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의 역사와 발전과정
1. 교육공학의 역사와 발전과정
1) 감각적 실학주의(1700~1900)
-무의미하고 형식적인 언어편중주의에 반대하고 자연현상을 감각을 통하여 있는 그대로 직접 경험하는 직관준의 입장을 취하는 것.
(1) 코메니우스(교육 공학의 선구자)
- 「대교수학」, 「세계도회」저술
- 지식이 감각을 통하여 획득되므로 가능한 모든 사물을 감각적으로 제시할 때 보다 정 확하고 빠르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
(2) 페스탈로치
- 직관에 의한 교육을 중시
(3) 프뢰벨
-감각경험을 통한 즉각적인 지식보다는 사물의 질적 특성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상징적 지식 강조
(4) 몬테소리
-감각기능의 훈련을 목적으로 고안된 특별한 교구를 사용해서 감각기능의 식별능력을 발달시키는 것.
2) 교수의 과학화(1900~1950)
(1) 듀이
-교육이란 학습자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환경으로부터 획득 되 는 경험이 학습의 요체. 경험의, 경험에 의한, 경험을 위한 교육을 제시.
(2) 손다이크
-교수공학의 기본 원리에는 자발적 학습활동, 흥미, 동기유발, 준비성, 정신적 자세, 개별 화, 사회화 등이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통제하며, 다양한 교수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고 주장.
2. 미국 교육공학의 발전과정
1) 시각교육
-언어중심의 교육방법에서 탈피하여 구체적 경험을 제공하는 시각교육을 중심으로 이루 어짐.
-1923년 시각교육국(Department of Visual Instruction)의 조직으로 언어중심교육 → 구체적인 경험을 제고하는 시각교육운동의 시작
-추상적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해 시각자료를 보조물로 사용
-Horban 등(1937) : <교육과정의 시각화>에서 시각자료와 교과과정의 통합을 시도
- 시각자료를 내용의 구체성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목표화 시킴으로써 ‘구체성’의 개념과 ‘경험의 일반화’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
※ 시각교육은 시각자료를 독립적으로보다는 자료 자체를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제한
2) 시청각교육
-2차 대전 중 군대에서 단기간에 대량의 군인과 전문기술자를 효율적으로 훈련시키기 위해 도입(16mm 영화필름)
-시각교육국 → 시청각교육국(DAVI : Department of Audio-Visual Instruction)으로 확대 개편(1947)
-시청각교육에 관한 학설과 이론의 제기
(1) Dale의 경험의 원추(Cone of Experience)
․ 경험형성과정을 ‘직접적, 목적적 경험’ → ‘관찰에 의한 경험’ → ‘언어적 경험’
․ 학습자는 실제 행동을 경험하고, 매체를 통해서 보고 들으며, 언어에 의한 상징화 과정을 거쳐 개념 형성이 일어난다.
․ 교수매체가 추상적일수록 구체성이 높은 매체에 비해 적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전달
․ 교수매체 선정 시 학습자의 준비상태, 능력, 흥미에 따라 어느 정도의 구체성과 추상성을 가질 것인지를 적절하게 판단해야 한다.
(2) Bruner의 지식의 표상양식
․ 행동적(enactive), 영상적(iconic), 상징적(symbolic) 표상양식으로 구분하고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자극의 속성보다는 지적인 활동을 강조
※ 시청각 교재를 독립적인 교수자료가 아닌 교사에게 부여된 보조물로 간주, 산출물로서의 효과를 중시하고 활용되는 교수-학습 과정을 간과
3) 시청각교육 통신
-교육을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파악하려함. 교수-학습과정을 일련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체제로 보는 초기 체제 개념의 도입.
-시청각교육국 → 시청각 커뮤니메이션(Audiovisual communications; 1963)
(1) 통신이론
-Berlo의 SMCR모형
-정보원(Source)으로부터 수신자(Receiver)에게로 메시지(Message)가 수단인 채널 (Channel)을 통하여 전달되는 과정
-송신자와 수신자의 통신방식은 쌍방적임
-학습자(수신자)와 교사(송신자)는 필수불가결한 부분
-메세지의 구조 및 처리와 메시지의 내용도 통신과정의 일부로 교육내용은 중요한 부분.
