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FEF495766701C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852495766701C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E73495766701D1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9A0495766701E0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56F495766701F0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9A24957667020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9B74957667021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64D4B576670213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AAC4B57667022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FF24B57667023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DB64B57667024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1154B57667025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FA44B57667026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68C4B576670270C)
도덕성
발달
1. 도덕성의
정의
.
도덕성
.
‘자신과
타인의
행위에
대하여
선과
악
, 옳고
그름읁
구별하고
선행과
정의
륹
실천하려는
심성’
.
‘자신이
속.
사회집단이
기대하는
행동
규범에
부합되는
방향으.
사고.
고
행동하게
하는
체계’
.
‘도덕적인
판단력과
도덕적인
행동
, 도덕적인
태도.
이루어진
정신적인
면
과
행위적인
면읁
포함.
규범의
총체’
2. 도덕성의
발달
1) 도덕성
발달에
대.
이론적
관점
(1) 정신분석이론.도덕성의정의적측면즉동정심, 이타심, 죄책감과같은도덕적감정과태도에초점을두는입장유아가사회적규범을지키지못하였을때생기는죄책감이나수치심과같은도덕적감정의경험을통해도덕적으로옳고그름에대한기준과판단을내면화시킬수있다고보는관점이다.
(2) 사회학습이론.도덕성의행동적측면에초점을두고도덕적갈등상황에서나타나는구체적인개인의행동및도덕적실천력을강조하는입장.도덕성발달은어릴때받은양육방법과사회적환경이내면화되면서형성된다는입장을취한다.
(3) 인지발달이론.인간의합리적판단능력이도덕적행위를일으키는본질이라고간주하는입장이다. 즉인지발달이론은도덕성의인지적측면을중시하며, 개인이더높은단계의사고로발달하는것과비례하여그사람의도덕적능력또한높아질것이라고가정한다.
2. 도덕성의
발달
2) 도덕성의
발달과정
(1) 도덕적
정서
.
도덕적
정서란? ‘도덕적으.
적합하거나
적합하지
않
은
행동에
대.
행위자의
느낌’
(감정이ㄷ
,수치심
, 죄책
감등
) 영아기에
나타나는
감정이입은
자기입장에서
그
상
황읁
이해하고
반응하는
특징읁
보인다
.
.
유아의
연령이
높아질수.
사람마다
관점이
서.
다륹
수
있고
그에
따른
반응도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읁
이해하게
되며, 상대방의
입장읁
고려하여
더욱
적절하게
반응.
수
있게
되고
, 점차
감정이입읁
언어.
표현하는
수준으로까
지
발달하게
된다
.
2. 도덕성의
발달
.
감정이입의
발달과정
발달시기
발달
특징
영아기
초기
막연.
감정이입의
단계, 다른
아이가
우는
것읁
보고
같이
슬퍼하나
자기와
다른
사람의
감정
사이에
구별이
안
되므.
일종의
모방ㄶ
생후
1~2년
(걸음마기)
다른
사람의
감정
상태륹
어느
정도
이해하기
시작하여
다른
사람의
아픔에
근심어린
얼굴.
감정이입읁
보이나
효과적으.
돕지는
못.
생후
3~6년
(유아기)
같은
상황에서도
다른
사람은
자기와
다른
감정읁
가질
수
있다는
이해륹
바탕으
.
점차
상황에
적절.
감정이ㄷ
행동읁
하게
됛
2. 도덕성의
발달
(2) 도덕적사고(계속)
.도덕적사고란?‘어떤특정한행동이옳고그른지판단하는것’을의미한다. 콜버그와피아제에의하면유아의도덕적사고는외부의규칙에의존하고복종하는수준으로부터상황을고려하여스스로판단을내리는수준으로발전해간다. 또한아동이사물이나상황의여러측면을동시에고려할수있는사고수준으로발달해감에따라자신의도덕적기준을바탕으로한성숙한도덕적사고를할수있게된다.
2. 도덕성의
발달
.피아제의도덕성발달이론.규칙을내면화하고규칙에비추어비판하는능력을도덕성의본질로보고, 타율적도덕성단계로부터자율적도덕성단계로발달하기위해서는인지적성숙과사회적경험이모두중요한역할을한다고하였다.
.콜버그의도덕성발달이론.도덕성을‘사회적행동규칙에대한양심’으로정의내리고아동이문화적규칙을내면화하는과정에서도덕성발달이이루어진다고보았다.
