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AD63C569DCEF6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FEE3C569DCEF8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E253C569DCEFA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CC83C569DCEFB0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B863C569DCEFD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1CA3C569DCEFF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AEA3C569DCF02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5D33C569DCF032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E593C569DCF05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FBF3C569DCF07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79843C569DCF09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C403C569DCF0A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C553C569DCF0D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FB73C569DCF10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C2C36569DCF11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9AF36569DCF133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FFF36569DCF15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D2336569DCF17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F0936569DCF192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9FF36569DCF1C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2EF36569DCF1F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8E83C569DCF22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AD63C569DCF25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B863C569DCF26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9703C569DCF27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4903C569DCF290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C553C569DCF2B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73893C569DCF2F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C383A569DCF30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0573A569DCF323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46A3A569DCF35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B8F3A569DCF37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AD93A569DCF3A3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B673A569DCF3B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C303A569DCF3E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B4234569DCF403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9ED34569DCF42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04E34569DCF44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5A434569DCF45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C5334569DCF47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20334569DCF4A2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A9534569DCF4D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CA03C569DCF4F2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46B3C569DCF511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DD53C569DCF53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3513C569DCF55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66F3C569DCF560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0983C569DCF58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FC33C569DCF592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51637569DCF5D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F3435569DCFD7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8B535569DCFD9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9D135569DCFDC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18C35569DCFDE3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50635569DCFE0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53D35569DCFE3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72B35569DCFE52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EC835569DCFE7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B8935569DCFED0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DE235569DCFEE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26835569DCFF2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76F35569DCFF50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E7835569DCFF8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17835569DCFFA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70D3C569DCFFD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FAA3C569DCFFE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3ED3C569DD002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07A73C569DD004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9EE3C569DD0082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3183C569DD00A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DD53C569DD00D2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14C36569DD00E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9AF36569DD0113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69D36569DD0142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15736569DD016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A1636569DD018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48236569DD01A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52B36569DD01D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68034569DD021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95B34569DD023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0EE34569DD026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97034569DD0282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43534569DD02A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D5934569DD02C3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CC934569DD032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CF837569DD034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9A137569DD039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E3937569DD03B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35337569DD03D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CED37569DD03F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7EE37569DD041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AAC37569DD043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0063A569DD045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6F53A569DD0482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7723A569DD049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F183A569DD04B3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19513A569DD050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1AC3A569DD0553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3233A569DD0573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EC649569DD058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5E34C569DD075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2D994C569DD0790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3774C569DD07C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32A4C569DD07E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61F4C569DD080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51D4C569DD084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40F4C569DD088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8994A569DD08B17)
통화량의개념과통화지표제4 장통화량의개념과통화지표제4 장
화폐란
무엇이며
화폐의
기능은
어떠한가
?
지불제도는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하여
왔는가
?
통화량의
개념은
? 통화량
어떻게
측정하나
?
이
장에서는
이러한
물음에
답을
찾는다
.
. 지불제도의변천. 화폐란무엇인가?
. 통화량의개념과통화지표. 우리나라의통화지표목차. 미국의통화지표. 과잉유동성의판별. 금융상품의3대속성. 자금순환의3대속성. 부록: 기회비용/ 수익증권과뮤추얼펀드. 지불제도의변천. 화폐란무엇인가?
. 통화량의개념과통화지표. 우리나라의통화지표목차. 미국의통화지표. 과잉유동성의판별. 금융상품의3대속성. 자금순환의3대속성. 부록: 기회비용/ 수익증권과뮤추얼펀드
화폐란
무엇인가
?
‘화폐’의정의
화폐(돈)의
기본개념
재화와서비스를구입하거나채무를상환하는데있어사회전체적으로널리통용되는지불수단
. 따라서
소득
또는
재산의
의미가
아님
.
. 현금(지폐와
동전
)이
여기에
해당함
.
. 당장은
현금의
모습이
아니지만
보통예금이나
당좌예금
처럼
현금으로
“쉽게” 변신할
수
있는
‘잠재적
현금
’도
화폐로
간주됨
.
화폐의기능화폐의기능
1) 교환의
매개
수단
(medium of exchange)
. 우리가
일상적으로
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교환
행위는
모두
화폐를
매개로
이루어짐
.
☞
화폐가
존재하지
않는
물물교환
경제에서는
교환욕구의
쌍방간
일치
(double coincidence of wants) 가
있어야
거래가
성립되므로
정보수집과
거래행위에
엄청난
비용이
초래됨
.
화폐의
존재는
그러한
비용을
없애고
거래
효율성을
높여줌
.
. 외상
및
신용거래를
하는데
있어서도
결제를
약속한
미래
시점의
결제
의무액은
화폐로
표시되고
화폐로
결제됨. 따라서
화폐는
미래의
지불수단
, 즉,이연지급
(移延支給; deferred payment) 의
수단이기도
함
.
☞즉, 현재
시점의
거래든
미래
시점에
최종
결제가
이루어지는
외상거래든
화폐는
오늘날
우리가
행하는
모든
거래의
지불수단(medium of payment) 으로
기능함
.
2) 가치의 척도 (a measure of value)
. 모든 재화와 용역의 가치를 표시하는 공통 잣대
. 즉, 재화와 서비스 상호간의 가치를 비교하고 또한
집계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계산단위임 .
. 가치를 재는 공통의 척도가 없는 물물교환 경제에서
재화의 가격은 다른 모든 재화들과 비교해 그들 몇
단위와 교환되는 지를 일일이 표시해야 함 .
☞즉, 무수히 많은 재화들에 대해 이런 식의 가치표시를 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불편을 초래함 . 가령 500개
재화가 거래되는 사회의 가격 개수는 아래와 같음 .
124,750
21)-500(500
C2500개.
.
.
3) 가치의 저장수단 (a store of value)
. 번 소득이나 모은 재산을 화폐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다가 미래의 필요한 시점에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 .
. 가치 저장수단으로서의 기능만 생각해보면 화폐보다
우월한 경쟁력을 가진 가치저장수단들이 많이 있음 .
.
화폐보유의 단점
① 화폐는 이자소득이 창출되지 않는 무수익 (無收益)
자산임. 리스크를 감수할 경우 이자소득보다 높은
수준의 투자소득이 기대되는 곳에 투자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화폐를 보유하는 동안 화폐 아닌 것을
보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그 어떤 수익을 포기해야
함. 즉, 화폐 보유에는 기회비용이 초래됨 .
☞기회비용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부록을 참조 .
② 인플레 , 즉, 전반적인 물가상승이 있게 될 경우
실질가치(즉, 구매력)가 하락함 .
☞물가와 화폐의 실질가치는 서로 반비례 관계임 .
.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많은 매력적인 가치저장
수단을 제쳐두고 화폐를 보유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화폐를 보유할 때의 장점
① 유동성 (환금성)이 가장높아 필요할 때지불
수단으로 즉시 사용가능
② 화폐가 갖고 있는 고유의 명목가치 (표시된 액면가 )는
일정하게 유지됨 . 즉, 부도위험(채무불이행 위험)이
0임.
돌발퀴즈돌발퀴즈
안전성, 수익성, 유동성
(금융자산의
3대
속성
)의
관점에서
화폐를
평가해
보라
.
.
안전성: 채무불이행위험(default risk)= 0 임.
즉, 명목가치
불변이므로
훌륭함
.
.
수익성: 이자율이
높을수록
그만큼
더
높은
기회비용을
부담해야
하고
물가상승이
있을
경우
실질가치
하락으로
손실
발생
.
.
유동성: 그
스스로
지불수단이므로
완벽함.
유동성(liquidity) 은
현금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함
.
☞이들
금융자산의
속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부록을
참조
.
돌발퀴즈돌발퀴즈
신용카드는
화폐인가
? 화폐
아닌가
?
화폐의
기능들을
수행해야
화폐임
.
.
지불수단?
몇
주
후
날아
오는
대금청구서에는
“돈”으로
결제
할
물건값이
표시되며
은행구좌에
남아있는
“돈”이
인출되면서
결제
종료됨
. 즉, 신용카드는
‘외상거래를
할
수
있는
신용증명서’
기능을
하는
데
불과함
.
.
가치저장수단?
‘신용카드
10개
가진
사람은
5개
가진
사람보다
(다른
재산여건이
동일할
때
) 2 배
더
부자라고
말할
수
있어야
가치저장수단인
것임
.
.
가치의
척도
?
어떠한
물건
값도
신용카드
개수로
표시되지
않음
.
“ 화폐”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 “ 화폐”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
어떤 물건이 화폐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 사회 내 절대다수의 거래자들이 지불수단으로
받아들여야 하고
. 내구성이 강하고 녹슬거나 부패하지 않으며
. 표준화되어 있어 가치식별이 용이하고
. 소액거래 시 분할 가능하면서
. 운반이 쉽고
. 또한 공급량이 가급적 한정돼 있어야 한다 .
지불제도의 변천
지불제도(payments system) 란 어떠한 지불수단들이 어떻게
사용되면서 거래를 뒷받침하고 있는 지 그 제도적 틀을 말함 .
지불제도는 오랜 세월에 걸쳐 서서히 변모해 왔음 . 화폐가
주된 지불수단이었지만 최근 새로운 지불수단들이 등장 .
지불수단의 종류
1) 상품화폐 (commodity money)
.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보유한 화폐 .
. 표준화와 분할이 가능하고 널리 받아들여지면서 가치
손상이 없는 귀금속 , 특히 금과 은이 상품화폐로 오래
동안사용돼 옴 .
. 그러나 중량이 많이 나가 운반 및 수송이 불편하다는
것이 단점 .
2) 지폐(paper currency)
. 은행이나 주화제조업자에게 맡겨 놓은 금 또는 은에
대한 보관증의 형태로 사용되기 시작
. 태환화폐 (full-bodied money): 금과 은 등의 귀금속으로
교환이 보장된 지폐 ; 정부 보유금과 은에 대한청구권
을 표시한 일종의 공문서 성격 .
. 불태환화폐 (fiat money; 불환화폐): 상품으로서의
가치는 거의 없지만 법에 의해 통용력이 보장된
법화 (legal tender); 오늘날 모든 근대 국가의 지폐와
동전들이 여기에 해당 .
. 장점 : 휴대 편리하고 운송 용이함 .
단점 : 발행당국에 대한 신뢰가 전제돼야 하고 , 쉽게
도난 당할 수있으며많은양을운반할경우 부피가
크다는 점이 불편 .
