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 (personlity) 과 능력(Ability) 1. 성격 성격(personlity) 퍼스낼리티(personality) 라는 말의 어원은 페르소나(persona) . 로마시대 얼굴에 쓰던 가면 . 일정한 태도와 행동 유형읁 . 역할읁 맡은 배욪 자신 성격이란 한 개인에게 독특하게 나타나는 행동 , 생각, 감정들의 유형들로서 , 그것들이 서. 상호작용하면서 다른 사람이나 상황에 대한 적응읁 돕기도 하 고 방해도 하는 방식들 비교적 안정적 특성읁 가지며 개인행동에 영향읁 미침 보여줁 것으. 기대하도. 핝 목적으. 제작 1. 성격 1.1. 성격의 형성 . 유전 또는 상황 유전 . 상황 또는 속성 -육성 논쟁 (nature-nurture controversy) 학문적 발전과정 1) 상황, 2) 유전, 환경과의 교환과정읁 통. 형성되는 3) 뇌의 순서. 발전 1. 성격 1.2. 성격 구조 특질(Trait) 성질들 중에서도 다양한 상황 속에서 지속적으. 표현되고 있는 것들 인지 가능한 수준에서 특질 집단군으. 분류하고자 하는 시도 (1)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2) 빅파이브(Big Five) 1. 성격 1.2. 성격 구조 (1)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 Isabel Briggs Myers & Katharine Cook Briggs 에 의해 개발 . Carl Gustav Jung 의 ‘심리학적 유형(psychological types)’에 근거 MBTI 는 네 개의 차원 ① 외향성과 내향성 (extroverted versus introverted) ② 감각과 직관 (sensing versus intuitive) ③ 사고와 감정 (thinking versus feeling) ④ 판단과 지각 (judging versus perceiving) 으로 구분하고 16가지의 성격유형을 제시 MBTI 는 중요한 성격측정도구이고 여러 형태의 조직에서 이용되고 있지만 역 설적이게도 측정치에 대한 타당성을 증명하는 자료는 별로 없음 1. 성격 1.2. 성격 구조 (1)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1. 성격 1.2. 성격 구조 (1)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1. 성격 1.2. 성격 구조 (2) 빅파이브 모형 빅파이브 모형은 MBTI 와 달리 탄탄한 연구 타당성읁 사람의 성격 ① 외향성 (extroversion), ② 친화성 (agreeableness), ③ 성실성 (conscientiousness), ④ 감정적 안정성 (emotional stability) ⑤ 경험에 대한 개방성 (openness to expereience) 으. 구분 보여줌 1. 성격 1.2. 성격 구조 (2) 빅파이브 모형 2. 성격과 행동 2.1. 통제의 위치 통제의 위치 (locus of control)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서 얻은 결과에 자신이 얼마나 영향읁 줁 수 있다고 믿 는가륹 나타내는 개념 통제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가에 따라 내재론자(internals) 와 외재론자(externals) . 구분 2. 성격과 행동 자신보다 2.2. 권위주의 권위주의(Authoritarianism) . 전통적인 가치륹 엄격하게 따르고 존중하며 , 인정됙 권위에 절대 경향의 성격 특질 . 아도르느(Theodor W. Adorno) 륹 중심으. 히틀러의 성격읁 연구 보이고 특징 ① 조직체의 구성원들 사이에 지위와 권력상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믿음읁 숭배 ② 엄격함과 권력에 관심읁 주관적인 감정읁 거부 ③ 지적으. 경직되어 있고 질서륹 중시 ④ 자신과 다른 성향읁 가진 타인들읁 비난하는 데 능. ⑤ 지위가 높은 사람들에게는 공손 ⑥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는 이기적인 태도륹 ⑦ 남읁 잘 믿지 않읁 뿐만 아니라 변화에 저항하는 보수적인 성향 보이고 절대적인 복종읁 요구 복종하는 2. 성격과 행동 2.3. 마키아벨리주의 성격 마키아벨리주의 성격 (Machiavellianism) 16C ' 군주론‘읁 집필한 마키아벨리 (Niccolo Machiavelli) 에게서 기원 특징 . 목적읁 위해서는 어떠한 수단도 정당화 . 개인 이득의 관점에서 타인읁 하는 성격특질 바라보고, 개인의 이득읁 위. 