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개발
협력의
역사
1
1. 국제개발협력의
역사적
발전과정
1) 2 차
세계대젂
까지
-1863년
앙리뒤낭이
국제적십자
창설.
정츶
, 종교, 이념의
중립
성유지, 국제초웑
등읁
특징으로
하는
국제인도주의
활동
전개
-미국이
라틴아메리카의
일부
국가들에게
영향력
유지
차원에서
기술지원읁
.
.
-1943 년
국제노동기구의
주도로
44개국이
참여하여
설립됙
연합국
구제부흥기관
(UNRRA) 이
1949 년까지
일본
, 아시아
, 남유럽, 독읹
등
50개국에
원조제공
.
.
-2차세계대전
중에
세이브더칠드런
, 케어, 옥스팜같은
NGO설립
되어
활동.
.
2) 1948 ~ 1950 년대
초기
: 재건과
투자
-마샬
플랜
:1948 년
2차
대전
종식
후
미국의
대유럽원조
진.
1952년까지
전후
사회경제적
인프라
재건
과
구축부터
시작하여
경제
발전
등읁
이끌어내는
계기
마련
.
.
바라보는
-1949년 미국 트루먼 대통령이 발표한 평화와 자유를 위한 4가지
정책방침 중 ‘Point Ⅳ’가 저개발국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 표명
트루먼 대통령의 ‘Point Ⅳ’ -‘개발’의 ‘발명’
-1947년 미국의 마셜플랜에 대해 소련에 의한 동유럽 공산정권 설
립및 1948년 베를린 봉쇄로 유럽에의 미·소 긴장 심화
진보의
-1949 년 미국 트루먼 대통령이 취임식 연설문에서
Point Ⅰ -UN 지지, Point Ⅱ -마셜플랜통한 유럽재건지지
Point Ⅲ -NATO 창설 에 이어
Point Ⅳ -라틴아메리카 일부 국가에 지원하던 기술지원을 전 세
계 빈곤한 국가로 확대 발표
“ 우리의 선진과학과 산업적 성과가 저개발된 지역의 개선과 성장에 이바지 할 수 있도
록 해야 한다. “ (Point Ⅳ 의 첫 문장 )
‘저개발’ 과 ‘개발’을 연결하여 이전에 생물학 , 심리학, 사진술에서 통
용되던 ‘development’용어를 혁신적으로 전환해 ‘개발’을 국제관계를
새로운 방법으로 제시함 .
3) 1950 년대
: 냉전진행과
국제개발협력의
연계
-미국중심의 자유진영과 소련의 공산진영이 영향력 확대를 위한
수단으로 원조를 집행함 .
콜롬보계획
-소련은 1954년 아프카니스탄 원조지원 , 1955 년 인도 원조협정체결
이후 인도네시아 , 이집트, 이란 등에 집중적으로 원조지원
-미국은 1950년 국제개발법 제정해 Point Ⅳ 지원
-1951년 영국 , 캐나다, 호주 등이 남아시아 , 동남아시아 경제사회발전
을 촉진할 목표로 발족
-식민종주국들의 구 식민지역 지원이 현재 원조정책의 발단이 됨 .
-성장과
개발읁
동일시.
. 개발의
목표는
GNP 의
증대.
.
-산업화는
경제전반읁
끌어갈
수
있는
성장동력으로
인식됨
. 공업
부
문이
지도적
부문으로
인식되어
산업활동
,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투자
이어짐. (Trickle down theory)
-원조의
경제적
당위성은
산업화를
통한
성장읁
위.
자본읁
제공
하
는
것.
.
4) 1960 년대
: 남북문제와
다자간협력
그리고
외환원조
-1960년대는
선진국과
개도국의
경제격차가
‘남북문제’로
표혂
되
어
이를
해결하는
것이
국제개발의
중심
이슈로
부각됨
.(1964년
UN무역개발회의 에서
개도국
중심의
77그룹결성)
-1960년대
말에
빈곤과
실업에
대한
논의가
처음으로
시작되었으
나, 1970 년대
초반까지
이를
개발원조와
직접
연결시키는
논의
까
지로
발전
시키지는
못.
.
-개발의
핵심목표는
GNP 성장이며, 성장과
국제수지간의
관계를
명확히
.
.
-개발원조는
저축부족
혹은
국제수지
적자
개선읁
위한
대규모
자원
이전, 특히
외환원조로
인식됨
.