3) 수표와 어음 (checks and promissory notes/bills)
. 발행자가 자신의 은행계좌에서 수취자의 은행계좌로
자금을 이전 시킬 것을 은행에게 지시하는 내용을 담은
문서. 직접 현금을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 .
☞당좌예금과 같은 요구불예금 계좌에 해당 금액을 입금해
두고 있어야 함 .
. 장점 : 거액자금의 이전과 운반이 용이함 .
단점 : 결제 처리되는 과정에서 인력이 많이 소요됨 .
☞우리나라의 어음과 수표제도에 대해서는 2장
한글보충자료를 참조 .
4) 전자결제 (Electronic Payment)
. 전자이체 방식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자금이 이체되는
다양한 결제수단이 점차 보편화됨 . 보안문제가 존재함 .
. 직불 카드 (Debit Card): 판매와 동시에 구매자의
은행계좌에서 판매자의 은행계좌로 즉시 자금이 이전됨 .
은행 전산망과 연결된 단말기를 갖춘 매장에서만
사용가능.
. 가치저장카드 (Stored Value Card):
현금을 충전시켜 사용함 . 상품 구매 시 자금이 카드에서
공제됨. 교통카드 등 .
. 스마트 카드 (Smart Card):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 칩을 내장 . 대용량 정보
저장과 처리 가능 . 신분증, 교통카드, 전자화폐 등의
기능을 겸한 현금카드 등의 형태 .
. 전자화폐 (Electronic Cash; E-cash 또는
E-money):
인터넷으로 이루어지는 상거래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결제수단. 전자현금 구매자의 개인 컴퓨터와 연결된
은행계좌에서 판매자의 컴퓨터와 연결된 은행계좌로
금액을 전송 . 또는 특정 웹사이트 호스트가 판매하는
e-money 를 구매해서 해당 서비스 이용에 사용 .
Ex) E-bay 의 Paypal, 싸이월드 도토리 등
. 전자수표 , 전자어음 (Electronic Checks/Bills):
전자식 자금 이체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짐 . 기존의
종이수표나 어음을 대체 .
. 궁극적으로 미래의 사회는 현금 없는 사회
(cashless society)가 되고 마는 것일까 ?
우리나라의 지급결제시스템 우리나라의 지급결제시스템
. 각종 지급결제를 뒷받침하는
우리나라의 종합지급결제
서비스 기관은 금융결제원이며
1986년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설립되었음.
. 효율적인 어음교환제도 및
지로제도를 확립하고 금융
공동망을 구축하여 자금결제
및 정보유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건전한 금융거래의
유지발전과 금융기관 이용자의
편의제고 등 금융산업의 발전
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통화량의
개념과
통화지표
. 통화량
또는
통화공급량
(Money Supply) 은
중앙은행과
예금취급기관
바깥에서
유통
되고
있는
돈의
존재량을
가리키는
개념임
.
☞
중앙은행과
예금취급기관
내에
머물고
있는
현금은
아직
지불수단으로
유통되지
못하고
묶여
있는
돈이므로
물가나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없고
따라서
통화량에
포함시키지
아니함.
. 즉, 통화량은
‘시중에
풀려있는
돈의
총량’을
말하며
현금
외에
현금에
매우
가까운
것들도
돈으로
간주해
포함시킴. 따라서
‘시중
유동성
’으로
불리기도
함
.
. 통화지표(monetary aggregate) 는
이러한
시중
유동성의
크기, 즉, 통화량을
측량하는
잣대임
.
. 만일 통화지표가 어떤 이유로 시중 유동성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면 ‘돈이 많이 풀리고 적게
풀리고’의 문제를 제대로 따질 수 없게 되어 통화정책
당국은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됨 .
. IMF는 통화지표의 국제적 편제기준을 제시해 왔음 . 현재
세계각국이 통화지표 편제기준으로 활용하는 매뉴얼은
2000년에 나온 ‘통화금융통계매뉴얼’임. 이 매뉴얼은
1984년 발표된 ‘통화금융통계에 관한 지침 ’을 개편한
것으로 1980년대 이후 금융자유화 , 국제화, 금융혁신의
진전으로 새로운 금융수단들의 출현과 기존 금융수단이
속성변화 등을 반영 .
. 한국은행은 IMF가 제정한 이러한 통화지표편제 국제
기준에 따라 2002년 4월부터 시중유동성 규모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M1과 M2를 새롭게 개편함 .
☞ 그 결과 과거 금융기관 중심으로 작성되던 편제 방법에서
탈피하고 금융상품들의 달라진 특징을 반영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시중 통화량을 포착할 수 있게 됨 .
. 이 매뉴얼은 기존 M1과 M2를 보다 탄력적으로 정의 .
M1은 ‘협의 (狹義)의 통화’, M2는 ‘광의 (廣義)의
통화’라고 부름 .
협의통화 (Narrow Money): 현금을 포함해 지급결제
수단 기능 위주의 금융수단 합계액
광의통화 (Broad Money) : 협의통화에다 이와 대체
관계가 높은 예금취급기관의 통화성 부채를
포함.
☞ 고개들이 맡긴 예금은 예금취급기관의 부채임 . 통화성
부채’란 이들 예금형 수신 중에서 결제수단으로 전환이
쉽게 이루어지는 것들을 말함 .
우리나라의 통화지표
M1
. 가장 좁은 의미의 통화지표 (협의통화)
. 화폐의 지급결제수단으로서의 기능에 초점을 맞춘
통화지표
. 유동성이 가장 높은 것들만 포함 .
M1 = 현금통화 + 요구불예금 +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예금취급기관의 결제성 예금
☞현금통화: 중앙은행과 예금은행을 제외한 여타의 경제주체
들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으로 민간화폐보유액(currency in
circulation among the nonbank public) 이라고도 함 .
☞요구불예금(demand deposit) 은
입출금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 그
대신
이자는
없거나
아주
낮은
) 예금이며
예금잔액이
오래
머물지
않는
것이
특징
.
▶당좌예금: 수표나
약속어음
발행을
위한
예금
. 일정
자격
요건
갖춘
법인이나
단체
및
사업자
등록증
가진
개인이
이용할
수
있음
. 외상거래에
매우
편리한
예금
.
▶가계당좌예금
: 양호한
신용도를
인정받는
개인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예금으로
가계수표를
발행할
수
있음
.
▶보통예금: 거래대상, 예치금액, 입출금
회수
, 은행권
전체
통장개설
개수
등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예금
.
▶별단예금(temporary deposit): 은행의
예수금
가운데
다른
계정으로
곧
이체하거나
지급된
자금을
일시적으로
모아두는
과도기적
예금
. 주로
자기앞수표
발행대금을
처리하는
계정으로
이용됨
.
▶공공예금: 각종
공과금을
수납
받아
일시적으로
모아두기
위한
계정
.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 은행저축예금
및
MMDA,
투신사
MMF
▶은행의
저축예금
: 은행의
저축예금
, 자유저축예금, 기업자유
예금
등은
수시입출금이
가능해
사실상
당좌예금이나
보통
예금같은
요구불예금과
거의
차이
없을
정도로
유동성이
높음.
▶은행의
MMDA(Money Market Deposit Account; 시장금리부
수시입출식예금
): 일정액의
최저
통장잔고를
넘을
경우
시중
실세금리에
따라
높은
이자를
지급하는
저축예금의
일종으로
각종
이체
, 결제기능을
제공
. 97 년
외환위기
이후
도입됨
.
증권사와
종합금융사에서
취급하는
CMA(Cash Management
Account; 어음관리계좌)와
투신사의
MMF와
경쟁관계에
있는
은행
상품
. 예금자보호대상임.
▶투신사
MMF(Money Market Fund; 단기금융펀드):
투자신탁회사(투신사)가
고객들의
자금을
모아
펀드를
구성, CP, CD, 콜
등
주로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하여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되돌려주는
초단기
금융상품
.
M2 M2
. 넓은 의미의 통화지표라는 뜻으로 광의통화
(廣義通貨)라고도 함 .
. 당장현금과 같이 사용할수 있는 통화 , 즉, M1 뿐만
아니라 약간의 이자를 포기하거나 해지수수료를
부담하면 즉시 현금화하여 결제자금으로 이용 가능한
유동성(환금성) 높은 금융상품들을 모두 포함시킨 지표 .
. M1 등 다른 통화지표에 비해 생산 , 물가, 금리등 주요
거시경제변수와 가장 높은 함수관계를 갖고 있다고
인식되는 지표임 .
M2 = M1 + 정기예금, 정기적금및부금*
+ 시장형상품(CD, RP, CMA, 표지어음등)
+ 실적배당형금융상품*( 금전신탁, 수익증권)
+ 금융채*
+ 기타(신탁형증권저축, 종금사발행어음)
* 단, 이들중만기2년이상인것들은제외
☞
예금취급기관의
정기
예
.적금
및
부금
정기예금(預金): 맡길
‘예’, 돈
‘금’. 일정기간
목돈을
맡기고
약정기간
경과
후
이자와
함께
되찾는
예금
.
정기적금(積金): 쌓을
‘적’, 돈
’금’. 푼돈을
일정기간
동안
매월
불입해
약정기간
경과
후
목돈을
돌려받는
예금
.
부금(賦金): 부과할
‘부’, 돈
‘금’. 부과된
푼돈을
일정기간
동안
매월
불입해
약정기간
경과
후
목돈을
돌려받는
예금
.
정기적금과
유사하나
일정
회차
불입
후
목돈
대출이
가능
하거나(상호부금, 신용부금), 주택청약권이
주어진다
(주택청약부금).
☞CMA(Cash Management Account; 자산관리계좌):
증권사
등에서
취급하는
수시
입출금
가능한
자산관리
통장
.
고객이
맡긴
현금자산을
각종
단기금융상품에
운용
, (은행
통장
거래에
비해
) 높은
금리로
되돌려
줄
뿐만
아니라
자동이체, 체크카드
발급
등
부대
서비스도
제공
. 대부분
예금자보호
대상
아니지만
원금
안정성은
높은
편
.
☞수익증권(beneficiary certificate) 이란?
용어자체의
의미
: 재산의
운용을
타인에게
맡겼을
때
그
수익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표시된
증권
.
금융상품으로서의
의미
: 다수
고객의
돈을
받아
그
목돈을
투자전문가인
펀드
매니저가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해
발행한
수익을
고객에게
분배해주는
간접투자상품
. 흔히
‘펀드’라고
부르며
수익증권
발행을
매개로
함
.
