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환경산업의 동향과 전망(2005년 자료
국내환경산업의 동향과 전망
국내 환경산업 시장규모는 1999년 9조원, 2005년 19조원, 2010년 32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국내 환경산업 시장규모는 1999년 기준으로 세계 환경산업 시장의 약 2%에 해당되는 미미한 수준이다. 부문별로는 환경서비스업 43%, 환경자원이용업 32%, 환경설비업 25%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표1> 국내 환경산업의 시장규모 전망 (단위: 억달러)
구 분 |
1999년 |
2005년 |
2010년 |
연평균성장율(%) |
|
1999년~2005년 |
2005년~2020년 |
||||
환경서비스업 |
38,980 |
78,850 |
136,390 |
12.5 |
11.6 |
합 계 |
89,970 |
187,970 |
317,550 |
13.1 |
11.1 |
주: 국립환경연구원, 산업연구원 등의 자료를 근거로 삼성지구환경연구소에서 추정
국내 환경산업 시장은 민자유치 방식의 확대, 소프트웨어 분야의 비중 증대 등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 즉 정부,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재원 부족으로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민자유치가 활발하게 수행될 것이다. 실제로 2000년 2월 현재 18개 하수처리장이 민자유치로 추진 중이며, 2001년부터는 정부 발주물량의 50%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환경산업에 있어 건설, 설비제작 등 하드웨어 비중은 감소하고 진단 및 컨설팅, 운영사업 등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시장기회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환경시장 구조변화로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적응력이 뚸어난 벤처형 전문기업이 급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2> 국내 환경산업의 세부 분야별 시장규모 전망 (단위: 억달러)
구 분 |
1999년 |
2005년 |
연평균성장율(%) |
|
환경서비스업 |
고형/유해폐기물관리 |
22,060 |
42,390 |
11.5 |
소 계 |
38,980 |
78,850 |
12.5 |
|
환경 자원이용업 |
자원재생 |
26,730 |
57,150 |
13.5 |
소 계 |
28,380 |
62,770 |
14.1 |
|
환경설비업 |
수처리설비 |
9,910 |
20,090 |
12.5 |
소 계 |
22,610 |
46,350 |
12.7 |
|
합 계 |
89,970 |
187,970 |
13.1 |
주: 국립환경연구원, 산업연구원 등의 자료를 근거로 삼성지구환경연구소에서 추정
환경부는 미래 유망분야인 환경벤처를 세계적인 환경전문업체로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지원방안에는 수도권매립지 내 2만평에 환경벤처단지를 2002년까지 조성하고 환경기술정보망 구축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환경부는 2001년 종료예정인 선도기술개발사업(G-7프로젝트)의 환경공학기술개발사업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Eco-Technopia21(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을 확정했다.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은 청정기술(Clean Technology)과 환경복원 및 재생기술(Remediation Technology)등 미래지향적인 환경기술개발에 초점이 모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낙후된 국내 환경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켜 현안 환경문제 해결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환경산업체의 기술력 제고로 환경산업을 미래의 수출전략업종으로 집중 육성할 것이다.
산업자원부는 _ 5개년계획_ 을 수립해 청정생산기술 분야의 대형 핵심과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필요시 우수해외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을 촉진시킬 계획이다. 또한 산업자원부는 생산기술연구원으로 하여금 중소기업에 대한 진단·지도프로그램을 실시하도록 하고 산업계의 환경비용 및 환경친화도의 제고사항을 정기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에 기업체의 청정생산설비 투자자금 지원을 현행 3,200억원 수준에서 2005년까지 1조원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과학기술부는 선도기술개발사업(G-7) 후속조치로 1999년부터 _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_ 에 착수했다. 이 사업은 2010년까지 전략기술분야에서 선진5위권 진입을 목표로 삼고 있는데 총 35개 연구개발후보사업이 선정됐다. 이중 환경관련 분야는 폐기물자원화·재활용기술개발사업 등 3개 사업이 있다. 폐기물자원화·재활용 기술개발사업은 과학기술부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되어있으며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총 1,342억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있다.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 --기술결정론(technological determinism) 사회구성론(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0) | 2012.11.01 |
---|---|
독일 연방정부의 "첨단기술전략(High-tech Strategy)"의 17개 핵심기술 분야 중 『환경기술』분야를 아래와 같이 요약·정리 (0) | 2012.11.01 |
싸(사)이클론 종류, 개요, 원리 특징 (0) | 2012.10.30 |
캐나다 펄프,제지 및 목재 임산물 협회(FPAC) (0) | 2012.10.30 |
제임스 다이슨 James Dyson와 LA 에 등장한 한식 푸드 트럭인 ‘Kogi BBQ’ 를 통한 위기 극복 사례 (0) | 2012.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