-오감은 통신과정의 일부
-메세지의 형태는 통신과정의 일부로 즉 교육공학의 일부임
-쌍방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짐
(2) 초기 체제 개념
-체제: 공통의 목적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의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조직체
-중요성: 체제 내의 구성요소들의 통합과 증대
-체제=산물(완전한 수업을 제공할 수 있는 정리되고 통합된 완전한 산물)
-Finn의 교수체제(검은 상자 개념)
교수방법을 검은 상자로 취급, 내부구조는 알 수 없어도 입력과 출력을 조정함으로 어떤 반응을 얻을 수 있는 심리학적 개념
-기술 단위 혹은 산물은 완전한 수업체제
-개별적 교수자료들은 교사의 보조물이 아니라 교수체제의 구성요소
-통합의 본질이 교수문제 및 목적에 기반을 둠
(3) 시청각통신
-시청각과 통신과정과의 관계
-교수매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학습자가 지는 능력을 최대한 개발시킬 수 있는 방법
-학습자는 필수적 부분
-학습자 반응과 평가를 첨가→학습이론으로부터의 새로운 개념 도입
-피드백의 통신 개념을 강조
-필수적 구성요소: 메시지, 매체기기. 요원, 방법, 환경
※ 시청각 커뮤니케이션 단계에서의 ‘과정으로서의 체제’나 체제적 접근‘ 개념은 교육요소를 하나의 체제 안에 모두 포함시키고 있지 않는 등 체제 접근 개념을 완전히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4) 교육공학
(1)초기 교수 공학
-행동과학이론 + 체제이론 + 교수개발 이론 등의 도입으로 교수공학의 개념 형성
-시청각교육국(DAVI) → 미국교육공학협회(AECT :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가. 행동과학 이론
-Skinner의 학습이론 : 조작적 조건형성, 피드백, 강화... 프로그램 학습이나 교수기계 개발
의 기본원리가 됨
․ 학습자가 학습할 분량을 조금씩 단계적으로 제시,
․ 학습결과를 즉시 알려주어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결과를 확인
․ 학습자를 개별적으로 지도하여 학습진도가 학습자의 학습능력에 따라 진행되도록 함.
․ 행동목표와 준거지향평가, 개별화 수업, 자율학습
나. 체제적 접근과 교수개발
-후기 체제개념은 산물보다 과정을 강조
-체제적 접근은 교수목표설정, 교재선택 및 개발, 교수방법 선책, 평가자료 개발 등의 단계를 거쳐, 학습결과가 교수목표와 비교 평가되어 피드백에 따라 체제의 수정이 행해지도록 한다(Heinich, 1967)
-“교수개발은 전체 교수시스템을 계획하고 제작하며 평가하고 활용하는 체제적 접근이며, 개별적인 교육적 산물을 취급하는 교수 산물 개발이나 교수설계보다 포괄적인 개념"을 의미(AECT, 1979)
다. 교수공학의 정의화
-교수공학은 교수개발이론(행동과학 개념과 체제이론을 통합)을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대된 것
-1997년 AECT 정의
※ 교수공학 분야를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조직”이라고 명시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본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못하고 있다(AECT, 1977).