▶ ‘ 믿을 ’ 신 , ‘ 맡길 ’ 탁 . 자신의 재산을 타인에게 맡겨 관리 ,
운용토록 함 . 법률로 정의되고 보호되는 행위임 .
▶ ‘ 신탁업법’ 은 ‘ 신탁을 업으로 하는 회사는 신탁업법과
그 시행령에 따라 운영되어야 함 ’ 을 규정하고 있음 .
금융위원회로부터 신탁업의 인가를 받은 회사를
‘신탁회사(trust company)’ 라고 하며 신탁업의 인가를
받은 은행법에 의한 금융기관을 ‘신탁겸영은행’ 이라고 함 .
현재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모든 국내은행과 외국은행
지점이 신탁업무를 겸영하고 있음 .
신탁(信託)이란?
▶ 유가증권 , 부동산 등도 신탁의 대상물이 될 수 있으나
은행은 주로 금전신탁만을 취급하며 고유계정 (예금과
대출 등 기존 업무 )과 별도로 운영장부를 관리 , 이를
‘ 은행신탁계정 ’ 이라고 함 . 신탁상품으로 들어오는 자금은
주로 대출과 유가증권으로 운용하고 있음 . 2005 년
신탁업법 개정으로 증권사들도 신탁상품 취급함 .
▶ ‘ 믿을 ’ 신 , ‘ 맡길 ’ 탁 . 자신의 재산을 타인에게 맡겨 관리 ,
운용토록 함 . 법률로 정의되고 보호되는 행위임 .
▶ ‘ 신탁업법’ 은 ‘ 신탁을 업으로 하는 회사는 신탁업법과
그 시행령에 따라 운영되어야 함 ’ 을 규정하고 있음 .
금융위원회로부터 신탁업의 인가를 받은 회사를
‘신탁회사(trust company)’ 라고 하며 신탁업의 인가를
받은 은행법에 의한 금융기관을 ‘신탁겸영은행’ 이라고 함 .
현재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모든 국내은행과 외국은행
지점이 신탁업무를 겸영하고 있음 .
신탁(信託)이란?
▶ 유가증권 , 부동산 등도 신탁의 대상물이 될 수 있으나
은행은 주로 금전신탁만을 취급하며 고유계정 (예금과
대출 등 기존 업무 )과 별도로 운영장부를 관리 , 이를
‘ 은행신탁계정 ’ 이라고 함 . 신탁상품으로 들어오는 자금은
주로 대출과 유가증권으로 운용하고 있음 . 2005 년
신탁업법 개정으로 증권사들도 신탁상품 취급함 .
위탁자(고객)
수탁자(은행, 증권사)
수익자(자신또는제3자)
신탁대상(금전)
운용대상(유가증권,
대출등)
맡기는자맡아서운용하는자운용결과물을받는자위탁자가지정금전신탁의기본구조
▶운용수익은발생한대로배분하므로손실이나면원금을일부또는전부잃을수도있음. 예금자보호대상아님.
위탁자(고객)
수탁자(은행, 증권사)
수익자(자신또는제3자)
신탁대상(금전)
운용대상(유가증권,
대출등)
맡기는자맡아서운용하는자운용결과물을받는자위탁자가지정금전신탁의기본구조
▶운용수익은발생한대로배분하므로손실이나면원금을일부또는전부잃을수도있음. 예금자보호대상아님.
Lf Lf
. L은 유동성 (Liquidity), f 는 금융기관 (financial
institutions) 을 뜻함 . 과거에 M3로 불렸으나 2006년
통화지표를 추가 개편하면서 Lf로 명칭 변경됨 .
‘금융기관유동성 (Liquidity Aggregates of Financial
Institutions)’이라고도 함 . 금융기관의 대부분 유동성을
망라하는 통화지표 .
Lf = M2
+ 만기 2년이상 정기예 ·적금 및 금융채
+ 한국증권금융㈜의 예수금
+ 생명보험회사(우체국포함)의 보험계약준비금
+ 농협국민생명공제의 예수금 등
L L
. 광의유동성 (Liquidity Aggregates) 은 금융기관 유동성
(Lf)에 정부 및 기업 등이 발행한 유동성 금융상품 (국채,
지방채, 회사채, 기업어음 등 )을 포함시킨 가장 포괄
범위가 넓은 지표임 . 단, 이들 유동성 금융상품 중에서
예금취급기관 등 주요 금융중개기관 보유분은 제외시키고
있음.
L = Lf + 정부 및 기업 등이 발행한 유동성
시장금융상품
(국채, 지방채, 회사채, 기업어음,
증권사 RP, 여신전문기관의 채권 ,
예금보험공사채, 자산관리공사채,
자산유동화 전문회사의 자산유동화증권 등 )
. 다른 통화지표들은 평잔과 말잔을 모두 편제하지만
L의
경우 포괄범위가 광범위 하다 보니 집계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이 커서 현재 말잔만 편제하고 있음 .
.평잔과 말잔 .
평잔(平殘; 평균잔액; period average)
해당기간 동안의 일 잔액의 평균치 .
가령 2012년 9월의 M2 평잔은 은행 영업일 20일에 대해
일 잔액 20개를 모두 더한 후 20으로 나누어서 구함 . 2012 년의
연간 M2 평잔은 이렇게 해서 구한 1월에서 12월까지의 월 평잔
12개를 모두 합한 후 12로 나누어서 구함 .
말잔(末殘; 말일기준잔액; end of period)
해당월, 분기또는연도의마지막은행영업일현재의통화지표잔고.
가령2012년9월말잔은마지막영업일인9월28일기준의M2 잔액이고2012년2분기말잔은2012년6월마지막영업일현재의잔액, 2012 년의말잔은2012년12월마지막은행영업일현재의잔액임.
☞12월말잔과4분기말잔및연간말잔은각해당기간의말일이모두같은날이기때문에항상같은금액임.
☞M2 및M3 등지속적인증가추세를갖는통화지표의경우말잔액이평잔액보다대개의경우더큰값임. 연간지표의경우이러한경향이더욱뚜렷함.
말잔(末殘; 말일기준잔액; end of period)
해당월, 분기또는연도의마지막은행영업일현재의통화지표잔고.
가령2012년9월말잔은마지막영업일인9월28일기준의M2 잔액이고2012년2분기말잔은2012년6월마지막영업일현재의잔액, 2012 년의말잔은2012년12월마지막은행영업일현재의잔액임.
☞12월말잔과4분기말잔및연간말잔은각해당기간의말일이모두같은날이기때문에항상같은금액임.
☞M2 및M3 등지속적인증가추세를갖는통화지표의경우말잔액이평잔액보다대개의경우더큰값임. 연간지표의경우이러한경향이더욱뚜렷함.
우리나라의
통화지표와
유동성지표
포괄범위
비교
통화
지표
M1
(협의통화)
= 현금통화
+ 요구불예금
+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은행의
저축예금
및
MMDA, 투신사
MMF 등)
M2
(광의통화)
= M1 + 정기예
·
적금
및
부금
* + 시장형
상품
(CD, RP,
CMA, 표지어음
등
) + 실적배당형상품*(수익증권)
+ 금융채*(금융회사
발행채권
) + 기타
(투신사
증권
저축, 종금사발행어음)
* 단, 이들
중
만기
2년
이상인
것들은
제외
유동성
Lf
(종전의
M3)
금융기관
유동성
= M2 + M2 포함
금융상품
중
만기
2년이상
정기
예
·
적금
및
금융채
등
+ 한국증권금융
㈜의
예수금
+ 생명보험회사(우체국포함)의
보험계약준비금
+ 농협국민생명공제의
예수금
등
지표
L
(광의
유동성)
= Lf + 정부
및
기업
등이
발행한
유동성
시장금융
상품
(국채, 지방채, 회사채, 기업어음, 증권사
RP,
여신전문기관의
채권
, 예금보험공사채, 자산관리
공사채, 자산유동화
전문회사의
자산유동화증권
등
)
미국의
통화지표
M1
M1 =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여행자수표+ money order
☞현금통화는
중앙은행과
예금은행을
제외한
여타의
경제주체
들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으로
민간화폐보유액
(currency in
circulation among the nonbank public) 이라고도
함
.
☞요구불예금(demand deposit) 은
입출금에
제한이
없는
( 그
대신
이자는
아주
낮거나
없는
) 예금이며
예금잔액이
오래
머물지
않는
것이
특징
.
☞여행자수표(TC; Traveler’s check) 는
현금
또는
예금잔액과
교환해
은행이
발행하므로
현금에
준하는
것으로
간주됨
.
☞money order 는
은행
, 우체국, 편의점
등에서
현금과
교환해
발행하며
개인수표
(personal check) 와는
달리
bounce( 부도
처리)될
염려가
없으므로
안정성이
높음
. 은행보증수표(bank
certified check 또는
cashier’s check) 와는
달리
대개
소액(가령, 1 천불
이내
)으로
발행됨
.
M2
M2 = M1 + 저축성예금+ 소액정기예금($10 만이하)
+ MMDA + MMMF 지분(개인보유)
☞소액정기예금은
소액
CD (Certificate of Deposit) 라고도
함
.
유통시장이
없고
해지수수료가
높은
편이어서
만기
때까지
돈이
묶여버리므로
유동성이
많이
떨어지는
편
.
☞MMDA(Money Market Deposit Account): 시장금리부
수시
입출금식
예금
☞MMMF(Money Market Mutual Fund) : 단기 금융자산
투자신탁. 초기 투자금액이 $5만 이하인 개인보유 지분 .
(기관의 경우 초기투자금액이 $5만 이상임 .)
흔히 그냥 MMF라고도 부름 .
MZM
.
Money Zero Maturity, 즉, ‘무만기 통화’라는 이름이
암시하듯 만기가 있어서 일정기간 묶이는 성격의 돈을
배제함으로써 시중 유동성 반영성을 높인 통화지표
. 즉 , M2 에서 소액정기예금을 빼는 대신 수시입출금
식이어서 유동성이 높은 기관보유 MMMF를 포함시킨
지표. 만기가 없는 것들로만 구성됨 .
MZM = M2 . 소액정기예금 + MMMF 지분
(기관보유)
M3 M3
. 유동성
반영
범위를
가장
넓힌
지표
.
. M2 에
거액정기예금과
($10만
이상
)을
비롯해
기관보유
MMMF와
RP, 유로달러
등을
포함시킨
지표
.
