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rsprung durch Technik

블로그 이미지

MSNU

양성 평등 - 영화 바그다드 카페Bagdad Cafe 속 페미니즘

myPPT 2019. 8. 11. 13:50



















바그다드 카페 1. 바그다드 카페의 배경 바그다드 카페는 사막 한가운데 위치한다 . 따라서 도심과 그 속의 일상 으로부터 철저하게 단절되어 있다 . 예컨대 영화의 도입부에서 주인공 야 스민의 남편이 카페의 종업원에게 마약을 권했을 때 , 종업원이 거부한 장면을들 수 있다 . 이 장면은 바그다드 카페가 대도시의 부정성으로부 터 단절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따라서 이곳은 사람들에게 일종의 휴식의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 그러나 ‘휴식의 공간’이라는 말처럼 , 이 곳은 방문객의 최종 정착지가 될 수 없다는 점에서 불안정하다 . 따라서 바그다드 카페를 김동리의 소설 ‘역마’에 등장하는 ‘화개장터’와 비 슷한 성격으로 이해할 수 있다 . 2. 뚱뚱한 독일 백인여성 야스민 미국 여행중 캘리포니아 사막을 지나다 남편과 다투고 사막 한 가운데 버림받은여자 남편은 그녀의 보온병도 길에 내버리고 혼자 차를 몰고 사라진다 . 그녀의 이름은 야스민 뚱뚱한 중년의 독일 여인 . 검은색 모자와 검은색 정장을 차려 입었다 . 사막의 땡볕 아래서 . 이는 야스민이 자아가 불안정하고 , 이곳에서의 생활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3. 바그다드 카페의 주인 브렌다 브렌다는 바그다드 카페의 주인이다 . 브렌다의 아들인 살라모는 언제나 피아노에만 몰두에 있고 , 딸 필리스는 소위 말하는 불량소녀로 하루종일 밖에서 생활한다 . 남편 은 모든 것을 귀찮게 생각하고 성실하지 못하다 . 그러한 브렌다의 가족들이 야스민을 통해 변화된 모습을 보게되고 그녀에게서 여성으로서의 연민을 느끼고 마음의 문을 열게 된다 . 4. 바그다드 카페에 내제하는 단절감 휴식의 공간이 갖는 양면성은 야스민이 카페로 오는 것에 대한 개연성을 부 여해 줌과 동시에 이곳에 사는 브렌다의 가족이 불안정하다는 설정을 가능하 게 한다 . 또한 이곳의 가족은 각자 자기만의 생활에 몰입해 있기 때문에 ‘가 족’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서로 단절되고 이질적인 삶을 살고 있다 . 이러한 단절감은 비단 브렌다의 가족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바그다드 카페의 구성원들 모두가 일체감을 느끼지 못한다 . 야스민이 잃어버린 커피가 담긴 보온병은 바그다드의 구성원들에게는 매우 쓴것이다. 따라서 야스민의 보온병은 단절감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소재라고 할수 있다 . 감독은 야스민을 긍정적이고 호의를 베푸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과 뚱뚱하고 부유한 백인으로 , 브렌다를 매사에 부정적이고 독선적인 성격과 마르고 생활 력이 강한 흑인으로 설정함으로써 이러한 대비를 더욱 부각시킨다 . 그로인해 브렌다는 야스민을 믿지 못 하고 불신감으로 인해 다투게 된다 . 5. 화해, 그리고 마술 최종적으로 브렌다와 화해한 야스민은 바그다드 카페에 동화한다 . 동시에 그녀의 마술을 통해 브렌다의 가족과 그 외에 부메랑을 날리는 청년 , 카페 종업원 , 콕스 등 바그다드 카페에 머무르고 있는 식구들에 게 활기를 불어넣는다 .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마술이란 이러한 장면 속에서 나타나는 사전적 의미의 마술만을 뜻하지는 않는 다. 살라모의 음악에 생명력을 심어주고 , 필리스로 하여금 즐거움의 진정한 의미를 일깨워 주고 , 콕스에 게 그림에 대한 의욕을 심어준 것 그 자체를 하나의 ‘마술’로 보아야 할 것이다 . 브렌다와 야스민의 화해는 마술을 통해 곧 우정으로 발전한다 . 두 여성의 우정은 각자 자신의 내면을 회복하는데 일조한다 . 예컨대 야스민은 카페 식구들로 하여금 화목한 분위기를 이끌어내고 , 브렌다는 특 유의 비관주의와 독선을 버리고 내면에 존재하는 차분함을 이끌어낸다 . 그러나 야스민은 여권 만기와 노 동허가증을 빌미로 카페를 떠날 위기에 처한다 . 여기서 주목할 것은 누구도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 법과 제도의 힘 앞에 보안관은 유감을 표하고 , 카페 식구들도 안타까워 할 뿐이 다. 이 장면은 여성의 자아 회복과 해방이 사회의 제도에 의해 제한받거나 방해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또한 여성과 사회 구성원은 제도의 힘 앞에서 반대 의사를 표현할 수도 없다 . 하지만 허공으로 날아갔던 부메랑이 결국 되돌아오는 장면이 암시하듯이 , 떠났던 야스민은 결국 돌아온 다. 처음에 그녀가 검은 정장을 입고 찾아왔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하얀 옷을 입고 돌아온다 . 이를 통 해 야스민이 자아를 회복하고 , 정착을 결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6. 영화 속에 나타난 페미니즘 <1> 야스민이 카페의 식구들에게 동화하는 장면 사이사이에는 콕스가 그녀의 초상화를 그리는 장면이 삽입되어 있다 . 콕스는 그녀를 여러 번 그리는데 , 그릴 때마다 야스민은 옷을 하나씩 벗는다 . 