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목표]

 0. 산지 지역의 특색을 알고, 주민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파악할 수 있다.

0. 산지를 형성하는 다양한 지형 형성 작용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0. 평야 지역의 특색을 알고 주민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할 수 있다.

0. 해안 지역의 특색과 주민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할 수 있다.


<1> 산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가. 다양한 형태의 산지 지역

1) 산지 : 주변보다 높은 지형

2) 고원 : 해발 고도가 높으나 지형의 높낮이가 크지 않고 평탄한 지형

 - 데칸 고원(인도), 아비시니아 고원(아프리카), 콜로라도 고원(미국), 티베트 고원(중국), 개마고원, 대관령(우리나라)


3) 산지 형성

① 습곡 작용 : 두 지각이 만나는 곳에서 양쪽의 압력을 받아 높은 산지 형성


② 단층 작용 : 압력을 받은 지각이 끊어지면서 고원, 산지, 골짜기 형성


③ 화산 활동 : 지하의 마그마가 분출하여 산지와 고원 형성


나. 산지 지역의 주민 생활

1) 신지 지역의 특색

 ① 험준하고 높아서 경지 면적이 좁음 - 밭농사, 계단식 농업

 ② 교통 발달이 미약하고 다른 지역과 교류가 적음  - 낮은 인구 밀도


 ③ 풍부한 임산, 물, 지하자원, 관광 산업 발달

 ④ 외부 침입시 방어에 유리

 ⑤ 서늘한 기후 - 고산 도시, 목축 발달


2) 안데스 고산 지대

① 고산 기후 : 연중 봄같은 온화한 기후(적도 부근 고산지대)

② 고산 도시 : 보고타(콜롬비아 수도), 라파스(볼리비아 수도), 라마(페루 수도) 등 - 잉카 문명 발생(마추피추)


고산 기후와 열대 기후


3) 알프스 산맥의 고산 지대

 ① 스위스, 오스트리아

 ② 관광산업 발달

 ③ 이목 : 여름철-산지, 겨울철-평지로 이동하며 가축 기름


4) 우리나라 산지 지역의 주민 생활

①  산지 지역의 특색

 a. 밭농사 위주 : 농경지 비율이 낮다

 b. 다른 지역과 교류 불리 : 최근 교통 발달


② 대관령 일대의 주민 생활

 a. 고랭지 농업

  - 여름철 서늘한 기후 이용

  - 배추, 무 등 채소, 약초, 감자재배

  - 영동 고속 국도 이용 도시로 반출

 b. 기업적 목축업 발달

  - 목초 재배 유리 : 양, 소 사육



<2> 사람들이 많이 사는 평야 지역

가. 다양한 형태의 평야 지역

1) 평야

① 의미 : 해발 고도가 낮으며 경사가 완만하고 평탄한 지형 ( 주민 생활에 유리)

② 형성 : 대부분 침식이나 퇴적에 의해 형성


2) 침식 평야 : 오랜 기간 침식 작용 받아 평탄해진 침식 분지로 됨

① 침식 분지 : 주위가 산으로 둘러싸이고 가운데가 오목한 지형

② 대표적 지형 : 충주, 대구 분지


3) 퇴적 평야 : 하천의 퇴적 작용을 받아 형성된 지형


① 분지 : 주위가 산으로 둘러싸이고 가운데가 오목한 지형으로 주로 침식 작용에 의해 형성


 ② 산상지 : 하천 상류에 형성된 부채골 모양의 퇴적 평야


③ 범람원 : 하천 중.하류에서 홍수 시 하천의 범람으로 형성된 퇴적 평야


④ 삼각주 : 하천의 하구에서 하천의 속도가 느려지면서 토사가 쌓여 형성된 퇴적 평야


나. 평야 지역의 주민 생활

1) 평야 지역

 ① 특색 : 토양이 비옥, 용수 풍부하여 농경지로 이용, 교통 편리, 문명과 도시 발달, 인간 거주에 유리( 서울, 런던, 파리 등 )

 ② 대표적인 평야 지역 : 미국 중앙 평원, 유럽 평원, 동남아시아 충적 평야, 나일 강 삼각주 등


2) 메콩 강 삼각주 생활

① 벼농사 : 평탄하고 비옥하여 벼농사 활발

② 인구 밀집 지역 : 베트남 20% 거주

③ 수상 가옥, 수상 시장 : 섬이 많아 배 이용

④ 관광 산업 : 배를 타고 작은 섬을 둘러보든 관광 산업


3) 우리나라 평야 지역의 주민 생활

① 벼농사 : 하천 중.하류 중심 벼농사 발달  - 호남 평야


② 상업적 농업 : 교통 발달, 농업기술 발달

 - 과수, 채소, 화초, 목축 등

③ 대도시 부근 : 낙농업, 채소, 화초 등 시설재배

 - 김해평야, 수도권 지역 근교 평야(하남)


<3> 바다가 접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

가. 다양한 형태의 해안 지역

1) 해안 :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곳

2) 해안 지형 : 바닷가에서 파랑의 침식.운반.퇴적 작용으로 만들어진 지형


3) 해안 지형의 형성

① 암석 해안 : 파랑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


② 모래 해안 : 하천에 의해 운반된 물질이나 파랑에 의해 침식된 모래가 해안에 퇴적되어 형성


③ 갯벌(간석지) : 조석 간만의 차에 의해 바다에서 운반된 미세한 흙이 만 안쪽부터 퇴적되어 형성


나. 해안 지역의 주민 생활

1) 해안 지역의 특색

① 산업 : 어업, 양식업, 평야지 - 농업

② 항구 발달 : 육상 교통과 해상 교통 만나는 곳 - 항구도시 발달 (로테르담, 부산)


2) 주민 생활

① 관광 산업 발달 : 바다, 해수욕장, 해안 절벽 등

② 공업지역 형성 : 수출입에 유리(우리나라 남동임해 공업지역)


3) 우리 나라 해안 지역의 주민 생활

① 동해안 

 a. 환경 : 해안선이 단조롭고, 암석과 모래 해안, 조석간만의 차가 작음

 b. 발달 : 관광 산업


② 서해안 

 a. 환경 : 해안선 복잡, 섬이 많음, 조석간만의 차가 큼

 b. 발달 : 갯벌, 간척사업, 양식업, 천일 제염업

③ 남해안

 a. 환경 : 항구발달에 유리, 섬이 많음(다도해), 해상 국립 공원

 b. 발달 : 기르는 어업인 양식업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