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법:: 5. 대명사 (Pronoun) Ⅱ
Ⅰ. 의문대명사
1. 의문사의 용법:
⋆의문문을 나타내는 who, whom, what, which, when 등을 의문사라고 하며
크게 의문대명사와 의문부사로 나눈다.
⋆의문대명사 : who, whom, whose, what etc.
⋆의문부사 : why, where, when, how etc.
1) who : 사람의 성명, 혈족관계
∙Who is he? He is John, my cousin.
2) what : 사람의 직업, 신분 및 사물
∙What is he? He is a poet.
3) 의문대명사가 주어로 쓰일 때 do나 did와 같은 조동사가 필요 없다.
∙Who told you?
∙What makes you so sad? = Why are you so sad?
2. 직접의문문과 간접의문문.
1) 직접의문문 : ��의문사 + 동사 + 주어�� 형태 → 직접의문문.
2) 간접의문문 : 의문사가 이끄는 절이 다른 문장에 포함되어 종속절이 되면,
그 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형태로 되어 명사절이나 명사구가 된다.
직 접 의 문 문 | 간 접 의 문 문 |
Who is that man? | I don't know who that man is. |
What does she want? | I don't know what she wants. |
Who come first? | Ask him who came first. |
Which flower do you like better? | Tell me which flower you like better. |
3) 간접의문문에서 의문사가 문두로 나가는 경우.
⋆동사가 think, suppose, believe, imagine, guess 등의 생각동사일때는 반드시
의문사를 문두로 도치시킨다.
∙What does he want? (⃝)
→ Do you know what he wants? (×) → yes, no의 대답이 가능하다.
∙Do you think what he wants? (×)
→ What do you think he wants? (⃝) → yes, no로 대답 할 수 없다.
3. 의문사절의 역할
1) 주어 역할
∙Who did it is a question to me. (누가 그것을 했는지 나에게 문제가 된다.)
2) 보어 역할
∙The question is who did it. (문제는 누가 그것을 했느냐이다.)
3) 목적어 역할
∙Tell me who did it. (누가 그것을 했는지 말해다오. 동사의 목적어)
∙There is no doubt as to who did it.
(그것을 누가 했는지에 대해 의심할 바 없다. 전치사의 목적어.)
4) 의문사절이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때, 전치사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They are ignorant what they are after. (be ignorant of의 of가 생략됨)
(그들은 자기들이 무엇을 추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I have no idea who did it. ( ∼as to가 생략됨)
(누가 그것을 했는지 전혀 모른다.)
= I have no idea as to who did it.
4. 수사의문문
1) 수사의문문 : 자신의 생각을 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의문문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
∙Who knows? (수사의문문 : 누가 알겠는가?)
= Nobody knows. (평서문 : 아무도 모른다.)
∙Who does not know the fact?
= Everybody knows the fact.
2) 일반적으로 수사의문문이 긍정이면 평서문은 부정문, 부정이면 긍정문이다.
∙Who is there but commits errors?
= There is nobody but commits errors. (but은 관·대 주격으로 that ~ not의 뜻)
= Everybody commits errors.
= Who is there that does not commit errors? (형용사절)
= There is nobody that does not commit errors. (형용사절)
∙Who would do such a thing but a fool?
= Who but a fool would do such a thing.
= None (Only) but a fool would do such a thing.
⋆but은 전치사로서 ��~을 제외하고는�� 의 뜻. (save, except)
⋆What is the use of ~ ? : ~하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느냐?
5. 부가의문문
1) 용법
⋆주로 회화에서 쓰이며, 앞문장(주절)이 긍정이면 부정의 부가의문문을 사용하고,
앞문장이 부정이면 긍정의 부가의문문을 사용.
⋆부가의문문의 주어는 항상 대명사를 쓰며, 동사와 not은 축약형을 사용한다.
⋆주절에 be동사가 있을 땐 be동사, 조동사가 있을 땐 조동사, 일반동사는 do를 사용한다.
∙They are listening to the radio, aren't they?
∙She can't speak French, can she?
∙Tom has a book, doesn't he? (○) (이때 have는 일반동사로 ��가지고 있다�� 의 뜻임)
∙Tom has a book, hasn't he? (×)
∙You bought a new car, didn't you?
2) 완료시제 문장에서는 have로 쓴다.
∙You've been to Pusan, haven't you?