요컨대 이 장면은 야스민이 내 면을 회복하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 결국 감독이 말하는 여성 해방이란 , 여성이 자유롭게 본연의 자아를 찾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마지막 초상화를 그릴 때 , 속살을 드러내려는 결심이 콕스의 주문없 이 야스민 자신의 의지만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야스민의 ‘해방’이 갖는 주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 사실 이러한 주체성은 영화의 도입부에서 이미 암시되고 있다 . 야스민이 힘겹게 카페로 오는 길에 작은 트럭의 기사 가 태워주겠다고 호의를 베풀지만 , 그녀는 이를 거절하고 혼자서 카페까지 걸어온다. 이를 통해 야스민이 애초부터 본연의 모습을 찾기 위한 의지를 가지고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7. 영화 속에 나타난 페미니즘 <2> 이 영화의 페미니즘적인 의미를 거론할 때 자칫 야스민으로 대표되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여성의 노력과 그 훌륭함을 생각하기 쉽다 . 하지만 이런 종류의 결론은 근시안적인 고민에서 비롯되었다고 설명할 수밖에 없다. ‘바그다드 카페’가 갖는 페미니즘적인 의미는 여성의 인간관계와 자아에 대한 해방으로 귀결되어야 한다 . 이 영화가 개봉할 1988년 당시의 여성은 기혼 후 가족 , 특히 남편으로 인간관계 가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 여성의 사회 진출이 그만큼 어려웠기 때문이다 . 심지어 이것이 하나의 미덕으로 간주되는 사회도 존재했다 .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남녀 간의 사랑이나 갈등 등에서 벗어난 여성의 인간관계 를 보여준다 . 두 여성의 갈등과 화해 , 그리고 우정이 중심이 되고 , 이를통해 바그 다드 카페로 대표되는 사회에 조화와 화목함이 형성된다 . 이 과정은 ‘마술’이라 는 영화적 장치를 통해 진행되고 , 그 속에서 두 여성의 자아 회복이 이루어진다 . 8. 사회 속에 나타난 페미니즘 사회 깊숙이 자리 잡은 남성 중심적인 요소 때문에 최근의 여성운동은 효과를 거두 지 못하고 점점 과격해지는 경향이 있다 . 이에 따라 페미니즘의 의미가 오해 받고 있기도 하다 . 심지어 여성이 남성 중심의 사회구조를 개혁하여 여성 중심의 사회로 변화시키자는 식으로까지 오해 받고 있는 실정이다 .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화 ‘바 그다드 카페’에 나타난 페미니즘은 오늘날 바람직한 페미니즘의 모델이 될 수 있다 . 특히 여성 해방의 주체성은 중요한 요소로 꼽을 수 있다 . 감독은 영화에 등장하는 남자 배우들에게 여주인공들이 스스로 독립해가는 모습을 멀리서 지켜보거나 , 이과 정에서 존재하는 방해 요소를 제거하는 ‘조연급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여성의 주 체성을 부각시켰다 . 반면 야스민과 브렌다의 우정이 카페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과정 을 ‘주연급’으로 설정해 당시 만연하던 남성의 테두리 안에서 보호받는 것이 오히 려 편안하다는 식의 사고를 지적했다 . 오늘날의 페미니즘은 여성의 자아 회복이나 인간관계 해방보다는 여성의 사회적 해 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 그러나 야스민의 주체성은 현대 여성의 사 회적 해방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요컨대 사회 진출의 가능성을 여성 스스로 열어 야 한다는 것이다 . 9. 마치며… 진정한 양성평등은 ‘바그다드 카페식 페미니즘’을 통해 그 실현 가능 성을 확보할 것이다 . 즉, 평등에의 노력이 단지 여성의 잃어버린 권위 회 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화가 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양성의 조 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 남성과 여성이 서로 모자란 부분을 채워주고 모두 인간으로서 서로에게 도움을 주며 더불어 사는 양성평등이야 말로 우리가 진정 지향해야하는 페미니즘이자 평등운 동인 것이다 .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숲을 이용한 유아, 아동의 교육  (0) 2019.08.18
The cause of obesity, bulimia, satisfaction is the key to treatment.  (0) 2019.08.17
세계 주요 농작물 생산과 음식  (0) 2019.07.25
Blame, gossip.How to overcome hostile environment 4  (0) 2019.07.25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0) 2019.07.16
Posted by MSNU






favicon

Vorsprung durch Technik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993)
    • myPPT (813)
    • 시리즈 (164)
      • 연소 (14)
      • 경제 (5)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