.아이젠버그의도덕성발달이론.외부로부터의압력이최소화된상태에서자기자신의요구와다른사람의요구나가치중어느한쪽을선택해야하는상황에서도덕적판단의형태가다르게나타날수있다고가정하였다. 친사회적행동을중심으로도덕성발달을설명하고평가하는것에초점을두기때문에친사회적도덕추론모델이라고도한다.
.길리건의도덕성발달이론(보살핌의윤리학)
.남성들의정의지향적도덕성에비추어여성들이선호하는배려지향적도덕성을낮은단계로규정한Kohlberg 의이론을비판하면서도덕성발달에성차가있음을주장하였다.
2. 도덕성의
발달
피아제콜버그아이젠버그길리건
.
젂
도덕성
단계
(2-4세)
.
타율적
도덕성
단계
.
젂
인습적
수준
(4-10세)
처벌
및
복종
지향
개인주의
도구적
목
.
1수준(권위와
벌에
대
.
강박적이고
신비적
관점)
.
1수준(자기중심적
단계)
.
1.5수준(이기심에서
책
임감으로의
변
(5-6세)
.
자율적
도덕성
단계
(8-11세)
적
및
거래
지향
.
인습적
수준
(10-13세)
상호간
기대
및
동조
지향
법과
질서
지향
후
인습적
수준
(13세
이후)
.
2수준(쾌락, 자기중심
적
관점)
.
3수준(타인의
필요
중
심)
.
4수준(타인의
인정, 대
인간
고정관념
중심)
화)
.
2수준(책임감과
자기
희생의
단계)
.
2.5수준(선행에서
인간
관계에
대.
진실성으로의
변화)
.
5수준(동정
중심) .
3수준(자신과
타인읁
배려하는
단계
.
6수준(강.
내면화)
2. 도덕성의
발달
(3) 도덕적행동.도덕적행동이란? ‘타인의요구와필요를고려하고이를기초로행동하는것’을의미한다. 사회학습이론에의하면도덕적행동은그행동에따른결과, 모델링, 다른사람의격려를통해도덕적인행동이발달된다.
.유아기의친사회적행동은칭찬을받고비난을피하려는자기중심적인동기가주된것이나아동기에는자기중심성이감소하면서타인으로부터‘착한아이’라는인정을받고싶어하는사회적기준에더욱비중을두게된다. 친사회적행동이나이타적인행동의증가는도덕적사고의발달및도덕적인정서, 정서조절능력의발달에기인한다.
3. 도덕성
발달의
영향
요인
부모-자녀간의상호존중이나애정적유대에기초한긍정적인훈육방법은도덕적행동발달에중요한요소가된다.
강압적인방법이나애정철회방법은아동에게지나친자극을주어적대감이나불안을느끼게하는반면, 합리적이고귀납적인방법은왜어떤행동을해서는안되는지,
다른사람에어떠한영향을미치는지를설명해줌으로써아동의이해와도덕성의내면화를도울수있다.
1) 부모의양육태도
3. 도덕성
발달의
영향
요인
.수평적이고상호호혜적인또래관계는규칙의준수와예절습득등에대한자율적이고융통적인발달을촉진시킨다고하였다. 또한또래와의게임이나놀이경험은도덕적추론을경험하는기회가되어도덕성발달에기여한다.
2) 또래와의상호작용
3. 도덕성
발달의
영향
요인
.유아는대중매체에나오는다양한역할들을관찰함으로써그들이표현하는가치와정서적반응, 새로운행동등을학습하게되며더나아가도덕적판단이나도덕적행동도배우게된다.
3) 대중매체
4. 도덕성
발달을
돕는
교사의
역할
.유아기도덕교육은인간의정신적행동과외현적행동을통합하여습관이내재화되는기본생활교육으로이루어져야한다.
1) 생활속에서도덕적행동이습관화될수있도록꾸준히가르치기.교사가평소다른사람의입장에서생각하는태도를보여주거나도덕적인행동을솔선할때유아의도덕성발달에보다긍정적인영향을미칠수있다.
2) 도덕적으로바람직한모델링제공하기
4. 도덕성
발달을
돕는
교사의
역할
.일상에서일어나는도덕적갈등상황이나이야기속딜레마에대해서이야기나누는경험은도덕적문제상황에대한추론및판단, 도덕적감성, 문제해결능력의발달에긍정적인영향을미친다.
3) 유아와함께도덕관련주제에관해이야기나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