3) have to는 부가의문문에서 반드시 have 대신 do를 사용한다.
∙You have to study English, don't you?
4) 조동사 should나 ought to는 반드시 ��shouldn't + S�� 의 형태로 쓴다.
∙You should study harder, shouldn't you?
∙I ought to go by plane, shouldn't I?
5) 명령문의 부가의문은 주절이 긍정이든 부정이든 언제나 will you?로 쓴다.
단, 권유의 뜻으로 쓰인 명령문은 won't you? 를 사용한다.
∙Do it at once, will you?
∙Have a cup of coffee, won't you?
6) 주절에 no, nothing, seldom, hardly, scarcely 등이 있을 경우는, 이들 자체가
부정의 뜻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부가의문문은 긍정으로 쓴다.
∙We have no time, do we?
∙He seldom came here, did he?
7) 기타 부가의문문
∙She's doing her best, isn't she? (= She is doing her best.)
∙She's done her best, hasn't she? (= She has done her best.)
⋆윗 문장의 's는 is도 되고 has도 되나 본래의 문장은 She is doing her best와
She has done her best이므로 isn't she와 hasn't she로 부가의문문을 써야한다.
∙You'd better go at once, hadn't you?
⋆You'd는 You had의 약자이며 had better의 부가의문문은 hadn't이다.
Ⅱ. 관계대명사
1 역할
⋆관계대명사는 앞에 있는 명사나 대명사(→선행사)를 받는 구실을 하면서 두 문장을 연결해
주므로 「접속사 + 대명사」의 역할을 겸하면서 형용사절을 이끌어 관계대명사 앞의 선행사
를 수식한다.
∙I have a friend. He plays tennis very well.
⇒ I have a friend who plays tennis very well.
(선행사)(관·대)
2. 관계대명사의 종류
주 격 | 소 유 격 | 목 적 격 | 선 행 사 | 문중역할 | 전치사와의 관계 |
who | whose | whom | 사 람 | 형용사절 | 동반한다. |
which | whose, of which | which | 동 물, 사 물 | 형용사절 | 동반한다. |
that |
| that | 사람, 동물, 사물 | 형용사절 | 동반하지 않는다. |
what |
| what | 사물(선행사 포함) | 명사절 | 동반하지 않는다. |
3 관계대명사 WHO (who - whose - whom)
1) Who
∙This is the girl. She is a good typist.
→ This is the girl who is a good typist. (형용사절)
⋆She가 주격이므로 주격 who를 사용.
2) Whom
∙This is the boy. I wanted to see him.
→ This is the boy whom I wanted to see.
3) Whose
∙A child is called an orphan. His parents are dead.
→ A child whose parents are dead is called an orphan.
⋆A child와 His는 같은 사람이며, His가 소유격이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를 씀.
4) 관계대명사 + one think(imagine, suppose, guess, believe, be sure) ⇒ 삽입절
관계대명사 + one think( ┈ ) + to부정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와야한다.
∙I picked up a man who I thought was honest. (I thought는 삽입절)
∙I picked up a man whom I thought to be honest.
5) who, whom 자체에 선행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Who steals my purse steals trash. (Who∼ = He who∼) <Shakespeare>
∙Whom the gods love die young. (Whom∼ = Those whom∼) <Byron>
6)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를 사용해서 연결해 봅시다.
① I have a friend. He lives in New York.
⇒
② The lady was coming toward them. She lived next door.
⇒
③ The girl is my sister. She plays with a doll.
⇒
④ I have a friend. His father is a doctor.
⇒
⑤ She is the teacher. I never forget her name.
⇒
⑥ This is James. You met his father the other day.
⇒
⑦ She has a son. She loves him very much.
⇒
⑧ The lady is completely blind. I saw her in a bus.
⇒
⑨ They are the boys. He teaches them.
⇒
⑩ A child is called an orphan. His parents are dead.
⇒
4. 관계대명사 WHICH의 용법 (which - whose, of which - which)
1) Which
⋆선행사가 동물이나 사물일 때 쓰이며 주격으로 which, 소유격으로 of which나 whose,
목적격으로 which가 쓰인다.
⋆which가 계속적 용법으로 쓰일 땐 구, 절, 형용사들을 선행사로 받는 용법이 있다.
2) 주격, 목적격으로 쓰일 때.
∙I have a book. It is very interesting.