. 시중유동성
사정을
파악하는데
있어
M2, MZM 등으로
충분하다고
보아
2006년
3월부터
편제를
중단
.
M3 = M2 + 거액정기예금($10 만이상)
+ MMMF 지분(기관보유)
+ RP(예금기관발행) + 유로달러
☞RP(Repurchase Agreement) ; 환매조건부
채권
Eurodollar: 미국계
은행
해외지점에
예치된
달러
예금
. 기술의발달, 금융기관들의수신확대경쟁심화,
금융혁신(financial innovation) 등으로인해지급결제수단의기능도하고동시에가치저장수단의기능도훌륭히수행하는새로운금융상품들이계속등장하고있음.
. 돈의기능을하는금융상품범위가확대되면서어디까지를돈으로간주해야할지선을긋기가점점어려워짐.
. 통화지표편제내역은이러한시장여건변화를반영해수년에한번씩개편되는것을볼수있음.
. 기술의발달, 금융기관들의수신확대경쟁심화,
금융혁신(financial innovation) 등으로인해지급결제수단의기능도하고동시에가치저장수단의기능도훌륭히수행하는새로운금융상품들이계속등장하고있음.
. 돈의기능을하는금융상품범위가확대되면서어디까지를돈으로간주해야할지선을긋기가점점어려워짐.
. 통화지표편제내역은이러한시장여건변화를반영해수년에한번씩개편되는것을볼수있음.
어떤개인이요구불예금계정에서MMDA 로예금을옮길경우미국의M1, M2, M3 의크기는어떻게달라질까?
돌발퀴즈어떤개인이요구불예금계정에서MMDA 로예금을옮길경우미국의M1, M2, M3 의크기는어떻게달라질까?
돌발퀴즈
☞M1은
감소하지만
M2와
M3는
변화
없음
.
만약
어떤
개인이
MMMF로부터
자금을
인출해서
현금의
형태로
보유한다면
미국의
M1, M2, M3 크기는
어떻게
달라질까
?
☞M1은
증가하지만
M2와
M3는
변화
없음
.
돌발퀴즈돌발퀴즈
아래
서술문은
맞는가
틀리는가
?
미국의
통화지표
M1, M2, MZM, M3 의
크기를
비교
하면
항상
아래와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
1) M1 < M2 < M3
2) M1 < MZM < M3
>
3) M2 = MZM
<
☞
3개
다
맞음
.
11000
9000
7000
5000
3000
1000
-1000
9000
7000
5000
3000
1000
-1000
미국의
통화지표
장기
추세
(1959 년
1월
.
2012년
8월) 10억
$
59 62 65 68 71 74 77 80 83 86 89 92 95 98 01 04 07 10
M3
M2
M1
MZM
현금통화
☞
M3는
2006년
3월부터
발표가
중단되었고
연준에서
더
이상
편제하지
않고
있음
.
현금통화
, M1, M2 , MZM 의
비교
(2012 년
8월
현재
)
조$
15
10
5
0
1.06
2.33
10.06 11.12
Currency M1 M2 MZM
미국의
M1과
M2 증가율
추이
비교
1960-2008
Source: www.federalreserve.gov/releases/h6/hist/h6hist1.txt.
.증가율변화패턴이크게다르기때문에정책당국자들은여러지표를모두살펴보아야한다.
미국
M2 증가율의
잠정치와
수정치
비교
.일부소형금융기관의자료보고는부정기적임. 또한계절조정작업(월간자료의계절요인제거작업)을주기적으로해야함. 따라서최초에발표한잠정치와나중에확정발표하는수정치사이에차이가생김.
과잉유동성의
판별
. 적정수준의통화공급을벗어나과도하게완화적성향의통화공급이지속될경우물가불안, 자산가격거품등을초래할수있음. 반면지나치게긴축적성향의통화관리에매달릴경우물가안정의대가로극심한경기위축에시달릴수있음.
. 따라서건실한경제성장을뒷받침하면서물가안정을도모하고동시에자산가격안정에기여할수있는“적정한” 수준의통화량공급과이를통한단기정책금리관리가중앙은행의핵심과제임.
. 통화공급량이과도하면흔히‘과잉유동성’ 또는‘초과유동성’이존재한다고표현함.
☞과잉유동성의
존재
여부는
대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화폐수량설’을
토대로
그
방법을
생각해
보기로
한다
.
고전적화폐수량설고전적화폐수량설
. 물가수준
= P, 명목총생산
= Y, 실질총생산
= y
통화량
= M 이라고
두면
아래와
같이
명목총생산
대
명목통화량의
비율을
화폐의
소득유통속도로
정의할
수
있음.
명목통화량
명목GDP
MY
V ..
. 1장에서
본
바와
같이
Y = Py 이므로
아래와
같이
실질GDP 대
실질통화량의
비율로
표시할
수도
있음
.
M/Py
MPy
MY
V ...
아래와같은연간자료를가정해보자.
Y = 200 조, M (M2 평잔) = 50 조이때화폐의소득유통속도는얼마인가?
의미는? M이100조원으로늘어나면유통속도는?
아래와같은연간자료를가정해보자.
Y = 200 조, M (M2 평잔) = 50 조이때화폐의소득유통속도는얼마인가?
의미는? M이100조원으로늘어나면유통속도는?
☞
V = 200 조/50조
= 4
한
해
동안
평균적으로
50조원의
돈이
공급된
가운데
200조원의
새로이
생산된
생산물의
거래를
뒷받침
하는데
있어
1원당
4회
꼴로
회전하였음
.
통화량이
배로
늘어날
경우
V = 200 조/100조
= 2. (유통속도는
반으로
낮아짐
)
. V의
정의로부터
아래와
같은
항등식이
도출됨
.
피셔의
교환방정식
(Fisherian Equation of Exchange)
MV = Py
☞
1910년대
미국
Yale 대
교수였던
Irving Fisher 가
제기함
.
비슷한
시기에
영국에서도
Marshall 에
의해
유사한
이론이
제시됨. 이들은
1930년대
등장한
Keynes에
의해
고전학파로
불려짐
.
. y와
V에
대한
고전학파의
시각
1) y 는
오로지
공급측면의
요인들
(즉, 노동력인구의
크기
,
노동의
생산성
, 기술수준
등
…)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으므로
단기에는
고정돼
있다
.
2) V 는 인습적 , 제도적 요인들 (사회의 임금지불 빈도와
방법, 금융관행 등 ) 에 의해 결정되므로 단기에는
고정돼 있다 .
3) 통화량의 변화가 있더라도 y나 V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즉, 에서 M과 P는 1:1 대응관계이다.
yP V M.
▶ 통화량의 변동은 오로지 물가수준에만 같은 비율의
영향을 미침 ⇒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 )은 오로지
화폐적 현상일 따름 .
▶즉, 통화량의 변동은 실물부문 (산출고, 고용수준 등 )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함 ⇒ 화폐의 중립성
(monetary neutrality)
. 화폐시장과 실물시장이 단절된 것으로 보는 이러한 ‘화폐 veil관’을
‘고전적 이분법 (classical dichotomy)’ 이라고도 함 .
.화폐수요이론으로서의화폐수량설캠브리지접근법(Alfred Marshall 의이론)
MD = k.Py
DMPy
비례계수= k (마샬의k) 라고두면Linkage? (비례관계로생각; 명목소득↑ ⇒거래량↑⇒MD↑)
화폐시장은늘신속하게균형상태를이룬다고보아MD = M이라고두면
Py )
1( M.
k
..
.
..
.
.V
1
,
k즉교환방정식과수리적으로동일한결론에도달
DMPy
비례계수= k (마샬의k) 라고두면Linkage? (비례관계로생각; 명목소득↑ ⇒거래량↑⇒MD↑)
화폐시장은늘신속하게균형상태를이룬다고보아MD = M이라고두면
Py )
1( M.
k
..
.
..
.
.V
1
,
k즉교환방정식과수리적으로동일한결론에도달
참고: 고전학파 AD/AS 곡선의 도출 참고: 고전학파 AD/AS 곡선의 도출
.
일정 V MPy ..
…①
. y ( 공급량) =수요량 … ②
⇒
Say’s Law (세이의 법칙 ): 공급이 그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Supply creates its own demand).
즉, 공급된 것은 항상 모두 수요된다 .
. ①,②로부터
(물가수준 P) X (수요량 y) = 일정
⇒ AD 곡선은 우하향 직각 쌍곡선
b
)
a1
(b.
ab= 1 수직축 변수와 수평축 변수의 곱이 일정한
것으로 표현되는 함수의 그래프는 직각쌍곡선
0
a
PW
)
PW(LS
고전학파
이론
요약
0
L
P
y*
AD
AS
0
)
PW(LD
L* L
고전학파
경제의
정책효과
: 총수요의
어떠한
변화도
총생산수준과
고용수준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함
.
통화량의
변동은
AD 곡선을
이동시키되
고전적
화폐수량설
오로지
물가수준에만
영향을
미침
.
0
y* y
51
GDP 대비통화공급규모(마샬의k) GDP 대비통화공급규모(마샬의k)
. 명목총생산
= Y, 통화량
= M 이라고
두면
아래와
같이
생산규모
대비
통화공급량의
비율을
생각해
볼
수
있음
.
YM
.k
:마샬의
k (Marshallian k)
. 명목GDP가
증가하면
통화공급도
성장과
물가상승을
뒷받침
할
수
있도록
증가되기
마련이며
이러한
비례적
관계는
장기적으로
보면
어떤
안정적인
추세를
갖고
움직이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따라서
단기적으로
k값이
이러한
추세를
벗어나
상방으로
이탈하면
할수록
과잉유동성의
존재를
의심해
볼
수
있고
반대로
추세를
벗어나
하방으로
이탈하면
할수록
긴축적
성향의
통화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
미국의
마샬의
k값의
장기
추이
(M2)
(1959 년
1분기
.
2012년
2분기)
0.65
0.63
0.61
0.59
0.57
0.55
0.53
0.51
0.49
0.47
0.45
긴축적성향의통화관리완화적성향의통화관리
59 63 67 71 75 79 83 87 91 95 99 03 07 11
미국의
마샬의
k값의
최근
추이
(M2)
(1995 년
1분기
.
2012년
2분기)
0.65
0.63
0.61
0.59
0.57
0.55
0.53
0.51
0.49
0.47
0.45
95 99 03 07 11
. 마샬의
k를
변화율로
나타내면
통화증가율에서
명목
경제성장률을
빼준
것과
같으며
이를
유동성갭률
이라고도
부른다
.
