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의 본질과 특성
⑴ 시의 정의
① 인간의 정서를 절제된 언어의 질서 속에 조직해 낸 문학이다.
② 시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
㉠ 시는 마음 속의 뜻을 말로 나타낸 것이다. - 서경
㉡ 시경의 시 삼백 편은 한 마디로 말하면 ‘생각함에 사악함이 없다’는 것이다. - 공자
㉢ 시란 강한 감정의 자발적인 유로(流露)다. - 워즈워드
㉣ 시는 미(美)의 운율적 창조다. - 포우
㉤ 시는 율어(律語)에 의한 모방(模倣)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⑵ 시의 특성
① 시는 문학 중에서 언어에 가장 민감한 갈래이다.
② 시는 절제된 언어와 압축된 형태로 되어 있다.
③ 시는 시인의 내면적 정서의 주관적이고 은밀한 토로이다.
④ 시는 언어의 음악성을 많이 활용한다.
⑤ 시는 심상․비유․상징을 많이 원용한다.
2. 시의 갈래
⑴ 형식에 따른 갈래
① 정형시 : 시의 구조, 시구(詩句)의 수, 길이, 발음상의 리듬 등이 일정한 형식적 제약 아래 표현되는 시 형태. 정형시는 겉으로 드러나는 여러 가지 운율(韻律) - 음수율(音數律), 음위율(音位律), 음성률(音聲律) - 에 의해 형태화된다.
�� 10구체 향가, 한시, 시조 등
② 자유시 : 정형시가 지닌 전통적인 형태적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쓰는 시 형태. 자유시는 정형적 리듬을 고려하지 않는 대신 시 자체의 호흡, 즉 언어가 자연적으로 형성하는 음성의 질서인 내재율(內在律)에 의거하는 시 형태이다.
�� 현대시의 대부분
③ 산문시 : 정형시와 같은 외형적인 운율이 없고, 자유시와 같은 리듬이나 행(行)과 연(聯) 구분도 없이 산문적인 형태에 서정적 내용을 담는 시 형태이다.
�� 박두진의 ‘해’, 조지훈의 ‘봉황수’등
⑵ 내용에 따른 갈래
① 서정시 : 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괸적 정서를 노래한 시. 내용에 따라 종교시, 연애시. 자연시, 반성시 등으로 분류된다.
② 서사시 : 일반적으로 이야기를 객관적으로 서술해 가는 서사 문학의 일종으로, 민족 집단의 운명과 역사적 사건, 영웅의 이야기 등을 장중하고 웅대한 문체로 서술하는 장편의 시이다.
�� 서양의 경우 호머(Homor)의 ‘일리아드’와 ‘오딧세이’가 유명하며,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시대 이규보의 ‘동명왕편’, 김동환의 ‘국경의 밤’ 등이 있다.
③ 극시 : 연극적인 극적 수법을 사용한 시. 극적 효과는 대화, 독백, 긴박한 상황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⑴ 외연적(外延的) 의미
① 지시적 기능을 가진 언어의 의미
② 실재하는 사물과 그것을 표현하는 언어가 1 : 1 대응 관계를 이루는 언어의 의미. 즉 사전적 의미
③ 과학적 언어가 이에 해당
�� 법률 조문에 쓰인 언어
⑵ 함축적 의미 - 내포적 의미
① 암시적이고 주관적이며 간접적인 의미
② 어떤 대상을 정확히 지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어떤 정서적 효과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사용된 언어의 의미
③ 함축적 의미는 지시적 의미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의미를 더 획득한 것으로, 시어가 추구하는 의미
�� 김광섭의 ‘성북동 비둘기’에서 ‘번지’의 의미 - 구획된 땅의 번호라는 의미(외연적 의미)에서 ‘문명’의 의미. 또는 ‘자연적 삶의 터전’이라는 의미로 확대되었다.
⑶ 시어의 다의성(多義性, ambiguity)
① 모호성(模糊性)이라고도 한다.