→ I have a book which is very interesting.
∙This is the dictionary. I bought it yesterday.
→ This is the dictionary which I bought yesterday.
⋆which는 주격과 목적격의 형태가 동일하므로 ��which + S + V ∼��이면 목적격
��which + V∼��이면 주격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전치사와 관계대명사가 함께 쓰일 때, 전치사는 관계대명사절의 끝부분에 놓일 수도
있고, 관계대명사의 바로 앞에 놓이기도 한다.
2) 소유격으로 쓰일 때.
∙This is the word. I don't know the meaning of it.
→ This is the word which I don't know the meaning of.
⋆which는 전치사 of의 목적격이므로 생략 가능.
→ This is the word of which I don't know the meaning.
→ This is the word the meaning of which I don't know.
→ This is the word whose meaning I don't know.
⋆선행사가 사물인 경우,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대신에 of which를 쓰기도 한다.
이때 소유의 대상이 되는 말은 of which의 뒤에 오기도 하고 앞에 올 수도 있다.
⋆which 앞에 전치사 of가 있을 땐 of which가 소유격이기 때문에 which를 생략
할 수 없다.
3) which가 구, 절, 형용사를 선행사로 받을 때.
∙He wanted to come, which was impossible. (= but it)
⋆관계대명사 앞에 comma가 있으면 계속적인 용법으로서 ��접속사(and, but, for, though)
+ 대명사��의 형태로 바꿔 쓸 수 있다.
4) 신분, 지위, 성격을 선행사로 받을 때.
∙He is a gentleman, which his brother is not.
⋆선행사가 사람일지라도 신분, 지위, 성격을 나타낼 때에는 who, whom을 쓰지 않고
which나 that을 사용한다.
∙She is no longer the shy girl which(or that) she was ten years ago.
⋆that은 계속적인 용법에는 쓰이지 않고 제한적 용법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5)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를 사용해서 연결해 봅시다.
① I have bought a novel. It is very interesting.
⇒
② This is a store. It opens late at night.
⇒
③ Mary keeps a cat. It has a long tail.
⇒
④ This is a house. Its roof is green.
⇒
⑤ I keep a cat. The cat's eyes are brown.
⇒
⑥ The mountain is Kilimanjaro. Its top is covered with snow.
⇒
⑦ The bicycle is nice. I bought it yesterday.
⇒
⑧ This is the house. Tom lives in it.
⇒
⑨ This is the letter. My father wrote me the letter.
⇒
5. 관계대명사 THAT (that - × - that)
1) 관계대명사 that
⋆that은 한정용법에만 쓰이고, 계속적 용법에서는 쓸 수 없다.
⋆that은 사물, 사람, 동물에 모두 쓰이며 소유격이 없다.
⋆that 앞에는 전치사를 쓸 수 없다.
⋆that는 who, whom which 등을 대신해서 쓸 수 있다.
① 선행사가 사람과 동물일 때.
∙A man and his dog that were passing by were injured.
② 선행사에 최상급 형용사, 서수사, the very, the only, the last, the same, every, all,
any, no 등이 포함되어 있을 때는 that을 쓴다.
∙He is the greatest poet that korea has ever produced.
③ 선행사에 의문대명사 who, what, which 등이 올 때는 that을 쓴다.
∙Who that has common sense can believe such a thing? (주격)
∙Which is the book that you want to read. (목적격)
∙Who is the man that is talking with the foreigner?
2) That의 용법
① 지시대명사.
∙Can you see that?
∙The climate of Korea is milder than that of China.
② 지시형용사.
∙Give me that chair.
∙from that hour: 그 시간부터.
∙at that time : 그 시간에.
⋆지시형용사로 쓰일 땐 ��that + 명사��의 형태로 that이 다음에 오는 명사를 수식
③ 지시부사.
∙Don't eat that much. (그렇게 많이 먹지 마라)
⋆that이 수량이나 정도를 나타내는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면서 ��그만큼, 그렇게��의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 → 지시부사.
④ 접속사로 쓰일 때.
∙That he is innocent is certain. (주어「명사절」)
= It is certain that he is innocent. (진주어)
⋆that 다음의 문장이 완전한 경우에는 that이 접속사로 쓰인 경우이다.
⑤ It ~ that 강조구문.
∙I bought the book on Monday.
= It was on Monday that I bought the book.