YM
.k: 마샬의k (Marshallian k)
k Y.
- M.
..
: 유동성갭률
. 일반적으로
통화증가률이
명목경제성장률을
1% 이상
상회하면(즉, 유동성갭률이
1보다
크면
) 초과유동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
미국의
경제활동규모와
통화량
증가율
비교
(2000 년
1분기
.
2010년
2분기; %)
4
3
2
1
0
-1
-2
-3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명목성장률(전기대비)
M2증가율(전기대비)
미국
유동성
갭률의
추이
(2000 년
1분기
.
2010년
2분기; %)
-2
-1
0
1
2
3
4
5
6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 M2증가율명목경제성장률
k.
. 앞서
살펴본
것처럼
명목총생산을
명목통화량으로
나눈
것을
유통속도로
정의하며
이는
마샬의
k 와
역수관계임
.
통화의
소득유통속도
V
k1
MY
..
2009년의명목GDP ≒$14조119 억M2 ( 평잔) ≒$8조4369억M2의유통속도=
M2GDP 명목≒1.66
M1 ( 평잔) ≒$1조6348억,
M1의유통속도=
M1GDP 명목≒8.57
☞M2에
의해
정의되는
통화가
2009 년
한
해
동안에
대략
1달러당
1.66 번
회전했음
(사람들
손을
거쳤음
)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미국
M2 유통속도와
MZM 유통속도의
추이
(1959 년
1분기
.
2012년
2분기)
4.00
3.50
3.00
2.50
2.00
1.50
1.00
M2 Velocity
MZM Velocity
59 63 67 71 75 79 83 87 91 95 99 03 07 11
미국
M1, M2 및
MZM 유통속도의
추이
비교
(1959 년
1분기
.
2010년
2분기)
1
2
3
4
5
6
7
8
9
10
11
59 63 67 71 75 79 83 87 91 95 99 03 07
MZM 유통속도M1 유통속도M2 유통속도
금융상품의
3대
속성
. 금융상품들은수익성, 안전성, 유동성의3가지주요속성을기준으로끊임없이투자자들에의해비교평가됨.
. 이들속성을적절히갖추지않으면투자자들로부터외면당하게되어시장에서소화될수없음.
. 즉, 어느한가지또는두가지속성이열등하면나머지속성에서이를보완해경쟁력을갖추지않을수없게되는것임.
☞
가령
정크본드
(junk bond; 위험도가
높아
투기
등급으로
분류되는
채권
)와
같이
안전성과
유동성이
크게
떨어지는
금융상품은
수익성이
좋을
수
밖에
(즉, 매우
저렴한
수준에서
거래가격이
형성될
수
밖에
) 없음.
☞
반면
은행예금상품이나
국채
같은
것들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지만
안전성과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
다른
금융상품에
밀리지
않는
것임
.
수익성(return)
. 이자
또는
배당액의
크기
등에
의해
좌우됨
.
. 수익성
표시
예금형
상품
: 이자율
신탁형
상품
: 실적배당률
채권상품
: 실효수익률
☞
확정금리부
예금상품
이외의
금융상품들은
투자시점에
수익성이
확정될
수
없음
. 단지
예상수익률만
알
수
있음
.
☞
주식의
경우
, 단타매매
위주의
주식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배당률보다
자본이득
(매도가격-매입가격
; 즉, 매매차익)이
수익성을
좌우하므로
상승장일수록
수익성이
올라가게
됨
.
. 거래비용(거래수수료
등
)이
작을수록
, 이자소득세율이
낮을수록
수익성은
높아짐
.
☞거래수수료
인하경쟁이나
소득세율의
변경
등은
금융시장
내
금융상품들의
전체
경쟁관계를
깨뜨리게
되므로
일시적
자금이동현상(자금의
쏠림
현상
)을
야기하게
됨
.
안전성(safety)
. 안전성은
가치의
하락
가능성
(즉, 위험성; risk) 이
작을수록
높아짐
. 크게
아래
두
가지
위험에
좌우됨
.
. 상환불능위험(default risk): 채무
불이행
위험
, 즉,
원금을
떼일
위험
.
. 자본손실위험(market risk): 시장가격의
변동에서
오는
손실위험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금융상품의
risk 는
그
기관의
부실채권
규모, BIS 자기자본비율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음
. 또한
금융
기관
파산
시
예금보험공사가
지급을
보장해
주는
상품인지
여부도
risk 와
관련한
고려사항임
.
유동성(liquidity)
. 교환의
매개수단인
화폐로
쉽고
빠르게
전환될
수
있는
정도, 즉, 환금성을
말함
.
. 화폐는
가장
유동성이
높은
자산이며
따라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흔히
유동성으로
지칭함
.
.
현금화에
따른
시간
소요
, 이자
손실
, 거래수수료
등이
클수록
유동성이
떨어짐
.
☞유동성
크기
비교를
해
보면
일반적으로
현금
> 저축예금
>
단기국채
> 주식>부동산
이
됨
.
☞
주식이라고
해서
유동성이
일률적으로
동일하지는
않으며
대형우량주일수록
환금성이
좋은
반면
거래량이
많지
않은
중소형
제조업종
주식이나
우선주
같은
것은
유동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
많음
.
금융상품의
기타
속성
은닉성
. 거래과정에서
신분이
노출되어
자금
출처가
밝혀지기를
꺼리거나
상속세
또는
증여세와
같은
세금을
회피하려는
투자자에게는
익명성
보장여부가
매우
중요한
속성임
.
☞예를
들어
93년
8월
금융실명제가
실시되기
이전에는
무기명거래에
따른
은닉성의
장점으로
인해
시중실세금리에
훨씬
못
미치는
수익률에도
불구하고
은행이
발행하는
CD(Certificate of Deposit; 양도성예금증서) 판매
실적이
양호했었음
. 그러나
실명제
실시직후
판매실적이
급감함.
☞또한
금융실명제가
무기한
유보된
직후
98년에
발매된
각종
비실명
장기채권
(고용안정채권, 부실채권
정리기금채권
등
)
들은
당시의
다른
금융상품
수익률에
비해
매우
낮은
표면
금리로
발매되었던
것은
상속
및
증여세
면제
혜택과
함께
무기명의
이점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임
.
☞무기명거래가
가능한
금융상품들은
또한
돈세탁
(money
laundering) 에
이용되기도
함
. 돈세탁이란
자금출처를
추적하기
어렵도록
가명
, 차명, 무기명
거래
등의
방법으로
거래를
조작하는
것을
말함
. 기업의
비자금이나
뇌물
, 탈세,
조직범죄, 뇌물수수, 사기
등
불법적으로
확보한
수입이
돈세탁
대상임
.
활용성활용성
. 담보제공이
가능한
지
공탁금으로
활용
가능한
지
여부도
금융상품의
상대적
경쟁력을
결정짓는
하나의
요소임
.
☞국채의
경우
높은
안정성으로
인해
법원
공탁금으로
현금
대신
제공할
수
있고
여신과
관련해
담보로
활용될
수도
있음.
절세가능성
. 이자소득세
감면혜택
여부
, 상속세(inheritance tax),
증여세(gift tax) 면제
혜택이
있는
지
여부
등
거래에
따른
세금부담이
다른
금융상품보다
많으냐
적으냐도
중요한
고려사항임.
☞그러나
절세가능성은
넓은
의미의
수익성에
포함시켜
생각해
볼
수
있음
.
자금
순환의
3대
속성
인체에혈액이순환되듯경제에있어돈흐름도아래의3가지속성을보이며끊임없이돌고돔.
1. 고수익
저위험
(high return & low risk) 을
쫓아
흐른다.
. 돈
흐름은
첫째
, 수익은
높고
동시에
위험은
낮은
곳을
찾아
흐르는
속성을
보임
.
. 이것은
곧
돈
흐름이
저수익
고위험을
벗어나려는
속성을
보인다는
말과
같아서
금융시장에서는
저수익
고위험
상품이
존재할
수
없게
되어
있음
. ( 시장원리임)
. 즉, 어떤 금융상품이라도 위험에 대한 보상 , 즉, risk
premium이 그 수익률에 적절히 반영돼 있지 않으면
시장에서 소화될 (의도된 양이 모두 팔릴 ) 수 없음 .
. 만일 유동성 , 활용성 등 다른 속성의 차이에서 오는
열등한 부분도 모두 risk의 개념에 포함시켜 생각해보면
금융상품들은 크게 저위험 /저수익 상품과 고위험 /고수익
상품으로 구분해 볼 수 있을 것임 .
☞
If 저위험/고수익 : 수요↑ → 가격↑ → 수익하락
If 고위험/저수익 : 수요↓ → 가격↓ → 수익상승
. 국제금융시장을 보면 개발도상국의 신흥시장 (emerging
markets) 일수록 상대적으로 고수익 ,고위험 금융상품들이
거래되는 반면 선진국 정부나 우량기업이 발행한
금융상품들은 상대적으로 저수익 ,저위험 금융상품들임 .
. 투자자입장에서
어느
쪽
시장으로
발길을
향하느냐의
문제는
자신의
위험선호도가
어느
정도이냐
(즉,
위험선호자, 위험기피자, 위험
중립적인
자
가운데
어디에
속하느냐)의
문제와
또한
위험을
주관적으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느냐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음
.
끊임없는
경쟁
저위험/ 저수익상품고위험/ 고수익상품
개별
투자자의
선택은
?
위험선호도와
위험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달려있다
.
97년아시아금융위기의배경에는첫째, 선진국채권기관들이위험평가를정확히하지못했고둘째,
아시아각국의회계장부투명성이정확한위험평가를가능케할정도로높지않았다는사실이작용했던것임.
97년아시아금융위기의배경에는첫째, 선진국채권기관들이위험평가를정확히하지못했고둘째,
아시아각국의회계장부투명성이정확한위험평가를가능케할정도로높지않았다는사실이작용했던것임.
. 위험에
대한
정보의
생산
및
처리
기능을
강화해
돈
흐름이
건실
해져야
(즉, 위험이
낮으면서
수익이
보장되는
곳으로
,
보다
생산성
높고
실력
있는
곳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어야) 경제의
경기
대응력이
높아지고
외환위기
재발
가능성이
낮아짐
.
☞
회계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투자분석가
, 신용평가기관, 은행
여신부서가
정보의
생산과
활용을
제대로
함으로써
부실
자금수요자들을
솎아내는
기능을
잘
해야
함
.
