위)

  

방광암의 역학



방광암의 발생빈도

남자 : 인구 10만명당 7.76명

여자 : 인구 10만명당 1.19명

남자에서 여자보다 3-4배 더 많이 발생

연령별 발생빈도

30대이하 : 인구 10만명당 0.6명

60대 : 인구 10만명당 39명

70대 : 인구 10만명당 64명

연령증가에 따라 발생빈도 증가

방광암에 의한 사망률

병 인

발생원인이나 과정에 대하여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작동(Initiation)과 촉진(Promotion)의 두 기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가설

작동: 정상세포에서 화학제, 바이러스 또는 종양 유전자등의 유도로 빠르고, 비가역적인 유전자 변형이 발생

촉진: 세포증식과정에서 세포성장에 필요한 RNA, DNA나 다른 핵단백질의 합성을 증진시켜 세포의 증식을 일으킴

암유전자의 활성화나 암억제 유전자의 비활성화나 손실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

방광암의 발생원인


2.흡연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하여 약 2배의 위험도

담배에 소량 포함된 arylamine계의 2-naphthylamine과 4-aminobiphenyl이 주된 원인으로 제기



3.다른 위험요인들

사카린과 같은 인공 감미료의 섭취

커피

비뇨기계의 감염

식수의 염소 소독

페나세틴이 포함된 진통제의 과다 복용

머리 염색

주혈흡충증

비소

  (위험도의 증가가 미미함)


방광암의 보호인자

비타민 A와 베타-카로틴이 화학발암물질에 의한 방광암의 발생유도를 예방한다는 보고

방광암의 증상 및 진단

방광암의 증상

혈뇨

방광자극증상

측복통

하지 부종

골반강 내 종물

체중감소, 복통, 골동통

혈뇨

무통성 혈뇨

가장 흔한 증상

육안적 혈뇨~현미경적 혈뇨

40세 이상의 혈뇨 :

혈뇨가 다른 원인으로 밝혀지더라도 방광암에 대한 검사 시행

방광 자극증상

급박뇨, 배뇨통 및 빈뇨

보통 염증성 질환에 주로 나타남

상피내암이 있을 때

요배양 검사에서 균이 자라지 않고 방광 자극증상이 지속 시 → 방광암 가능성 고려

방광암의 경우 반드시 혈뇨와 동반된 자극증상 존재

그 외의 증상

측복통 → 요관 폐색

하지 부종

골반강 내 종물

진행된 경우

체중 감소

복통

골동통

진단

방광경검사

배설성요로조영술

초음파검사

전산화 단층촬영 (CT)

자기공명영상 (MRI)

요세포검사 (Cytology)

쌍합진 (Bimanual Examination)

방광경검사

진단 목적

혈뇨의 발생장소 파악

유두상 종물 또는 고형 종괴 감별

종양의 모양과 크기, 범위 및 다발성 여부

방광과 전립선 요도점막의 이상병변 여부

요로조영술

불규칙적인 음영결손

종양이 작은 경우 별 도움이 되지 않음

상부 요로에 요상피암이  동시에 존재하는지 여부 감별

수신증 유무 :

 수신증 하부에 요관암

 근층을 침범하는 방광암

초음파검사

신기능 저하, 조영제 알러지

상부 요로의 상태 점검

림프절 상태 파악이 어렵다

침 흡입생검 (Needle aspiration) → 실제로 커진 림프절이 보이는 경우

요즈음 잘 사용하지 않음

전산화 단층촬영 (CT)

진단에는 별다른 이점이 없다

방광 주위의 연조직으로 침윤 여부 파악

림프절 전이 여부

골반강 내의 종물에 대한 흡입 침생검

병기 결정

자기공명영상 (MRI)

여러 면(Plane)에서 촬영 가능한 이점

모든 면에서 CT와 비슷

병기 결정

요세포검사 (Cytology)

소변 속에 떨어져 나온 세포들을 검사

분화도가 나쁘거나 상피내암 존재 시 양성

영상검사에서 음성이라도 요세포검사 양성 시 이행세포암이 존재함

요세포검사 음성 → 방광암이 없다는 것은 아님

충분히 수분 섭취 후 소변 채취

아침 첫 소변은 부적합

쌍합진 (Bimanual Examination)

마취 후 시행

종양 촉진의 유무, 촉진 후 종양의 크기, 골반 벽에 고정 여부

수술 전후 시행

수술 후 촉진 : 종양이 방광벽을 넘어 존재

수술 후 촉진 안됨 : 상대적으로 예후가  좋을 것으로 예상

방광암의 치료

방광암의 병기

방광암의 병기

방광암의 병기

표재성 방광암의 치료

경요도 절제술 

   : 외요도구를 통하여 방광 내로 절제경이라는 기계를 삽입하여 암을 절제하는 방법이다. 

방광내 주입요법

1.면역요법

    : 비씨지(BCG, 결핵 예방접종에 이용되는 약제) 

2.화학요법

 :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마이토마이

     신 씨(mitomycin C)와 같은 항암제들도 이용

표재성 방광암의 치료

경요도 절제술 (Transurethral resection)




BCG

표재성 방광암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

일주일에 한번씩 6주를 연속해서 주입

6주 후에는 방광경과 소변세포 검사

비특이적 면역반응

BCG 방광내 주입요법의 부작용

방광자극증상 및 방광염

: 80-90%

혈뇨 : 40%

발열 (≤38.5◦C) : 30%

육아종성 전립선염 : 1-3%

부고환염 : 0.2%

과민반응 : <0.1%

침윤성 방광암

근치적 방광적출술 


요로전환술


전신적 항암요법


방사선 치료

근치적 방광적출술(1)

근치적 방광적출술(2)

요로전환술

회장도관법 



2. 자연배뇨형 방광대치술


요루

방사선치료 

침윤성의 방광암,

전이한 병변 (척추뼈로 전이)


부작용: 방광 위축, 직장의 출혈,

             피부에 염증

방광암의 1차 치료 후 추적조사는? 

방광 적출술을 시행하지 않고 경요도절제술 등의 보존적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 첫 2년간은 3개월 간격으로, 

- 다음 2 년간은 6개월 간격으로, 

- 그 후에는 1년에 한 번씩 

  방광경 검사 및 요세포 검사를 시행한다.

  - 배설성 요로조영술은 1∼2년 간격으로 시행. 

방광암의 예후는?

표재성 방광암의 경우에는 재발 가능성은 있으나 대개 표재성 방광암으로 재발하며 10∼15%에서만 침윤성 혹은 전이성 방광암으로 진행되므로 예후가 매우 좋다. 


방광암의 예후는?

침윤성 방광암의 경우에는 5년 생존율이 40∼50%이고, 방광 주위에 암이 침윤된 경우에는 5년 생존율이 10∼17%이다.


전이성 암인 경우에는 예후가 극히 불량하다. 따라서 조기에 암을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emistry of Food 식품화학  (0) 2015.03.06
유해물질과 환경위해성평가  (1) 2015.03.04
당뇨에 좋은 약초와 음식  (0) 2015.02.28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0) 2015.02.26
중소기업 품질관리 생산관리  (0) 2015.02.24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