⑥ 관계대명사로 쓰일 때.
∙He is the greatest actor that has ever lived.
⑦ 관계부사의 대용으로 쓰일 때.
∙This is the last time that(when) I teach you.
∙This is the village that(where) the poet was born.
⋆that이 관계부사 when, where, why, how 등의 대용으로 쓰임.
⑧ that의 발음 : 지시대명사, 지시형용사, 지시부사일 때 → [dæt]
관계대명사, 접속사, 관계부사일 때 → [dət]
3)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를 사용해서 연결해 봅시다.
① Eliza is the girl. She told me the story.
⇒
② The steak was not good. I ate it yesterday.
⇒
③ This is the most beautiful flower. I've ever seen the flower.
⇒
④ He was the only man. I could believe him.
⇒
⑤ This is all. I can do it for you.
⇒
⑥ Look at the boy and his dog. They are running.
⇒
6. 관계대명사 WHAT = 선행사 + 관계대명사
(that which, those which, the thing(s) which, all that 등)
1) 관계대명사 What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한다 : what = 선행사 + 관계대명사.
⋆what은 that which~, all that~, anything that~, the thing(s) which~, those which∼
로 바꾸어 생각할 수 있다.
∙What(that which) is beautiful is not always good. (주어「명사절」)
∙I will do what(all that) I can. (목적어「명사절」)
∙What I say is always quite true.
∙There is some truth in what he says.
∙What is important is not what he has but what he is.
∙What one has : 재산
∙What one is : 인격
∙You should judge a man not by what he has but by what he is.
∙What is important is not what he has but what he is.
2) what을 포함하는 관용적 표현
① what one is ( (상태의) 인물, (인격적) 인물)
② what is(are) called = what you(we, they) call (소위, 말하자면)
∙He is, what we call, a self-made man.
(그는 소위 자수성가한 사람이다.)
③ what is worse = to make matters worse (설상가상으로)
④ A is to B what C is to D
= Just as C is to D, so is A to B
= What C is to D, A is to B
= A가 B에 대한 관계는 C가 D에 대한 관계와 같다.
∙Reading is to the mind what(as) exercise is to the body.
= Just as exercise is to the body, so is reading to the mind.
= What exercise is to the body, reading is to the mind.
(독서가 마음에 대한 관계는 운동이 신체에 대한 관계와 같다.)
⑤ What is + 비교급 : 더욱 ~ 한 것은.
∙She is beautiful, and what is better still, tender-hearted.
⑥ What with A and (what with) B
(한편으로는 A 때문에, 또 한편으로는 B 때문에. <원인, 이유>)
∙What with fatigue and (what with) hunger, he fell down as if he were dead.
(피곤도 하고 배도 고프고 해서 그는 죽은 사람처럼 쓰러졌다.)
⑦ What by A and (what by) B. (수단, 방법)
(한편으로는 A에 의해서, 또 한편으로는 B에 의해서...)
∙What by threats and (what by) entreaties, he achieved his aim.
(협박도 하고 또 간청도 해서, 그는 그의 목적을 달성했다.)
7. 관계대명사의 생략
⋆문장을 간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경우엔 관계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다.
1) 관계대명사가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 일때.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가능)
∙This is the boy (whom = that) we saw yesterday. (동사의 목적어 : 생략 가능)
∙This is the house in which he lives. (생략 불가능)
∙This is the house (which) he lives in. (생략 가능)
∙He has no friend (whom) he can depend upon. (전치사의 목적어 : 생략 가능)
⋆관계대명사를 생략할 때, 관계대명사 앞에 있는 전치사는 뒤에 온다.
2) 주격보어, 목적격보어로 쓰일 때
∙He is not the man (which or that) he was two years ago.
∙She is not the girl (that) she was.
∙I am not the fool (that) you think me (to be).
3) 관계대명사 다음에 there is, there are가 계속될 때.
∙He taught me the difference (that) there is between right and wrong.
4) There is, Here is, It is, What is, Who is로 시작되는 구문에서.
∙There is a boy (who) wants to see you.
∙It was he (that) met her yesterday.
5) 예외적으로 관계대명사가 생략이 안되는 경우.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에서는 생략이 불가능하다.
∙I bowed to the gentleman, whom I knew well.
ⓑ 전치사 + 관계대명사가 시간, 장소, 방법 등을 나타낼 때.
