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D244C569BE3F6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D474C569BE3F8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EC74C569BE3FA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D774C569BE3FC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C534C569BE400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D4F4C569BE404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C6C4C569BE408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99D4A569BE40D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8534A569BE412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9BB4A569BE418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85F4A569BE41F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9D04A569BE423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9C24A569BE429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86B4A569BE42F1C)
서양천문학의역사-2천년간의난제: 행성의역행적경적위행성의운동순행(順行) : 서→동역행(逆行) : 동→서서양천문학의역사-2천년간의난제: 행성의역행적경적위행성의운동순행(順行) : 서→동역행(逆行) : 동→서
1. 그리스의 천문학 1. 그리스의 천문학
(1) Pythagoras (~550BC) : 자연현상을 수의 체계로 설명하려고 시도
우주의 중심은 태양이고 , 지구는 그 주위를 돈다 (태양중심설 )
(2) Plato (427~347BC)
천체의 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용가능한 가정이 필요하다 .
-천체들은 지구 주위를 돌고 있으며
-행성들의 운동은 가장 순수한 형태인 원운동을 한다 .
(3) Aristotles (384~322BC) . “천구에 관하여 (On the Heaven)”
지구가 구형이라는 증거 제시
-월식때 지구의 그림자가 둥글다 .
-북극성의 고도가 위치에 따라 다르다 .
-배가 돛부터 보인다 .
(4) Eudoxus . 플라톤의 제자로 수학자
행성은 자신의 구 (sphere) 를 갖고 있으며 , 다양한 속도로 회전을 한다 .
← 초기에는 행성의 역행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었다 .
(5) Hipparchus (190?~125?BC)
행성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원으로 이루어진 계 (system) 를 제안
주전원과 이심원의 개념을 도입하여
행성의 역행운동과 역행시 행성이 밝아지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었다 .
세차운동을 발견
별의 밝기를 나타내는 등급의 개념을 도입
1. 그리스의천문학(계속) 1. 그리스의천문학(계속)
(6) Ptolemy (Ptolemaeos, 85?~165?AD) .
“알마게스트”
천동설
(지구중심설
)을
정립
-주전원과
이심원을
수정
-Equant 를
도입하였고
, 이심원이
Equant 를
중심으로
등각속도
운동을
한다
.
-지구가
우주의
정중앙에
있지
않다
.
48개
별자리를
설정
달, 태양, 5 개
행성
및
항성의
8개
구면으로
구성
-행성운동을
비교적
잘
설명할
수
있었다
.
-구면
다음에
천당과
지옥을
둘
수
있어
기독교의
우주관으로
채택됨
잘못된
모형이므로
,
처음에는
관측을
잘
설명할
수
있었으나
오차의
누적으로
새로운
주전원을
더
도입하여야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
2. 코페르니쿠스혁명(Copernican Revolution) 2. 코페르니쿠스혁명(Copernican Revolution)
(1) Copernicus (1473~1543AD) .
“천체의
회전에
대하여
(De Revolutionibus)”
지동설
(태양중심설
) 주장
-행성들은
태양을
중심으로
원운동
-천동설보다
수학적으로
간단
-확실한
증거의
제시도
없고
,
증명할
방법도
제시하지
않았다
.
“宇宙論”
-원운동
가정
→ 관측과
차이
-1400 년
이상
굳어진
지구중심적
사고방식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
(2) Tycho Brahe (1546~1601AD)
가장
정확한
맨눈관측
기록을
남긴
천문학자
(관측
오차
2’)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도
천동설과
마찬가지로
관측과
큰
차이
→ 변형된
천동설
주장
-永遠不變하다고
믿었던
하늘에서
새로운
별
(超新星)이
나타나기도
하고
, 혜성이
천체현상임을
인식
(3) Kepler (1571-1630AD) .
행성운동의
3가지
법칙
발견
Tycho Brahe 의
관측자료와
Copernicus 의
지동설을
결합
-타원궤도
운동
: 태양이
한
초점에
존재
-면적속도
일정의
법칙
: 각운동량
보존
법칙
-조화의
법칙
: ( 공전주기
)2 ∝( 장반경
)3
3. 과학혁명이시작되다3. 과학혁명이시작되다
(1) Galilleo Galilei (1564-1642AD)
망원경을
통해
우주를
보다
(1609 년)
← 감각의
한계를
넘어
도구로
!!
Galileo 의망원경
달의
표면
스케치
목성
위성의
위치변화
금성의
모양
변화
태양의
흑점관측
, 은하수
.
