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의 이해
1. 수필의 정의와 특성
⑴ 수필의 정의
수필이란 인생에 대한 관조(觀照)와 체험을 개성적인 문체로 표현하여 작가 자신을 진실하게 드러내는 문학이다.
⑵ 수필의 특성(特性)
① 수필은 무형식의 자유로운 산문이다.
② 수필은 비교적 길이가 짧은 산문이다.
③ 수필은 지은이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고백 문학이다. (개성의 문학)
④ 수필은 그 제재가 대단히 광범위하다.
⑤ 수필은 작자의 인생관이나 사상, 감정이 잘 드러난 주관적이고 주정(主情)적인 문학이다.
⑥ 수필은 유머, 위트, 비평 정신이 들어 있는 글이다.
⑦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 없는 비전문성의 글이다.
2. 수필의 제재(題材)
수필의 제재는 제한이 없어서 인생사, 자연, 동식물, 사유의 대상 등 자유롭다. 그 성격에 따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전개되는 제시적 제재와 공간성을 띠는 동시적 제재로 분류된다.
3. 수필의 주제와 소재의 관계
소재는 주제를 표현하기 위하여 선택한 재료이기 때문에,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그 나름의 의미를 함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소재와 주제의 선택은 어느 것이 선행되더라도, 사물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깊이 생각하는 데서 가능하다.
4. 수필의 표현 방법
⑴ 일반적인 표현
① 설명 : 대상에 대한 사실․지식 등을 알기 쉽게 전달․이해시킴.
② 묘사 : 어떤 대상에서 얻은 감각적 인상을 독자의 감각 기관에 호소하여 전달함.
③ 서사 : ‘무슨 일이 어떻게 해서 발생했느냐?’ 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의 형식으로 진술됨, 움직임, 시간 등에 의해 의미가 이루어짐.
낯익은 남편의 글씨였다. 아내는 눈물이 핑 돌았다. 왕후가 된 것보다도 행복했다.
④논증 : 주장이나 의견에 대해, 객관적인 논거를 제시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함.
글을 쓴다는 것, 그것은 즐거운 작업이어야 하며, 진실의 표명(表明)이여야 한다.
⑵ 개성적 표현
① 해학(諧謔, humor) : 정답고 긍정적인 우스개, 표현 대상과 주체, 독자(청중)가 대등한 위치에서 더불어 웃도록 하는 표현
②기지(機智, wit) : 다른 사람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가벼운 웃음의 말, 재빠른 판단력, 기발함에 대한 경탄을 자아냄.
③반어(反語, irony) : 나타내고자 하는 뜻과 드러난 뜻 사이에 모순이 생기도록 하여 표현 의도를 강조함, 표현 주체와 독자(청중)의 일부분이 공모하여 표현 대상을 비웃고자 함.
④역설(逆說, paradox) : 모순된 어법에 의해 진리의 일면을 드러내는 표현. 반어와는 달리 대상에 대한 공격을 의도하지 않음.
⑤풍자(諷刺, satire) : 부조리한 사회 현상이나 인간에 대해 그 잘못을 공격하고 바로잡고자하는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