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비평의 방법과 기준
미디어 비평의 방법과 기준
1. 미디어 비평의 방법
1) 작가비평
2) 텍스트 비평
3) 수용자 비평
4) 제도, 정책 비평
5) 이데올로기, 문화비평
2. 미디어 비평의 기준
• 미디어 비평의 방법
<그림>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따른 비평의 방법
1) 작가비평
- 작가: 자신의 미적 감수성과 영향력이 텍스트 생산에 중요한 역할
- 작가주의(authorship/auteurism)
- 텍스트의 총체(corpus of texts) 속에서 발현되는 ‘세계관’과 ‘스타일’
2) 텍스트 비평
(1) 장르비평
- 드라마, 시트콤, 다큐멘터리 등 특정 프로그램에서 반복되는 관습과
특성을 분석
- 장르는 텍스트의 코드화된 형식, “산업-텍스트-수용자 사이의 지향
점, 기대, 관습의 체계”(Neals, 1980).
(2) 서사비평: 이야기와 담론분석
- 이야기 분석: 통합체
플롯: 사건의 배열
주요사건(중핵), 작은 사건(위성)
인물: 평면적 인물과 다면적 인물
인물유형: 선인, 악인, 협력자, 반대자 등
배경: 사건이 발생하는 공간
- 담론분석(이야기되는 방식): 계열체
작가의 명시적 묘사와 암시적 묘사
작가의 서술행위: 편집, 리듬, 배경음악, 보이스오버
3) 수용자 비평
- 수용자가 텍스트를 어떻게 해독하는가에 대한 분석
- 규범적 비평: 폭력과 성표현의 영향
- 즐거움(pleasure)
- 수용자의 의미저항
*저항적 해독: 텍스트와 함께 하면서(즐기면서) 이루어지는 해독
- 텍스트 안에 있는 저항의 재료를 활용: 전유의 한 형태
- 즐거움(pleasure) vs. Jouissance
4) 제도 정책비평
- 방송제도에 관심(공영방송과 상업방송)
- 방송법에 대한 관심(등급제, 편성비율 등)
- 비평의 대상은 시청자가 아니라 산업, 정책, 제작자 등
5) 이데올로기 문화비평
- 사회 내에서 지배층의 이념이 어떻게 텍스트에 반영되는가를 비판
- 성 표현에서 가부장에 대한 비판(페미니즘 비평)
- 보도에서 지배층 중심의 뉴스가치 비판(이데올로기 비평)
2. 텔레비전 비평의 기준
1) 전문가주의 기준(professionalism)
- 기획영역
기획의 적절성, 기획의 충실성, 기획의 독창성
- 내용영역
소재의 적절성, 선정성/폭력성, 언어표현의 적절성, 비언어적
표현의 적절성, 오락성
- 형식영역
구성의 완결성, 출연진의 적합성, 포맷의 독창성, 영상의 완성도
2) 텔레비전 미학의 기준
- 텔레비전의 일상성(리얼리즘realism), 역사성(일상의 역사)
- 장르별 영상의 수준과 완성도
3) 시장의 기준
- 수용자가 원하는 것을 주라
- 높은 시청률 = 질 좋은 프로그램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요타TOYOTA-품질제일주의 경영과 엄격한 원가관리 추구 (0) | 2020.05.28 |
---|---|
3 ingrédients nutritionnels dans le jus d'orange (0) | 2020.04.29 |
6 excellents aliments pour se débarrasser de la graisse du ventre épaisse (0) | 2020.04.10 |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UTP Cable (0) | 2020.03.24 |
가족간호 - 가족의 개념, 기능, 유형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