(2) 교육공학
-교수공학에서는 교육의 일부 측면에만 관련되어 있지만, 교육공학에서는 학습이 통제되고
계획된 상황이 아닌 더 넓은 전반적인 교육상황을 대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3. 우리나라 교육공학의 발전과정
1) 태동기(1950년대 초~1960년대)
★시청각 교육의 도입
(1)1951년 ‘한국시청각교육회’발족
-시청각교육의 본격적인 장을 염
-목적: 시청각교육의 이론과 실전에 관한 조사연구, 계몽, 보급
(2)1952년 이화여대 사범대학 최초 ‘시청각교육’과목 개설
-미국 공보관 Taylor가 시청각 기자재들을 중심으로 강좌 진행
(3)1957년 문교부 산하 ‘시범 시청각교육원’설립
-한․미 공통으로 시청각교육 사업 본격적 추진
-1963년 초 ‘시범 시청각교육원’이 ‘중앙 시청각교육원’으로 개칭하고 각 시․도에도 시청각 교육원 설치
-1963년 3월 라디오 방송 본격화
-1969년 KBS TV학교방송 시범 방송
-1963년 이화여대 ‘시청각 교육과’인가
(4)1969년 2월 ‘장기종합교육기획심의회’발족
-장기 종합교육계획 수립
2) 교육공학의 성장기(1970년대~1980년대 초)
★프로그램 수업이론 도입 및 수업체제개발의 확산
(1)1968년 ‘한국행동과학연구소’설립
-행동주의의 영향으로 프로그램 수업(체계적이면서 절차적인 수업원리 강조)소개
-프로그램 학습:내용분석->행동목표 세분화->단계 고안->절차 수립->확인
-개별학습 및 자율학습 개념 도입
(2)1972년 ‘한국교육개발원’설립
-목적: 한국교육이 당면한 제반문제의 체계적 해결을 위함
-수업설계모형이나 수업체제개발모형이 학교교육에 광범위하게 확산
(3)1972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설립
-원격교육기관으로서 각종 매체를 교수-학습 활동에 적극 활용
3) 교육공학의 성숙기(1980년대 중반~1990년대 중반)
★교육공학 연구의 활성화 및 연구 영역 확대
(1)1984년 한양대학교 국내 최초 ‘교육공학과’신설
-다양한 교육공학 관련 분야의 교육에 중점을 둠으로써 국내 교육공학연구의 활성화에 기여
(2)1984년 4월 ‘한국교육공학회’ 창립
-목적: 교육공학 전문가들 간의 상호교류
-한국교육학회의 한 분과 학회로 출발했으니 그 위상을 강화해 나가TDmau, 한국 교육공학 발전의 핵심적인 역할 수행
(3)1980년대 말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확산
-CAI(컴퓨터보조수업)가 주목받기 시작
-1990년대 초 멀티미디어 등장으로 컴퓨터 교육에 대한 교육공학 연구 활성화
(4)교육공학적 지식을 기업교육이나 회사조직의 연수에 적극 활용
4)교육공학의 도약기(1990년대 중반 이후~현재)
★교육정보화 사업과 사이버교육의 확산
(1)1995년 ‘교육정보화 종합 추진계획’발표
-교육정보화 사업을 광범위하게 전개
(2)1997년 ‘국가멀티미디어 교육지원센터(한국교육학술정보원)’설립
-컴퓨터교육 및 교육정보화 사업 독자적 관장
-교육종합정보서비스망(에듀넷) 구축․운영
(3)1998년 ‘교육정보화국’신설
-교육부 내에 교육정보화 관장
-교육공학 관련 기관들이 운영과 활동을 용이하게 함
-교육정보화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 수행, 일선 학교의 최신 기자재 보급을 위한 재정적 지원
(4)1990년대 후반 사이버교육의 등장
-사이버교육의 장점으로 인해 21세기 열린 평생교육 사회에 적합한 형태로 주목받음
-1997년 교육부가 가상대학 프로그램 시범학교로 15개 학교 선정․운영
-사이버교육 전반에 걸친 다양한 연구․개발 활동을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 분야에서 수행
(5)교육공학 관련학과의 증가
-관동대학교, 안동대학교에 교육공학과 신설. 전국 14개 대학에 컴퓨터 교육과 신설
-학부수준 외에도 대학원, 교육대학원에도 교육공학 전공 신설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로크 시대의 사회와 음악 - 영화 <파리넬리 Farinelli> (0) | 2014.07.13 |
---|---|
교육정책 비교-미국 과거 대선 후보 (0) | 2014.07.02 |
<국어정리 참고자료> (0) | 2014.06.08 |
생명공학의 현황 (0) | 2014.06.05 |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 (0) | 2014.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