② 하나의 시어 또는 한 문장 구조가 하나의 의미로만 파악되지 않고,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를 말한다.
③ 하나의 시어 속에 내포된 다양한 의미가 서로를 배척하지 않고 상승 효과를 가져와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한다.
�� 김소월의 ‘산유화’중 ‘저만치’
의미 ㉠ 저기, 저쪽 .........거리
의미 ㉡ 저렇게 ................상태
의미 ㉢ 저와 같은 ..........정황
4. 시의 심상(心象, 이미지)
⑴ 개념
신체적인 지각(知覺)이 마음 속에 불러일으킨 감정. 추상적인 의미보다도 대상을 감각적으로 인식하도록 자극하는 표현이다. 즉, 구체적으로 ‘마음 속에 그려지는 사물의 감각적 영상’ 및 ‘비유적 언어’가 곧 이미지다.
⑵ 특성
① 이미지는 함축․연상(聯想)․환기(喚起)의 작용을 한다.
② 이미지는 비유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⑶ 심상의 형성
① 묘사에 의하여 : �� 푸르고 잔잔한 호수
② 비유에 의하여 : �� 구름에 달 가듯이 / 가는 나그네
③ 상징에 의하여 : ��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헬 듯 합니다.
⑷ 심상의 종류
① 시각적 심상 : �� 바람 없는 밤을 꽃그늘에 달이 오면
② 청각적 심상 : �� 접동접동 아우래비 접동
③ 후각적 심상 : �� 어마씨 그리운 솜씨에 향그러운 꽃지짐
④ 미각적 심상 : �� 고추 당추 맵다 해도 시집살이 더 맵더라.
⑤ 촉각적 심상 : �� 손등을 때리는 굵은 빗줄기
⑥ 공감각적 심상 :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이 결합된 형태 : �� 분수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 소리(청각의 시각화)
시는 비유와 상징을 많이 사용한다. 고도의 비유적 표현과 상징에 의해 시의 내용은 풍부해지며 생생한 심상을 지니게 된다.
⑴ 비유
① 개념
㉠ 비유란 어떤 사물이나 관념을 그것과 유사한 다른 사물이나 관념과 연결시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보다 생동감 있고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이다.
㉡ 비유는 두 사물의 유사점에 근거하여(유추 관계), 원관념과 보조 관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 원관념 : 주지(主旨)라고도 한다. 표현하고자 하는 원래 사물이나 관념을 말한다.
- 보조 관념 : 매재(媒材)라고도 한다. 원관념을 실어 나르는 보조적인 사물이나 관념을 말한다.
② 종류
㉠ 직유 : ‘~처럼’, ‘~같이’, ‘~마냥’, ‘~하듯(이)’ 등의 비교어를 써서 원관념을 보조 관념에 직접 비유하는 것으로, ‘A는 B와 같다’의 형식을 취한다.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 은유 :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동일한 것으로 보는 비유로서, 대체로 ‘A는 B(이)다’의 형식을 취한다. 매개적 결합어 없이 원관념이 뒤에 숨고 보조 관념이 전면에 나선 것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 의인 : 사람이 아닌 사물이나 관념에 사람과 같은 성질을 부여하는 비유이다.
�� 둥그런 하늘을 이고 웅얼거리는 바다
㉣ 대유 : 어떤 사물이나 관념을 다른 어떤 이름으로 대신하는 표현으로, 이에는 환유와 제유로 구분된다. 환유는 어떤 사물을 통하여 그와 관련되는 내용을 가리키는 것으로 ‘못난이’를 ‘바지저고리’, ‘얼굴’을 ‘간판’ 등으로 표시하는 비유이고, 제유는 어떤 사물을 그 부분으로서 전체를 대표하게 하는 비유로서, ‘약주’가 ‘술’을 뜻하고, ‘빵’이 ‘식량’을 뜻하는 것이 그 예이다.