. 한편
저위험
, 고수익을
쫓는
돈
흐름의
이러한
속성은
자연스러운
시장원리이며
이를
거스르게
되면
자금흐름의
왜곡을
가져와
경제효율을
저하시킴
.
☞특히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경제는
이러한
속성을
거스르는
2가지의
방해꾼을
갖고
있었음
.
①
정경유착
; 미래의
수익성에
기초한
사업타당성보다
로비가
더
크게
작용해서
돈
흐름을
왜곡시킴으로써
결국
국민경제적
폐해를
남기게
됨
. (97 년
한보사태
등
)
②
금리규제
(91년
이전
); 과거
금리규제
시대에는
은행
자금이
만성적인
초과수요
상태였고
이로
인해
각종
불건전
금융관행
(꺾기, 커미션
수수
등
)이
만연되는
등
비시장적인
자금할당
(credit rationing) 의
문제로
말미암아
경제운용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었음
.
2. 여유
있는
곳에서
부족한
곳으로
흐른다
.
. 우선
국내적으로
보면
가계부문에서
기업부문으로
흐름
.
. 거시적으로
가계부문은
흑자지출단위
(즉, 수입이
지출보다
커서
수입의
일부를
남기는
경제주체
)이고
기업은
적자지출단위여서
가계부문의
여유자금이
기업부문의
투자자금
수요를
뒷받침하기
위해
흘러가는
모습을
띄게
됨
.
. 이러한
자금흐름은
수많은
돈의
흐름
가운데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중요해서
인체의
대동맥에
비유할
수
있으며
이
흐름을
매개하는
기능은
금융기관과
금융시장이
담당
.
☞이
흐름이
막히는
것은
경제활동의
붕괴를
의미함
. 경제
전반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시장원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
. 한편
국제적
관점에서
보면
수출과
투자를
통해
버는
외화가
수입하느라
쓰는
외화보다
많아서
외화를
남기는
나라, 즉, 경상수지
흑자국에서
그
반대인
나라
, 즉,
경상수지
적자국으로
흐르게
됨
. 단, 믿음이
갈수록
(즉,
위험이
낮을수록
) 더
잘
흘러가게
(빌려주게) 됨.
. 경상수지
적자의
증가는
외채
증가를
부르게
되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어느
시점이면
채무상환능력이
의심받게
되면서
국가신인도가
하락함
. 그
결과
신규
외화대출과
기존대출의
roll-over( 만기
연장
)가
막히게
되면서
총외채에서
차지하는
단기외채
비중이
상승하고
금리
등
차입여건마저
급격히
악화되게
됨
.(외환위기
발생가능성이
높아지는
징후임
)
☞97년
아시아
금융위기
당시
외환유동성
위기
(즉, 환란)에
빠진
나라들은
모두
경상수지
적자국들이었으며
이것은
결코
우연이
아님
(거시경제
현상
가운데
우연인
것은
없음
.)
3. 신속하게
흐른다
.
. 직접적인
지불수단으로
바로
쓰여지는
것이
돈이기
때문에
그
흐름이
매우
신속할
수
밖에
없음
.
.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고
온라인
연결망이
확산됨에
따라
돈의
움직임은
시간과
공간개념을
초월해
광속도로
날아다니고
있는
것임
.
☞마우스
한번
클릭에
수백
, 수천만
불이
순식간에
바다
건너
지구
반대편까지
날아가는
가
하면
일부
개인투자가들은
자신의집에서
하루에도수십번씩주식을사고파는
day
trading 을
하고
있음
.
. 가장
신속하게
다른
종류의
자산으로
변신할
수
있기
때문에
돈은
개인
또는
기관의
포트폴리오
(portfolio;
보유자산의
집합
) 내에서
다른
자산으로
전환되기
위해
단기
보유되는
‘대기성
자산
’의
성격을
띰
.
. 개인이나
기관의
포트폴리오는
개별
자산
항목들의
‘상대적
기대수익률
(expected relative return)’이
변화함에
따라
끊임없이
조정을
받게
되고
이는
금융시장
전체로
보면
돈이
순식간에
이리
쏠렸다
저리
쏠렸다
하는
자금
순환
양상으로
나타남
.
포트폴리오의한예금융자산실물자산은행예금신탁형저축상품현금…대기성자산외화주식채권부동산미술품, 골동품등보석등
요약요약
돈은
수익
높으면서
믿을
수
있는
곳으로
흐르고
,
여유
있는
곳에서
여유자금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
흐르며, 머뭇거리지
않고
신속하게
흐르는
속성을
지니는데
이는
시장원리에
따른
자연스러운
흐름임
.
정경유착과
금리규제로
인해
금융시장의
왜곡이
초래되는
경우
그것은
돈
흐름의
어떤
속성이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인가
?
a. 여유
있는
곳에서
부족한
곳으로
흐르는
성질
b. 고수익,저위험을
쫓아
움직이는
성질
c. 신속하게
다른
자산으로
전환될
수
있는
성질
d. 돈의
공급과
수요가
늘
불일치
되기
쉬운
성질
돌발퀴즈
기회비용이란 ?
부록 A
기회비용의 정의
. 경제학에서는 비용을 따질 때 ‘기회비용’의 관점에서
파악함.
. 회계학적 관점에서 비용을 따질 경우 많은 경우 놓치는
부분(즉, 암묵적 비용 )이 있게 됨 . 이를 비용에 모두
포함시켜야 비로소 경제적 선택행위를 가장 합리적으로
할 수있음 .
.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이란 어떤 경제적 선택이
이루어졌을 때 그에 따라 포기해야 하는 차선의 행위의
금액가치를 뜻하는 개념임 .
.
명시적
기회비용과
암묵적
기회비용
.
.
우리가
어떤
경제적
선택을
할
때
‘돈’이
들
경우
우리는
이것을
비용으로
바로
파악하게
됨
. 주머니를
빠져
나가는
눈에
보이는
비용이므로
이를
명시적
비용
(explicit cost) 또는
회계적
비용
(accounting cost)이라고
함. 그러한
선택을
하지
않았더라면
해당액수만큼의
금융자산(돈)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을
터지만
선택과
함께
포기되고
말았기
때문에
이를
경제학에서는
기회비용의
한
형태로
파악함
.
.
‘돈’이
들지
않을
경우에는
어떨까
? 포기되는
것이
없을까? 즉, 기회비용이
들지
않는
것일까
?
.
주머니에서
직접
현금이
지출되지
않더라도
그
선택과
함께
포기되는
수입이
있을
경우
이
또한
기회비용으로
간주되며
이를
암묵적
비용
(implicit cost) 라고
함
.
. 이와 같이 경제학에서는 비용을 ‘기회비용’의 관점에서
파악하며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합친 것을
‘총기회비용’ 또는 그냥 ‘기회비용’이라고 함 . 또한
‘경제적 비용’으로 부르기도 함 .
총기회비용 = 명시적 비용 + 암묵적 비용
(경제적 비용 )
기회비용 개념의 응용 기회비용 개념의 응용
. 기회비용 관점에서 모든 비용을 두루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어떤선택행위를 할때그것이합리적선택인지
아닌 지가늠할 수 없게됨 .
. 특히 기업이 사업타당성을 분석한다거나 기업가치를
극대화 하려는 경영활동을 추진하려고 할 때 그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제대로 된 합리적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기회비용 분석이 필수적임 .
포장마차를 운영하는 홍길동씨가 어느 날 기분이 우울하여
영업을 포기하고 노래방에 가서 1시간 동안 노래를
부르기로 한다고 하자 . 홍길동씨의 이러한 선택에 따른
경제적 비용 (총기회비용)은 얼마인가 ?
.응용 사례 1 .
Case1) 동생이소유하는노래방에서무료로노래를함.
홍길동의시간당포장마차수입은4만원임.
Case1) 동생이소유하는노래방에서무료로노래를함.
홍길동의시간당포장마차수입은4만원임.
☞
명시적
비용
: 0원
(즉, 회계적
관점에서는
비용이
제로임
)
암묵적
비용
: 4만원
총기회비용(경제적
비용
) = 0원
+ 4만원
= 4만원
회계적
관점에서는
주머니에서
직접
나가는
비용이
없으므로
장부에
기재될
명시적
비용이
없는
것으로
보지만
경제학적
관점에서는
4만원의
암묵적
기회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보는
것임
.
☞
홍길동씨가
4만원의
기회비용을
감수하고
1시간
동안
신나게
노래를
불러야
삶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즉, 노래방에서
1시간
노래하고
얻는
심리적
이득을
금액으로
따졌을
때
4만원을
초과한다고
생각한다면
.
가령
5만원쯤
된다고
생각한다면
--) 그의
선택은
‘합리적
선택
’인
것임
.
Case 2) 인근노래방에서1만원을지불하고노래함.
홍길동의시간당포장마차수입은4만원임.
Case 2) 인근노래방에서1만원을지불하고노래함.
홍길동의시간당포장마차수입은4만원임.
☞아래와
같이
두
가지
성격의
기회비용이
초래됨
.
명시적
비용
: 1만원
(노래방을
선택하지
않았더라면
그대로
보유하고
있었을
금액인데
포기됨
.)
암묵적
비용
: 4만원
(노래방을
선택하지
않았더라면
벌었을
돈인데
포기됨
)
따라서
총기회비용
(즉, 경제적
비용
)은
5만원임.
☞노래방에서
보낸
1시간이
주는
만족도가
5만원의
가치를
가진다고
가정할
경우
홍길동씨는
노래를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을
것임
. 두
선택은
그에게
차별이
없음
.
☞만일
이날
인근지역에
가수
싸이의
공연이
예정돼
있어
포장마차
수입이
평소보다
월등히
높은
시간당
10만원
이라고
하면
홍길동씨가
노래방에서
1시간
노래하는데
드는
‘경제적
비용
’, 즉, ‘ 총기회비용’은
얼마인가
?
그의
합리적
선택은
무엇인가
?
월수입300만원의회사원홍길동씨는직장을그만두고자신이소유한2층건물의1층에갈비집을내기로하였다.
1층가게로부터나오던월세수입100만원을포기한그가예측하고있는갈비집월매출은2,000만원이고재료비,
인건비, 제세공과금등총비용은매월1,400만원이다.
홍길동씨가기대하는순수익은과연600만원이맞을까?
.응용사례2 .
☞홍길동씨는
600만원의
순수익을
올린다고
착각할
수
있으나
암묵적
비용을
포함시켜
따져보면
경제적
관점에서의
순이익은
이보다
훨씬
작음
.
