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rsprung durch Technik

블로그 이미지

MSNU

희곡의 이해

시리즈 2014. 1. 22. 14:41

희곡의 이해

1. 희곡의 본질과 특성

⑴ 희곡(戱曲, drama)의 개념

작가가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등장 인물의 대사․동작․표정 등을 통해 현재적 사실로 표현해 내는 산문 문학의 한 장르로 연극이라는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한다.

⑵ 희곡의 특성

① 대립 구조 : 인물과 세계의 대결 구조를 가짐. 갈등과 분규에 의해 사건이 전개되고 진전됨.

② 극적 제시 : 인물의 대사와 행동에 의해 성격이 구현되고 사건이 나타남.

③ 현재화 : 무대 위에서 상연될 것을 전제하므로, 모든 이야기를 현재화하여 독자에게 전달함.

2. 희곡의 3요소

⑴ 해설

무대나 장면을 지시하는 언어, 전치 지문

⑵ 지문 

대사의 앞이나 뒤에 제시되어 인물의 동작, 표정, 심리 등을 짤막하게 지시한 것

⑶ 대사

등장 인물이 하는 말, 인물의 성격을 제시하고, 사건을 진행시키며, 전체적 분위기를 형성

① 대화 : 등장 인물이 서로 주고받는 말. 사건 전개와 성격 형성에 가장 큰 역할을 함.

② 독백 : 한 사람이 혼자 하는 말. 인물의 내면 심리나 상황 제시에 기여

③ 방백 : 무대 위에 있는 다른 인물은 듣지 못하나, 관객에게 직접 전달되는 말

<참고> 연극의 3요소 : 희곡, 배우, 관객

3. 희곡의 구성

⑴ 외적(外的) 구성 요소

① 장(場, scene)

㉠ 희곡의 기본 단위로서, 막의 하위 단위이다.

㉡ 배경이 바뀌고, 인물의 등장이나 퇴장으로 구별된다.

② 막(幕, act)

㉠ 몇 개의 장으로 이루어진다.

㉡ 무대의 막이 올랐다가 다시 내릴 때까지의 사건으로 이루어진다.

⑵ 구성의 단계 (5단 구성)

① 발단 : 도입부, 시간, 공간, 인물이 제시되고, 극적 행동을 준비하는 단계로 갈등, 분규의 실마리를 제공

② 전개 : 인물 사이의 갈등과 분규가 본격화되면서 위기감을 조성, 심리적 긴장이 고조되는 단계

③ 절정 : 분규로 인한 위기감이 최고점에 이르면서 해결을 위한 단서 마련

④ 반전(反轉) : 대립의 균형이 깨어지면서 급격하게 해결의 귀착점으로 기울어지는 단계

⑤ 결말 : 갈등이 해결되고 주인공의 운명이 결정되는 단계


4. 희곡의 갈래

⑴ 희극(喜劇) 

인간 행위나 감정상의 모순 또는 불균형을 묘사하여 골계미(滑稽美)를 나타냄.

⑵ 비극(悲劇)

주동(主動) 세력이 반동 세력에 의해 패배하게 되어 비장미(悲壯美)를 나타냄. 불행한 결말이 특징.

⑶ 희비극 (喜悲劇 또는 悲喜劇) 

희극으로 시작하다가 비극으로 끝나든지 또는 그 반대의 경우를 말함. 인생에 있어서 비장미와 골계미를 조화하여 보여 줌.

⑷ 기 타

① 레제 드라마 : 무대 상연을 전재하지 않고 읽히기 위한 희곡

② 멜로 드라마 : 원래는 음악극이나, 오늘날은 오락 위주의 통속극

③ 모노 드라마 : 일인극(一人劇)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동사의 종류  (0) 2014.02.01
수필의 이해  (0) 2014.01.26
소설의 이해  (0) 2014.01.17
시의 이해::  (0) 2014.01.14
소득분배-펜의 난쟁이의 행렬  (0) 2014.01.07
Posted by MSNU






favicon

Vorsprung durch Technik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993)
    • myPPT (813)
    • 시리즈 (164)
      • 연소 (14)
      • 경제 (5)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