㉤ 인유 : 고대의 설화나 고전, 역사, 고사 등을 인용하는 비유이다.
㉥ 풍유 : 원관념을 숨기고 비유하는 말만 내세워, 숨겨져 있는 본래의 뜻을 암시하는 표현법. 속담, 격언, 우화, 교훈담 등은 풍유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 선 무당이 사람잡는다.
◆ 시적 언어의 사용 과정
언 어 | ⇨ | 언 어 | ⇨ | 비유․상징 | ⇨ | 암시성 |
지시적 의미 | 함축적 의미 |
⑵ 상징
① 개념
㉠ 어떤 구체적 사물이 또 다른 영역의 의미를 암시하거나 환기시켜 주는 것을 뜻한다.
㉡ 원관념과 보조 관념의 관계에서 보면, 원관념은 배제되고 보조 관념이 독립되어 함축적 의미와 암시적 기능을 갖는다.
② 종류
㉠ 제도적 상징 : 어떤 제도적 집단의 구성원 모두에게 의미를 갖는 것
�� 국기, 부호나 기호, 십자가 등
㉡ 관습적 상징 : 한 사회에서 오랫동안 쓰여진 나머지 그 속뜻이 널리 알려진 것
�� 백합 → 순결, 비둘기 → 평화 등
㉢ 개인적 상징(창조적 상징) : 개인이 독창적으로 만들어 내어 지금까지 의도되지 않았던 추상적 뜻을 암시할 수 있도록 한 것. 문학적 상징
�� 서정주의 ‘국화’ → 어려움 뒤에 얻어진 성숙미
⑶ 비유와 상징의 차이
비유의 경우에는 보조 관념에 원관념의 효과적 표현을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그 자체의 독립적 의미를 지니지 못하지만, 상징은 보조 관념 자체만으로도 의미를 지니며 심원한 함축적 의미를 띤다는 점이 다르다.
6. 시의 운율
⑴ 운(韻)과 율격(律格)
① 시의 음악성은 운율에서 비롯된다.
② 운율 : 운율은 운율 요소들의 규칙적인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규칙적 반복은 기계적이 아니라 내면적․유기적이다.
㉠ 운 : 같거나 비슷한 소리의 규칙적 반복
㉡ 율 : 고저, 장단, 강약, 음보 등의 규칙적 반복
⑵ 운율의 종류
① 외형적 운율
㉠음보율 : 한정된 수의 음절들이 이루어진 음보의 규칙적 반복으로 이루어지는 율격이다. 음보는 휴지(休止, 쉬는 것) 및 의미상의 단락으로 구분되어진다. 이 음보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수에 따라 3음보, 4음보로 나눈다.
�� 아득히 / 그림 속에 / 정화된 / 초가집들
㉡ 음수율 : 음절의 수가 단위가 되어 규칙적으로 반복될 때 이루어지는 운율
㉢ 음위율 : 일정한 위치에 비슷한 음을 반복함으로써 얻어지는 운율
�� 중국의 한시(고저), 서구시(강약)
② 내재적 운율 - 외형상의 규칙성은 띠지 않지만 작품의 내면에 흐르는 개성적 운율
⑶ 운율의 요소
① 동음 반복 : 특정 음운이 반복하여 나타나는 것. 어두 반복, 모음 반복, 자음 반복 등
② 음수 반복 : 일정 수의 음절이 반복되는 것. 7․5조, 3․4조, 4․4조 등
③ 병렬 : 속성이 비슷하거나 상대적인 구절이나 행이 서로 대비되어 나타나는 것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곡의 이해 (0) | 2014.01.22 |
---|---|
소설의 이해 (0) | 2014.01.17 |
소득분배-펜의 난쟁이의 행렬 (0) | 2014.01.07 |
유럽주권국가의 출현과 근대국제정치질서의 형성- (0) | 2014.01.07 |
시의 갈래 이론 정리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