☞명시적
비용
= 직접
현금
지출이
요구되는
비용
= 1,400 만원
암묵적
비용
= 직접
현금
지출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들어오던
수입이
안
들어오기
때문에
비용으로
간주되는
부분
= 400 만원
(갈비집
개업으로
포기해야
하는
매월의
근로소득과
월세수입의
합계액
)
☞총기회비용
= 명시적
비용
+ 암묵적
비용
= 1,400 만원
+ 400 만원
= 1,800 만원
따라서
경제적
관점에서의
월
순수익
(즉, 경제적
이윤
)
= 매출
-총기회비용
= 200만원임. (경제적
이익이
0보다
크므로
갈비집
개업은
합리적
선택이라고
할
수
있음
.)
회계적
이윤
= 총수입
.
명시적
비용
경제적
이윤
= (총수입
.
명시적
비용
)
.
암묵적
비용
= 회계적
이윤
-암묵적
비용
☞위의
예에서
회계적
이윤
= 2,000 만원
.
1,400 만원
=
경제적
이윤
= (2,000 만원
.
1,400만원)
= 600만원
.
400만원
= 200만원
600 만원
.
400만원
85
☞회계적
이윤
> 암묵적
기회비용
=> 경제적
이윤
> 0 : 사업타당성
있음
(진입)
회계적
이윤
< 암묵적
기회비용
=> 경제적
이윤
< 0 : 사업타당성
없음
(포기
또는
퇴출
)
☞요식사업(갈비집
개업
)에
투입된
나의
생산요소는
?
: 나의
노동력과
내가
소유한
1층
공간
이러한
생산요소
투입에
따른
기회비용은
?
: 암묵적
비용
400만원
이
때
회계적
이윤이
암묵적
비용보다
커야
경제적
이윤이
0보다
커지게
되며
따라서
생산요소
투입이
합리적
선택이
되는
것임
. ( 즉, 400 만원을
넘는
회계적
이윤을
창출할
수
있어야
생산요소
투입이
경제적으로
의미를
갖는
선택이
됨
.)
미시경제학에서보게되는‘완전경쟁기업은장기적으로경제적이윤이제로가된다’라는말의의미는?
☞갈비요리는
진입의
장벽이
높지
않은
보편적인
요리이므로
(+)의
경제적
이윤이
진입
유인으로
작용해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갈비집들이
생겨나게
되고
그
결과
공급이
늘어
나면서
매출이
하락
, 홍길동씨의
회계적
이윤은
줄어들게
됨. 결국
회계적
이윤이
정확히
암묵적
기회비용과
같아질
때
진입과
퇴출이
정지되는
균형상태가
될
것임
. 즉,
완전경쟁기업의
경제적
이윤은
0이
되는
것임
.
한편경영컨설턴트로일하는홍길동씨의친구에의해아래와같은추가적인비용처리대상항목이포착됨.
1) 식당일에매달리게된전업주부홍길동씨아내가포기해야하는가사노동의경제적가치= 월180만원2) 인테리어등시설비에사용된저축3,000만원
☞여기서
설비투자금액
3,000 만원은
어떻게
비용
처리하는
것이
합리적일까
? 빌린
돈이
아니어서
이자비용이
없으므로
무시해야
할까
?
.
3,000만원을
연이율
6%의
은행
저축상품에
넣어
두면
월
이자수입
15만원을
올릴
수
있다고
가정
.
.
식당
설비의
내용연수
(耐用年數; 사용
가능한
연도
수
)
를
10년
이라고
가정
. ( 즉, 1 년에
300만원씩
감가상각이
이루어져야
함을
가정
; 월25만원씩
감가상각
비용이
발생)
☞추가된
암묵적
기회비용
= 180 만원
+ 15만원
+ 25만원
= 220 만원
따라서
이제
경제적
이윤
= 2,000 만원
.
1400만원
.
400만원
.
220만원
= .
20만원
< 0 ; 갈비집
개업을
포기하는
것이
합리적임
.
기회비용과 경영성과의 측정 기회비용과 경영성과의 측정
. 최근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새로운 경영전략으로
EVA 경영이 많이 거론되는데 이는 기회비용 개념을
활용한 경영성과 측정지표임 .
. EVA는 Economic Value Added 의 약자로 ‘경제적
부가가치’의 뜻 . 세금을 제하고 난 순영업이익에서
자본비용을 차감한 잔액을 말함 .
. 여기서 자본비용은 타인자본비용 , 즉, 부채에 대한
금융비용 뿐만 아니라 자기자본비용까지 합해준 것임 .
즉, 기존의 각종 이익지표들이 무시하고 있는 자기자본에
대한 기회비용을 비용에 포함시키고 있음 .
☞자기자본은 주주들의 투하자본으로서 부채와 달리
이자비용이 없으므로 기존의 회계적 이익지표들에는
비용으로 반영되지 아니함 .
☞그러나 자기자본도 비용 없는 공돈일 수 없으며 주가상승을
통해서건 배당을 통해서건 자본주의적 기대수익이 요구
되는 돈임 . 주주들이 이 돈을 은행에 예금한다면 이자수익
을 낼 수 있으므로 포기된 이자수익만큼의 기회비용이
수반되는 돈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임 .
. 즉 , 주주들의 투하자금도 비용이 지불되는 돈으로
간주하고 이를 반영해 총자본비용을 산출한 후 이를
초과하는 순영업이익의 크기를 구한 것이 바로 EVA임.
. 이렇게 해서 계산된 EVA가 (-) 값이 나온다면 이는 주주
들에게 투자원금에 대한 보상을 할 경우 이익은커녕
오히려 돈이 부족하다는 의미 . 그러므로 주식회사로서의
존재가치를 인정받으려면 EVA가 (+)값이 되어야함 .
. 영업이익을 많이 낼수록 , 자본사용비용을 낮출수록
그만큼 더 EVA값이 커지고 기업가치가 올라감 .
기회비용과 자본사용 비용 기회비용과 자본사용 비용
. 토지 , 노동, 자본 및 이 셋을 아우르는경영기술을 4대
생산요소라고 하는데 이들 생산요소를 사용할 때
지불해야 하는 대가로는 토지에 대해서는 지대 , 노동에
대해서는 임금 , 경영기술에 대해서는 이윤이 있음 .
그렇다면 자본의 경우 사용비용은 어떻게 나타낼 수
있나?
. 자본은 기계 등 생산설비를 말함 . 만일 이들의
구입가격이 주어져 있다면 자본사용 비용은 이자율의
높고 낮음에 따라 달라짐 . 즉, 자본사용 비용의 측정
잣대는 이자율임.
. 생산설비의 구입은 소멸성 지출이 아니라 (그 가치가
살아있는) 자산의 구입이므로 구입자금에 대한
금융비용의 크기가 곧 생산설비 사용 대가의 크기임 .
은행으로부터
연이율
12%에
대출받은
돈으로
1,000만원
짜리
기계를
구입했다고
할
때
이
기계의
매월
사용비용은
얼마인가? (단, 이
기계는
항상
구입가격에
파는
것이
가능하고
감가상각은
무시해도
될
정도로
작다고
가정
.)
①
1,000만원
②
120만원
③
10만원
☞연이율
12%는월
1%임. 따라서
1,000 만원
X 0.01 = 10 만원
의
비용을
매월
지불하고서
이
기계를
사용하고
있는
셈임
.
만일
은행이자가
연
24%로
배로
뛰었다고
가정하면
이
기계의
사용비용
역시
월
20만원으로
배로
뜀
.
☞만일
은행차입이
아니라
기업이
저축해
둔
돈으로
기계를
구입했다면
이
기계의
사용비용은
0인가
아닌가
?
명시적
비용은
0이지만
기계구입으로
말미암아
포기된
은행예금이자에
해당하는
암묵적
기회비용이
존재함
.
은행의
예금이자율이
높고
낮음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짐
.
화폐보유의 기회비용 화폐보유의 기회비용
. 화폐 , 즉, 현찰성 자산이 아닐 경우 그 대안은 대체로
확정금리부 저축상품으로 볼 수 있음 . (투자상품들이
있지만 위험기피성향이 보편적이기 때문 ). 화폐를
보유하면 이들 저축상품이 가져다 주는 이자소득을
포기해야 하므로 기회비용이 발생 . 이자율이 높을수록
더 큰 이자소득을 포기해야 하므로 기회비용이 더 커짐 .
☞이자율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우르르 몰려다니는 경향이
있으므로 어떤 개념적인 ‘평균이자율’이 있다고 보아
거시경제학 또는 화폐금융론에서는 흔히 그것을 그냥
‘이자율’이라고 부름 .
. 이자율은 따라서 화폐보유의 기회비용 크기를 측정하는
잣대임.
부록 B 부록 B
수익증권과 뮤추얼 펀드
펀드…. 무얼 말하나 ?
▶ ‘펀드(fund)’란 다수의 사람들이 투자해달라고 맡긴
‘뭉칫돈’의 개념임 . 투자해 달라고 누군가에게 돈을
맡기는 것을 ‘투자신탁’ (줄여서 ‘투신’ )이라고 함 .
▶ 우리나라에서 흔히 ‘펀드’라고 하면 불특정 다수의
투자신탁행위를 통해 모아진 뭉칫돈을 유가증권 ,
부동산 등에 잘 운용해서 수익을 분배하는 형태의
간접투자 금융상품을 뜻하며 ‘수익증권’의 발행을
매개로 함 .
▶ 돈을 모으는 과정은 은행 , 증권사, 보험사 창구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들을 ‘판매회사’라고 부름 . 모아진
거액을 운용하는 것은 돈 굴리는 전문가 (펀드
매니저)들로 구성된 ‘자산운용사’들임 .
▶ 투자자 (고객)가 자신의 돈을 이 뭉칫돈에 보태는것을
‘펀드에 가입’ 또는 ‘펀드에 투자’한다고 표현함 .
이 때 투자자는 판매회사로부터 ‘수익증권저축 통장 ’
을 교부 받음 .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서는 펀드를
‘집합투자기구’로 , 펀드 운용회사를 ‘집합투자업자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로 표현함 .
▶ 펀드는 ① 작은 돈으로 거액이 요구되는 투자 대상에
투자할 수 있고 ② 다양한 자산에 투자함으로써
분산투자 효과를 볼 수 있으며 ③ 전문성과 정보력을
가진 전문 펀드 매니저가 투자할 뿐만 아니라 ④ 직접
투자에비해시간과노력을절약할수 있는등의
장점이 있음 .