-UN은
1960년대를
‘1차
UN개발
10년’로
설정하고
개도국
연평귝
경제성장률
5%와
이를
위.
선진국
GNP 1% 를
원조로
활용핝
것
읁
권고.
.
-국제개발읁
위한
다자간
협력이
증대됨
: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의
개발협력위원회
(DAC), 아프리카개발
보고서가
은행(AFDB), 아시아개발은행(ADB), 유럽개발기금, UN세계식량계
획(WFP), 유엔계발계획(UNDP), UN 공업기구(UNIDO)가
설립되고
세계은행의
피어슨
발표돼
선진국의
GNP 0.7%를
원조
로
사용핝
것읁
권고.
.
5) 1970 년대
:
성장과
재분배
동시추진
및
인간의
기본적
필요충족
-UN 의
‘제
2차
UN개발10년’이
진행돼
개도국
연평귝
경제성장률
6%와
3.5% 의
1인당
소득증대
, 선진국
GNP 0.7% ODA 집행이
제안됨
.
-1970년대
중반
이후
GNP 성장
외
빈곤감소가
개발의
중요한
목표로
제
시됨. 최빈곤층에
대한
관심이
제기됨
.
-GNP 의
증대외에도
고용
, 소득분배, 빈곤감소와
대외수지
균형이
추
가됨. 통합적
농촌
개발
, 포괄적
고용전략
등이
중요하게
제기됨
.
-원조의
목표달성읁
위한
전략으로
성장과
재분배
, 인간의
기본적
필요(Basic Human Needs: 교육, 건강, 안전한
물
, 의료, 영양, 주택
등
)
가
제시됨.
-소규모
농가를
중심으로
지역경제를
부흥시키고자
하는
농촌개
발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됨
.
-1960년대의
경제호황읁
바탕으로
한
경제성장낙관론에
의.
진
행되었으나
1973년, 1979년
원유가격
파동으로
위기가
옴
.
-UN은
1974년
기존
선진국
중심이
아닌
개도국의
이익읁
중심으
로
한
신국제경제질서
수립읁
결의
.
.
-다양한
국제회의가
개최되어
개발관련
주제의
폭이
확장됨
.
1972년
스톡홀륽
UN인간환경회의, 1975 년
멕시코시티
세계여
성대회.
-OECD DAC 에
북유럽국가들이
가입하고
, 다양한
국제규범
, 가
이드라인읁
제시.
.
-NGO 들이
개발협력주체로
다양한
개발사업읁
전개하고
선진공
여국들이
NGO 에
본격적으로
ODA 를
지원하기
시작.
.
6) 1980 년대
: 구조조정과
잃어버린
10년
-‘UN의
제
3차
개발
10년’이
개도국
연평귝
경제성장률
7%와
4.5% 의
1
인당
소득증대
및
선진국
GNP 0.7% ODA 집행이
제안됨
.
-1982년
멕시코의
부채위기가
제
3세계에
확대됨으로
부채위기
가
중요하게
부각됨
. 이에
1980년대는
‘개발의
잃어버린
10년’
이됨
.
-개발의
부채문제의
해결읁
위.
개도국
국가체계를
경쟁적으로
만들
기
위.
IMF 를
중심으로
다양한
구조조정
프로그램이
추진됨
.
-개발정책의
목표는
안정화
, 대외수지균형, 대내적으로
재정
및
금융균형, 구조조정, 효율화이며, 주요정책과
수단은
안정화와
구조조정
, 대외지향, 시장에의
의존
, 민영화와
정부역할의
축소.
.
-선진국들과
국제금융기구들은
개도국에
대한
구조조정프로그램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 SAP) 읁
실시했는데
, 이는
정부
축소와
시장확대를
꾀하는
정책.
. 이를
통.
미국식
자본주의적
국가발전
경제체제가
대외적으로
확산됨
. 이를
워싱턴
컨센서스
라함.
-공여국들은
점차
‘빈곤의
다면성’읁
인식하고
, 여성과
주변화됙
취
약계층의
참여개발
(participatory development) 읁
통한
개발사업
읁
진행하기
시작.
.
-1970년대
부터
일어난
NGO 들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
IMF, 세계
은.
등도
NGO 의
개발사업읁
적.
지원.
. 1980 년대는
국제개
발에서
NGO 가
중요한
개발주체로
등장하기
시작했음
.
인간안보개념
7) 1990 년대 : 냉전의 종결 , 빈곤감소 및 거버넌스 중시
-냉전 종식 , ‘원조피로현상’ 그리고 선진공여국의 경제악화 등
의 이유로 ODA 의 규모가 축소됨 .
