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입자의 크기와 입도분석 흙입자의 크기 (1) 자갈과 모래를 구별하는 흙 입자의 크기 . 대부분의 분류법 : 2mm . 통일분류법(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 4.75mm (2) 점토입자의 크기 . 대부분의 분류법 : 0.002mm 입도분석 . 체분석 입도분석 . 비중병 시험 입도분포곡선 . 첫째는 유효입경 (effective size) 으로서 이는 D10을 말한다 . 즉 통과량 10% 에 해당하는 흙 입 자의 직경을 말한다 . 이의 물리적인 의미는 유 효입경이 크면 클수록 주어진 흙입자의 크기가 대체적으로 큼을 이야기 한다 . (1) 균등계수(uniformity coefficient), Cu (2) 곡률계수(Coefficient of gradation), Cc 여기서, 은 통과량 60% 에 해당하는 흙 입자 의 크기를 말하며 , 균등계수가 클수록 큰 입자와 작은입자가 골고루 섞여 있는 입 도분포가 좋은 흙을 말하며 , 작을수록 입 도분포가 나쁜 , 균등한 흙을 말한다 . (3) 곡률계수(coefficient of gradation), 는 다음 식과 같다 . (1.3) 흙의 분류법 통일분류법 1) 통일분류법의 근간 G ( 자갈) W(입도분포양호) 입자크기흙의성질 앞뒤 . 조.세립토의 구분 (앞 글자 ) . 흙의 성질을 나타내는 요소 (뒷 글자 ) 2) 조.세립토의 구분 . 조립토 : #200 체 통과량 50% 미만 G: 자갈 (gravel) S: 모래 (sand) . 세립토 : #200 체 통과량 50% 이상 M: 실트 (silt) #4체 통과량으로 구분 C: 점토 (clay) O: 유기질토 (organic silt and clay) Pt: 이탄 (peat,muck) 3) 흙의 성질을 나타내는 요소 . 조립토 -#200 통과량 50%미만 W: 입도분포 양호 (well graded) P: 입도분포 불량 (poorly graded) Cu,Cc 로 구분 . 세립토 -#200 통과량 50%이상 L: 소성성이 낮은 세립토 (low plasticity) H: 소성성이 높은 세립토 (high plasticity) LL로 구분 표 3.1 통일분류법에 의한 자갈의 분류 기 호 기 준 GW 200번체 통과량 5% 미만 . Cu≥4 and 17 그리고 A-Line 선상이나 그 위에 있음 . (그림 3.1의 CL 영역을 볼것 ). ML 무기질, LL<50, PI<4 또는 A-Line 아래에 있음 . (그림 3.1 의 ML 영역을 볼것 ). OL 유기질, (LL-노건조 )/(LL-비건조 ) < 0.75, LL<50. (그림 3.1의 OL 영역을 볼것 ). CH 무기질 , LL≥50, PI 는 A-Line 선상이나 그 위에 있음 . (그림 3.1 의 CH 영역을 볼것 ). MH 무기질 , LL≥50, PI 는 A-Line 아래에 있음 . (그림 3.1의 MH 영역을 볼것 ). OH 유기질, (LL-노건조 )/(LL-비건조 ) < 0.75, LL≥50. (그림 3.1 의 OH 영역을 볼것 ). CL-ML 무기질, 그림 3.1의 빗금친 영역에 있다 . Pt 이탄 (peat), 거름 (muck) 그리고 그 외의 유기질이 많이 있는 흙 4) 흙의 분류를 위한 단계 (1) 1 단계 #200 체 통과량 (F)을 구함 . F<50% 인 경우 : 조립토 ⇒ 2단계로 간다 . F≥50%인 경우 : 세립토 ⇒ 3단계로 간다 (2) 2 단계: 조립토에서 자갈과 모래의 구분 (100-F) 가 조립분에 해당함 . 조립분에 대하여 #4체 통과량 (F1) 을 구함 . F1< (100F) 2 .(100F) 2 . 인 경우 : 자갈(G) F1≥ 인 경우 : 모래(S) ⇒ 표 3.2 + 그림 3.1 을 이용하여 분류기호 (group symbol) 를 구한다 (3) 3 단계: 세립토에서 분류기호 (group symbol) 를 구하기 위함 . ⇒ 표 3.3 + 그림 3.1 을 이용하여 분류기호 (group symbol) 를 구한다 .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