▶
전문가에게
투자를
맡기는
대신
수수료지출과
위험을
감수해야
함
. 즉, 자산운용사가
이익을
못
내고
손실을볼수도있으므로펀드는투자
원금이
보장되지
않음
.
▶
우리나라에서
현재
‘펀드’라고
하면
이와
같이
수익증권이라는
이름의
유가증권
발행을
매개로
하는
계약형
투자신탁의
형태가
대부분이나
투자자가
주주로
참여하는
투자회사의
형태를
취하는
뮤추얼
펀드도
있음
.
수익증권과
뮤추얼펀드의
차이
집합투자기구, 즉, 펀드에는
‘수익증권’과
‘뮤추얼펀드’의
두
종류가
있음
.
집합투자기구
(펀드):
▶
집합투자기구의
법적
정의
: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유가증권
등의
자산에
투자하고
그
수익을
투자지분에
따라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집단적, 간접적
투자제도
또는
그러한
투자상품
.
☞
여기서
‘집합’은
‘2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투자권유를
해서
돈을
모은다는
뜻임
.
☞
통상적으로
‘펀드’라고
말할
때
괜찮은
우리말
번역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집합투자기구’인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임
.
수익증권 :
▶ 자산운용회사가 펀드를 설정할 때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권리 증서 . 단위는 ‘좌’를 사용하며 작게는
1좌권, 5좌권에서 최대 100억좌권까지 13종으로
발행되지만 한국예탁결제원에 맡겨져 보관되므로
투자자는 판매회사를 통해 ‘수익증권 몇 좌’하는
식으로 표시된 통장을 지급받음 .
▶ 넓은 의미에서의 수익증권은 투자자들로부터 모은
돈으로 거액자금을 조성해 유가증권 등에 운용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분배해주는 그러한 투자목적의
조직구성 체계를말함 .(즉, ‘집합투자기구’ 또는
‘펀드’임 .)
▶ 수익증권의 법적 성격은 ‘계약형 투자신탁’이며 아래
3개 기관이 계약관계로 맺어짐 . 펀드 증권의 발행과
판매및 보관의 3주체를 이와 같이 분리시킨 것은
투자자 보호가 그 목적임 .
①
판매회사: 투자자들을
직접
상대하면서
펀드의
판매
,
환매를
주된
업무로
하는
회사로
은행
, 증권사, 보험사
들이
여기에
해당
. 고객
돈의
운용과
아무
상관없음
.
②
자산운용회사: 고객의
돈을
수익이
발생할
수
있도록
운용하는
회사로
펀드
매니저들을
거느리고
있음
.
펀드
투자의
성과를
좌우하는
실체임
. 펀드를
설정
하는
것도
이들
‘운용사’들임
.
③
수탁회사: 고객이
펀드에
가입
, 예치한
투자금은
판매회사가
보관하는
것이
아님
. 또한
자산운용
회사가
가져가서
직접
관리하는
것도
아님
. 법에
따라
신탁업무가
허용된
제
3의
기관
(은행)에
보관하도록
돼
있음. 운용회사
자기네들
재산과
뒤섞어
변칙
운용할
가능성을
차단하고
감시와
견제를
통해
고객의
자산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임
.
단, 수탁회사와
판매회사들
중에는
자산운용회사를
자회사로
거느리는
경우도
많음
.
▶
수익증권은
일정기간
동안의
운용기간을
설정해
만기가
되면
운용이
종료되고
수익이
결정되는
단위형과
최초
펀드
설정
후
새로운
투자자들의
자금유입이
자유롭고
환매도
자유로운
추가형으로
구분됨.
▶
수익증권은
또한
신탁자산의
6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는
주식형과
자산의
60% 이상을
채권에
투자하고
주식은
편입하지
않는
채권형
,
중간형태로
30~60% 범위
안에서
주식을
편입하는
혼합형이
있음
. CD, CP, 콜
등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는
머니마켓펀드
(MMF; Money Market
Fund), 부동산에
투자하는
부동산
펀드도
있음
.
수익증권
투자는
수익증권
저축통장
교부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익증권
실물
자체는
매우
보기
어려운데
이것은
구형
수익증권임.
한국예탁결제원
웹사이트를
보면
위조방지를
위한
통일규격
신권은
약간
모양과
크기가
다름
.
아래쪽의
이표는
이익분배금을
재투자
않고
지급받을
때
사용하기
위한
것임
.
▶ 주식에서 수량을 셀 때는 1주, 10 주 등 ‘ 주 ’ 를 단위로
하는데 수익증권 (펀드)의 경우 단위는 ‘ 좌 ’ 라고 함 .
수익증권의 기준가격
▶ 주식을 사고 팔 때 거래의 기준이 되는 가격은 현재의
주가이지만 펀드에 투자할 때 매매의 기준이 되는
가격은 기준가격이라고 함 .
▶ 펀드가 최초 설정된 시점에 1좌당 1원으로 시작해
1000좌 = 1000 원 단위로 거래가 이루어짐 .
150만원을 투자할 경우 150만좌수가 매입좌수로
통장에 찍힘 .
즉, 매입좌수 = ( 투자금액 / 기준가격) x 1000 임.
또한 적립식으로 투자할 경우 보유좌수는
보유좌수 = Σ{( 투자금액 / 기준가격) x 1000} 이 되며
환매시에는 (보유좌수 x 기준가격) / 1000 을
돌려받음.
▶ 주식에서 수량을 셀 때는 1주, 10 주 등 ‘ 주 ’ 를 단위로
하는데 수익증권 (펀드)의 경우 단위는 ‘ 좌 ’ 라고 함 .
수익증권의 기준가격
▶ 주식을 사고 팔 때 거래의 기준이 되는 가격은 현재의
주가이지만 펀드에 투자할 때 매매의 기준이 되는
가격은 기준가격이라고 함 .
▶ 펀드가 최초 설정된 시점에 1좌당 1원으로 시작해
1000좌 = 1000 원 단위로 거래가 이루어짐 .
150만원을 투자할 경우 150만좌수가 매입좌수로
통장에 찍힘 .
즉, 매입좌수 = ( 투자금액 / 기준가격) x 1000 임.
또한 적립식으로 투자할 경우 보유좌수는
보유좌수 = Σ{( 투자금액 / 기준가격) x 1000} 이 되며
환매시에는 (보유좌수 x 기준가격) / 1000 을
돌려받음.
▶펀드는설정일을기준으로1년단위로결산을함.
08년3월10일이펀드설정일이라면09년3월10일에결산이이루어지며,
08년3월10일기준가격이1000좌=1000원이었고,
09년3월9일기준가격이1000좌=1200 원이었다면,
09년3월10일에는1200좌=1000원으로계산하여보유좌수가늘어나게되고, 기준가격은다시1000좌=1000원으로되돌려지게되는것임.
▶펀드의기준가격은펀드의순자산가치를나타냄.
▶펀드는설정일을기준으로1년단위로결산을함.
08년3월10일이펀드설정일이라면09년3월10일에결산이이루어지며,
08년3월10일기준가격이1000좌=1000원이었고,
09년3월9일기준가격이1000좌=1200 원이었다면,
09년3월10일에는1200좌=1000원으로계산하여보유좌수가늘어나게되고, 기준가격은다시1000좌=1000원으로되돌려지게되는것임.
▶펀드의기준가격은펀드의순자산가치를나타냄.
뮤추얼펀드
(Mutual Fund):
▶
투자신탁의
일종으로
‘회사형
투자신탁’을
의미
.
계약적
관계를
토대로
한
수익증권과
달리
명목상
회사인
증권투자회사가
설립됨
. 즉,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하고
주식을
발행교부하므로
투자자는
주주의
입장이
되어
배당금의
형태로
수익을
돌려
받게
됨
. 중도에
환매가
가능하냐
여부에
따라
개방형(open-ended) 과
폐쇄형
(closed-ended)
으로
나뉨
. 또한
투자대상에
따라
주식형
, 채권형,
혼합형
등으로
구분됨
.
☞
명목상
회사란
사무실도
없고
직원도
없는
paper
company 를
의미
.
▶
미국의
경우
우리나라와
달리
투자신탁은
주로
뮤추얼펀드
형태임
.
▶
미국에서는
펀드하면
대부분
개방형
뮤추얼
펀드이고
규모가
크고
역사도
오래된
것들이
많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수익증권형태의
펀드가
대부분이고
수탁액이
50억에도
못미치는
소형펀드들이
다수임
.
▶
우리나라에서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2월에
'증권투자회사법'이
제정되면서
'회사형
투자신탁
'(즉,
뮤추얼펀드)이
도입되었음
. 이를
토대로
증권투자
회사
(페이퍼컴퍼니
형태
)와
자산운용
위탁계약을
맺어
자산을
운용하는
별도의
'자산운용회사'들이
설립되기
시작했었음
.
▶
상품
약관에
'증권투자회사'로
돼
있으면
뮤추얼펀드
이고
‘수익증권이라는
말이
나오면
수익증권형
펀드임.
▶
뮤추얼
펀드의
순자산가치
(Net Asset Value)
자산의
총시장가치
. 부채
. NAV =
총발행
주식수
. 뮤추얼
펀드의
현재의
주당시장가치
. 펀드주식의
거래에
있어
기준이
되는
가치
(기준가격)
수익의
세가지
원천
. 소득의
분배
(I; income distributions)
▶
채권
수익률
, 주식
배당금
.
. 자본이득
분배
(CG; capital gain distributions)
▶
자산
매도로
얻은
실현된
이득
/손실
. NAV 의
변화
(ΔNAV)
▶
자산의
미실현
이득
/손실
수익률
공식
I + CG + ΔNAV
.수익률
=
(Return) Beg. NAV
▶
뮤추얼
펀드의
운용기간
동안
발생한
수익은
세가지
요소의
합을
(I + CG + ΔNAV ) 초기
투자
NAV 로
나눈
값임.
▶
대부분의
펀드는
실현
수익을
투자자에게
현금으로
배당하거나
재투자함
.
수익증권과
뮤추얼
펀드의
차이
구분
수익증권
뮤추얼펀드
법적
성격
계약형
투자신탁
회사형
투자신탁
설립
형태
신탁계약에
의한
신탁관계
주식회사
형태의
투자회사
발행
유가증권
수익증권
주식
투자자
법적지위
수익자
주주
이익계산
기준가격
= NAV =
☞
NAV = 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