갈릴레오 갈릴레이 천체망원경 400주년을 기념 ,
UNESCO 와 국제천문연맹은 2009 년을 ‘ 2009 세
계 천문의 해(IYA2009)’로 지정
.
2007 년 12월, 제 62차 UN 총회, ‘IYA2009’ 선포
전 세계 137개국 참여
.
일반시민들이 직접 별을 보는 체험을 통해 우주가
어떤 곳인지 스스로 자각토록 함
.
2008 년 12월, 국회 IYA2009 지지결의안 통과
(2) I. Newton (1642-1727AD)
-만유인력
발견
(1687 년)
-“힘”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행성운동을
기술
→ 물리학이
태동
4. 20 세기의천문학
(1) 외부은하의
발견
(1924 년)
: 안드로메다
성운이
星雲이
아니라
銀河임을
확인
(2) E. Hubble : 팽창우주의
발견
(1929 년)
(3) A. Penzias & R. Wilson :
극초단파
배경복사
발견
(1964 년)
(4) 1970 년대
: 우주
거대구조의
존재
확인
(5) 1997 년
: 우주의
가속팽창
발견
자외선으로본안드로메다은하
SDSS 탐사관측
WMAP 으로
관측한
우주배경복사
5. 우주를보는窓의확대(1) 우주전파의발견1931년K. Jansky .우리은하중심에서전파가오는것을발견---눈에보이지않는빛을보다!
K. Jansky 의전파망원경(안테나)
은하수.가시광(아래)과전파(왼쪽)
5. 우주를보는窓의확대(1) 우주전파의발견1931년K. Jansky .우리은하중심에서전파가오는것을발견---눈에보이지않는빛을보다!
K. Jansky 의전파망원경(안테나)
은하수.가시광(아래)과전파(왼쪽)
5. 우주를보는窓의확대(계속)
(2) X-선관측1966년Sco-X1 발견(3) 적외선으로확대1960년대후반Becklin & Neugebouer
(4) NASA 의우주망원경-Hubble SpaceTelescope ( 가시광)
-Compton Gamma-Ray Observatory (g-선)
-Chandra X-ray Observatory (X-선)
-Spitzer Space Telescope ( 적외선)
H. Oberth ( 왼쪽)과L. Spitzer ( 오른쪽)
1923 년1969 년HST
1990 년4월24일발사우주팽창을발견한E. Hubble 의이름을붙임1993 년12월2일광학계교체후양질의영상관측수행5. 우주를보는窓의확대(계속)
(2) X-선관측1966년Sco-X1 발견(3) 적외선으로확대1960년대후반Becklin & Neugebouer
(4) NASA 의우주망원경-Hubble SpaceTelescope ( 가시광)
-Compton Gamma-Ray Observatory (g-선)
-Chandra X-ray Observatory (X-선)
-Spitzer Space Telescope ( 적외선)
H. Oberth ( 왼쪽)과L. Spitzer ( 오른쪽)
1923 년1969 년HST
1990 년4월24일발사우주팽창을발견한E. Hubble 의이름을붙임1993 년12월2일광학계교체후양질의영상관측수행
Hubble Space Telescope (HST) Hubble Space Telescope (HST)
Hubble Space Telescope (HST) Hubble Space Telescope (HST)
Compton Gamma-Ray Observatory
(CGRO)
Compton Gamma-Ray Observatory
(CGRO)
1991 년
4월
5일
발사
, 2000 년
6월
4일
퇴역
우주에서오는
감마선
(g-ray) 관측
g-ray : 중력붕괴와
같은
현상에서
방출
A. H. Compton : 전자에
의해
에너지가
큰
빛이
산란되는
현상을
발견하여
노벨상
수상
측정
에너지
: 30keV ~ 30 GeV
관측기기
: BATSE, COMPTEL, OSSE,
EGRET
COMPTEL 로
얻은
감마선
천체의
분포
Chandra X-ray Observatory (CXO) Chandra X-ray Observatory (CXO)
1999 년
7월
23일
발사
인도출신
천체물리학자
Chandrasekhar 의
이름을
붙임
관측장비
: ACIS, HRC, LETG, HETG
Spitzer Space Telescope (SST) Spitzer Space Telescope (SST)
2003 년
8월
25일
발사
우주망원경
설치에
큰
공헌을
한
L. Spitzer 의
이름을
붙임
중적외선
영역
관측
(3.6mm~160mm)
관측장비
: IRAC, IRS, M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