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D4450550EAE2C2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6F250550EAE2C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02950550EAE2D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65150550EAE2F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4F550550EAE30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C8450550EAE32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D8C50550EAE33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98150550EAE341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3774D550EAE351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9314D550EAE372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3644D550EAE38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97E4D550EAE392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E064D550EAE3A0A)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조선
전기에
민생
안정과
부국강병
읁
위해
실용적인
학문이
발달하였
음읁
이해핝
수
있다
.
조선
전기에
자주적인
민족
문화가
발달했음읁
사례를
들어
설명핝
수
있다.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50쪽)1 민족 문화의 융성
죄수들의 조서나 판결문을 이두
문자로 쓰면 , 글을 모르는 백성이
한 글자의 착오로 간혹 원통한
일을 당할 수 있다 . 그런데 이제
훈민정음으로 그 글을 써서 읽고
직접 듣도록 한다면 , 비록
어리석은 백성이라 하더라도
쉽게 이해해서 억울한 일을
당하는 사람들이 없어질 것이다 .
▲훈민정음(언해본
, 서강대학교)
-“세종실록”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1. 훈민정음 창제
① 목적 : 백성들의 자유로운 의사 표현
② 훈민정음 활용 : 유교 윤리 보급 , 서리의 행정 실무에 이용
③ 의의 : 고유 문자를 갖게 됨 → 문화 민족의 자긍심 고취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2. 과학 기술의 발전
① 목적 : 민생 안정과 부국강병
② 농업: “농사직설”간행
③ 측정 기구 제작 : 혼의, 간의, 앙부일구, 자격루, 측우기,
인지의, 규형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④ 천문학: ‘천상열차분야지도’, “칠정산”
⑤ 의학: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⑥ 금속 활자 : 계미자, 갑인자
⑦ 무기 제조 : 화차, 거북선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3. 윤리서와 의례서
① 목적 : 유교 윤리 보급
② 윤리서: “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③ 의례서: “국조오례의”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4. 역사 편찬
① “고려국사” → 정통성과
대의명분 확립
② “고려사”, “고려사절요”
→ 고려 역사 정리
③ “동국통감”→ 고조선부터
고려 말 역사 정리
④ “동국사략”, “기자실기”
→ 사림의 존화주의 의식 반영
⑤ “조선왕조실록”편찬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5. 지도와
지리지
편찬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① [자료 1, 2] 를 통해 두 서적의 편찬 목적을 말해 보자 .
[예시] 고려 시대의 역사를 정리한 것으로는 “고려사절요” ,
각 지방에 대한 정보를 정리한 지리지로는
“팔도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이 있다 .
② [자료 1, 2] 와 같은 목적으로 편찬된 서적을 조사해 보자 .
[예시] “고려사”는 고려 시대의 역사를 정리하기 위해 ,
“동국여지승람”은 각 지방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중앙 집권과 국방 강화에 활용하기 위해 편찬하였다 .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6. 민간에서의 불교 유행
① 정부의 불교 정책 : 사원 소유 토지와
노비 회수 , 도첩제 실시 , 종파 통합 →
불교 위축
② 궁중과 민간 : 왕실 안녕 , 왕족의 명복읁
비는 행사 시행
③ 세조 : 원각사지 10층 석탑 건립 , 간경도감
설치
5.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1 민족 문화의 융성
7. 도교와 민간 신앙
① 도교 : 행사ㆍ사원 축소 , 소격서 설치 → 마니산 초제 거행
② 풍수지리설ㆍ도참사상 : 한양 천도에 반영 , 사대부의 묘지
선정에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