∙I remember the day on which he went to the front. (= when, 시간)
ⓒ of which, of whom이 어느 부분을 나타낼 때에는 생략이 불가능하다.
∙I bought ten pencils, the half of which I gave my brother.
ⓓ 관계대명사의 주격, 소유격은 생략할 수 없다.
다만, 주격과 뒤에 오는 be동사를 함께 생략할 수는 있다.
∙It is a very old monument (which is) made of marble.
8. 관계대명사의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1) 관계대명사의 제한적 용법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형용사절이 앞에 있는 선행사를 수식하며 제한, 또는
한정하는 경우를 제한적 용법이라고 한다.
⋆관계대명사 앞에 ,(comma)가 없고 뒤에서부터 올려서 해석한다.
2)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앞에 ,(comma)가 있으며 선행사를 수식, 그것에 관해 설명을 하
는 경우를 계속적 용법이라고 한다.
⋆접속사(and, but, for, though) + 대명사의 역할을 한다.
⋆앞에서부터 내려 번역하며 관계대명사의 생략이 불가능하다.
⋆that은 계속적 용법에 쓸 수 없다.
3)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의 비교
∙He had three sons, who became statesmen. (계속적 용법, who = and they)
∙He had three sons who became statesmen. (제한적, 한정적 용법)
∙He had four sons who became doctors.
→ 제한적 용법 - 의사가 아닌 아들이 또 있었는지도 모른다.
∙He had four sons, who became doctors.
→ 계속적 용법 - 아들 넷이 있었는데, 모두 의사가 되었다.
∙I will wear no clothes which will distinguish me from my fellow-men.
∙I will wear no clothes, which will distinguish me from my fellow-men.
∙Everybody likes Tom, who is kind. ( , who = for he)
(모두 Tom을 좋아한다. 왜냐하면 그는 친절하기 때문이다.)
∙I met a boy, who told me the news. ( , who = and he)
(나는 한 소년을 만났는데, 그가 그 소식을 나에게 말했다.)
∙The farmer, who is poor, is honest. ( , who = though he)
(그 농부는 비록 가난하지만 정직하다.)
9. 관계대명사와 전치사
∙This is the house. I spoke of it.
→ This is the house which I spoke of.
→ This is the house (which) I spoke of.
→ This is the house of which I spoke of. (전치사 + 관.대는 생략 불가)
→ This is the house that I spoke of. (that앞에서는 전치사를 쓸 수 없음.)
10. 복합관계대명사 : 관계사 + -ever (whoever, whomever...)
⋆What과 복합관계대명사는 모두 선행사의 역할과 관계대명사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음.
1) 명사적 용법.
∙Give it to whoever wants it. (= anyone who : wants의 주어)
∙Give it to whomever you like. (= anyone whom : like의 목적어)
∙Choose whichever you like. (= anything that)
∙I will give you whatever you need. (= anything that)
2) 형용사적 용법. (⇒복합관계형용사)
∙You may read whatever book you like.(= any book that)
∙Take whichever book you like. (= any of the books that)
∙Whosever horse comes in first wins the prize. (= anyone whose)
⋆whosever는 거의 쓰이지 않고 anyone whose가 쓰인다.
3) 부사적 용법. (양보의 부사절을 유도)
∙Whoever may come, he will be welcome. (= No matter who)
∙Whatever you may do, do it well. (= No matter what)
∙Whichever you choose, you will be pleased. (= No matter which)
∙However eloquently a dog may bark, he can not tell you that his parents were poor
but honest. (= No matter how) <Bertrand Russel>
⋆오늘의 영어에서는 may를 안 쓰고 직설법을 쓰는 경우가 많다.
4) Whatever는 부정문, 의문문에서 강조어로 쓰인다.
∙There can be no doubt whatever about it.
∙Is there any chance whatever?
(조금이라도 가망이 있습니까?)
11. 관계 형용사
∙He spoke to me in french, which language I could not understand.
⋆관계대명사로서의 which가 명사 language를 수식한다.
∙I gave them what money I had.
⋆what은 money를 수식하는 동시에 I had를 형용사절로 money에 연결시킨다.
= I gave them all the money that I had. (what = all the....that)
∙I will approve whichever(or whatever) course you decide on.(복합관계형용사)
12. 의사 관계 대명사 (as, but, than)
⋆원래는 관계대명사가 아닌 접속사가 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할 때,
이를 의사관계대명사(Quasi Relative Pronoun)라고 한다.