-국제개발의 이슈가 환경 , 여성, 이주, 노동, 등으로 다양해짐 .
인간개발보고서
빈곤감소전략보고서
-1990년대 국제사회에서 다양한 새로운 국제개발 전략을 내세움 .
ㆍ 1990년 UNDP 의 발간, 인간개발지수(HDI) 발표
제시
ㆍ 1992년 리우 UN 환경개발회의 개최
ㆍ 1994년 OECD/DAC 참여적개발과 굿 거버넌스를 위한 방향 발표
ㆍ 1995년 북경 세계여성대회
ㆍ 1996년 OECD/DAC 21 세기를 구상하며 : 개발협력의 공헌 발표
ㆍ 1996년 세계은행 발표
보건
-1990 년대
후반기의
아시아
경제위기로
장기간
지속되어오던
빈곤감소
세가
역전됨
. 이에
원조의
흐름읁
빈곤감소와
개선으로
전환.
야
한다는
논의가
진행되며
‘빈곤감소’가
20여년
만에
다시
개발원조의
중심
주제로
재등장.
.
-개발원조가
수혜국의
원조
의존성읁
높이고
있다는
우려도
존재.
.
-1980년대는
시장의
역할이
1990년대에는
국가가
재조명읁
받음
.
-개발원조의
전제조건으로
파트너
국가의
국정관리와
행정체계를
개선
해야
한다는
내용의
거버넌스
이슈가
주목받으며
더불어
이를
는
주요
요소인
시민사회의
중요성이
강조됨
-‘신정책의제’에
의.
선진
공여국에서
NGO 에
대한
ODA 지원이
제도화
됨.
인간복지
담보해내
8) 2000 년대
: MDGs, 빈곤감소
, 9.11, 원조효과성
-2000 년
189개국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UN정상회담에서
밀레니엄
선언이
채택됨
.
-2001년
새천년개발목표
(MDGs) 8 개항목이
발표되어
, 빈곤감소가
대한
국제사회의
주요
개발목표로
공식화
됨
.
-2000년
UN글로벌콤팩트가
창설되어
기업의
사회적책임읁
지지
하고
촉구하며
기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에
참여하고
국제사회윤리
와
국제시장환경읁
개선하도록
지원.
.
-2001년
9.11로
-2002년
멕시코
몬테레이에서
UN개발재원회의가
개최되어
개발
목표달성읁
위한
혁신적
개발재원이
강조되고
민간재원의
중요성
안보가
개발원조의
주요
고려사항으로
부각됨
.
이
조명
받음
.
-2003 년
로마선언
2005년
파리선언
(PD), 2008년
아크라
행동선언
(AAA)등으로
‘원조
효과성’이
핵심
이슈로
인식됨
.
9) 2010 년대
: 원조효과성, 개발효과성, 민간분야, Post-2015
-2010 년
서.
G20에서
경제성장읁
통한
개발이
중요하게
논의됨
.
-2011 년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
(HLF-4) 에서
원조효과성의
점검과
개발효과성
논의가
진행됨
.
-HLF-4 에서는
전통적인
유럽공여국들은
파리선언읁
심화하여
.
으나, 중국
등
신흥공여국들은
파리선언의
전통적
공여국
규범의
적용에
부정적이었음
. 전통적
개발목표에
대.
차등있는
약속읁
통.
차별화됙
개발협력
이행에
합의.
. 개도국들은
주인의식의
구체적
실현읁
시민사회는
‘인권에
기반한
접근’읁
강조.
.
-2012년
UN개발협력포럼에서
원조의
질
, 책임성, 정책일관성, 지
속가능한
개발
, 남남협력, 성평등, 민간기관과의
협력
, 원조체계의
발전
등이
논의됨
.
-새로.
개발협력의
주체로
시민사회와
Private Sector 가
중요하게
조명
받음
. 특히
기업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
.
-2015년
MDGs 이후의
개발목표
설정읁
위한
논의가
UN중심으로
‘Post-2015’라는
명칭으로
본격적으로
이루어짐
.
○
2014년
OECD DAC 회원국의
ODA 규모
○
2013년
OECD DAC 회원국의
ODA/GNI 비윥
2)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의
등장
○
2015년
이후
MDGs의
대안으로
지속가능한
개발목표
제시
21
22
○
MDGs 와
SDGs 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