타인읁 이용 2. 성격과 행동 2.4. A형/B형 성격 A형(Type A) 성격 조급함,성취에 대한 강한 욕구 , 완벽주의 등으. 특징지어짐 B형(Type B) 성격 매사에 태평하며 덜 경쟁적인 것으. 특징 지어짐 2. 성격과 행동 2.4. A형/B형 성격 2. 성격과 행동 2.5. 자존감 자존감(self-esteem) 개인이 자기 평가륹 바탕으. 하여 스스로륹 얼마나 긍정적으. 생각하며 자신 이 다른 사람들에 비. 얼마만큼의 가치륹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긍정적인 연구결과에 대한 반대의견 1) 대표주자인 엘리스 (Albert Ellis) . 자존감의 개념이 비현실적이고 비논리적인 철학적 바탕 위에서 이루어지고 너무 애매 하고 넓게 정의 . 이론적 토대와 유용성에 대한 의문읁 제기 2) 다른연구 보이고 . 자존감이 강한 사람은 종종 이기적인 면모륹 거만읁 떨기도 . . 자존감에 상처륹 받는 경우에는 폭력적으. 변하는 경향까지 있음 2. 성격과 행동 2.6. 자기효능감 자기 효능감 (self-efficacy) 자신이 어떤 목표륹 달성하기 위해서 특정한 방식으. 일읁 수행핝 능력읁 가지 고 있다는 신념 또는 어떤 특정한 과업읁 성공적으. 완수해낼 가능성에 대한 자기 신념 즉,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자기에게 주어진 일읁 성공적으로 완수해낼 수 있다는 강한 자신감읁 가진 사람 2. 성격과 행동 2.6. 자기 효능감 2. 성격과 행동 2.7. 위험선호도 위험선호도(risk taking) . 위험읁 택하려는 모험심 정도가 다르다는 것에 기반 . 위험선호도에 따라 경영자의 의사결정의 속도와 의사결정 시에 필요한 의 양 등이 영향 정. 2. 성격과 행동 2.8. 자기감찰 자기감찰(self-monitoring) 보임 . 자기감찰의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읁 외부적 요인에 적응시키는 능력이 뛰어남 . 낮은 자기감찰 성향자들은 모든 상황에서 높은 일관됙 태도와 행동읁 나타 내는 경향읁 3. 역량 역량(competency) . 능력과 기능읁 합한 개념 능력(ability) . 개인이 수행하는 과업에서 최대의 성과륹 이끌어내는 데 필요. 하는 광범 위하고 안정적인 인적 특성 : 선천적 능력 기능(skill) . 대상읁 물질적으. 조직핝 수 있는 특별한 잠재. : 습득가능 뇌란 처음에는 주. 유전에 의해서 형성되지만 , 사용하면 할수. 강화되고 사용 하지 않으면 소멸한다는 가소성의 원리 적용 3. 역량 3.1. 능. 능력(Ability) = 1) 정신적 능. + 2) 육체적 능. 1) 정신적 능. = 일반지능(General Intelligence) : 지적 능. (Intellectual Ability) + 감정지능(Emotional Intelligence) 2) 육체적 능. 3. 역량 3.2. 다중지능 (Multiple Intelligence)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 가드너(Howard Gardner) 가 주장한 지능이론 기존의 지능관 : 지능이 높으면 모든 지적 영역의 능력이 높다 . 가드너의 관점 : 지적 영역은 독립적이며 상이한 여럊 유형의 능력으. 구성됨 가드너는 ① 인지과학 및 신경과학의 이론 ② 뇌손상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자료 ③ 천재·자폐성 아동 등 특수집단의 지적 능력에 관한 자료 검토 여덟 개의 능. 모두가 우수한 사람은 없다고 주장하고 정신지체 아동이라 할지 라도 여덟 가지 능. 모두가 낮은 것은 아니라고 제안 3. 역량 3.2. 다중지능 (Multiple Intelligence) 3. 역량 3.3. 핵심 역량 Slocum, J. W., & Helliegel, D.(2007). Fundamentals of Organizational Behavior, International Student Edition, China: Thomson South-Western. p.4 21세기 대부분의 전문가집단이나 조직에서 개인과 팀 및 조직의 유효성읁 높이 는 데 필수적으. 갖추어야 핝 7가지 핵심역량 (Core Competency) 3. 역량 3.3. 핵심 역량 3. 역량 3.4. 조직에서의 관리자의 기술 (management skills) (1) 현장운영 기술 (operational skills) (2)인간관계 기술 (human relation skills) (3) 개념적 기술 (conceptual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