1) 관계대명사 as
⋆선행사에 such, the same, as등이 있을 때, 뒤의 as는 관계대명사로 본다.
⋆주격과 목적격이 있다.
∙Choose such friends as will benefit you. (will의 주어 : 주격)
∙Do not read such books as stain your mind. (stain의 주어 : 주격)
∙Beware of such as flatter you to your face. (flatter의 주어 : 주격)
∙He is not such a man as I expected. (expected의 목적어 : 목적격)
∙I have the same trouble as you have. (have의 목적어 : 목적격)
∙As many men as came were caught. (온 사람은 다 붙잡혔다 : 주격)
∙He is absent, as is often the case. (as의 선행사는 He is absent(절))
∙He is American, as I knew from his accent.
(그의 말투로 안 일이지만 그는 미국인이었다.)
∙As was the custom with him, he went out for a walk after supper.
(여느 때처럼 식사 후에 산책 나갔다.)
⋆The book is written in such easy English as I can read.
(나도 읽을 수 있을 만큼 쉬운 영어로 씌어졌다.)
⋆The book is written in such easy English that I can read.
(쉽게 씌어졌기 때문에 나도 읽을 수 있다.)
⋆This is the same watch as I lost. (동일종류) : the same은 생략불가능
⋆This is the same watch that I lost. (동일물) : the same은 생략가능
(the same은 바로 같은 물건임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됨.)
2) But의 용법 (but = that ∼ not)
⋆but이 관계 대명사로 쓰이는 경우 - but 앞에 no, not, never, scarcely, hardly 등의
부정하는 말이 나와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부정을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There is no rule but has some exceptions.
= There is no rule that has not some exceptions.
∙There is no one but knows him.
= There is no one that does not know him.
∙None came to his house but were welcome.
= None came to his house that were not welcome.
(그의 집에 오는 사람은 누구나 환영을 받았다.)
⋆기타 but의 용법
① 등위접속사로 쓰이는 경우.
∙Summer is hot, but winter is cold.
∙He is a hard-working but not very intelligent boy.
② 부사로 쓰이는 경우.
⋆부사로 쓰이면 only(단지, 오로지, 불과)의 뜻으로 쓰이며, but을 생략해도
문장이 성립한다.
∙He is but a child. (그는 단지 어린애에 지나지 않는다.)
∙It is but a question of money. (그것은 단지 돈에 관한 문제이다.)
③ 전치사로 쓰이는 경우.
⋆but이 전치사로 쓰이면 except, save의 뜻으로 쓰이며, but을 생략하면
문장이 성립하지 않는다. (but + 목적격 형태로 쓸 것.)
∙All but him were drowned. (그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익사했다.)
∙Nobody but me attended the meeting.
(나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그 모임에 참석하지 않았다.)
∙Nobody know (but God). = Only God knows. = No one knows.
④ 종속접속사로 쓰이는 경우.
⋆종속접속사로 쓰이면 that ~ not의 뜻으로 쓰이며,
but이하의 문장은 완전한 문장이 된다.
∙No one is so old but he may learn.
= No one is so old that he may not learn.
3) 의사관계대명사 than
⋆선행사에 비교급(more)이 있는 문장에서 than을 관계대명사로 쓰며,
주격, 목적격이 있다.
∙There are more books than are needed.
∙Her service has been more valuable than was supposed.
∙The next war will be more cruel than can be imagined. (can be의 주어)
∙He has more money than I have now.
∙Children should not have more money than is needed.
13. 이중 제한
⋆두개의 관계 대명사가 이끄는 형용사절이 하나의 선행사를 공동으로 수식하는 것.
∙There is no one that we know who can do such a thing.
∙Is there anything that you want which you do not have?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tz-Carlton::Hotel management case 리츠칼튼 호텔::호텔 경영 사례 (0) | 2013.09.01 |
---|---|
영문법 ::: 6. 형용사 (Adjective) Ⅰ (0) | 2013.08.23 |
기업과 기업인:고대-2- & 기업의 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0) | 2013.08.16 |
기업의 역사 -1-고대 & 사회적 기업과 경제,협동 조합 (0) | 2013.08.15 |
추노와 조선시대 노비제도 (0) | 201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